$\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당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에 의한 동결농축 사과즙의 무가당 아이스 사과주 속성 발효
Rapid Fermentation of Freeze-Concentrated Ice Apple Wine by a Sugar 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3, 2012년, pp.413 - 419  

최상훈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백성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박희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결농축 사과즙(36 $^{\circ}Brix$)에 내당성 효모 S. cerevisiae SS89 균주와 대조구로서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와인효모 S. cerevisiae W-3를 접종하여 아이스 사과주의 발효 특성 및 주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S. cerevisiae SS89 균주가 S. cerevisiae W-3에 비하여 빠르게 알코올을 생산하여 S. cerevisiae SS89 균주의 경우 15일, S. cerevisiae W-3 균주의 경우 21일 후 포도주의 일반적인 알코올 함량인 12% (v/v) 이상에 도달하였다. S. cerevisiae SS89 균주로 발효한 경우 21일 후 알코올 함량이 14.4% (v/v)이었으나 S. cerevisiae W-3로 발효한 경우에는 12.6% (v/v)로 나타났다. S. cerevisiae SS89 균주로 15일, S. cerevisiae W-3 균주의 경우 21일 동안 발효하여 제조한 아이스 사과주의 일반적 특성은 알코올 함량이 각각 12.4, 12.6% (v/v)이었으며 무질소 가용성 성분은 각각 24.0, 23.6 $^{\circ}Brix$이었다. 유기산사과산, 젖산, 초산이 검출되었으며 두 균주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의 함량은 SS89 아이스 사과주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W-3 아이스 사과주에서는 메탄올이 검출되지 않았고 프로판올은 극미량이 검출되었다. SS89 사과주의 경우 intensity 값과 Hunter L과 b 값이 W-3 아이스 사과주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hue 값과 Hunter a 값은 낮게 나타났다. 두 아이스 사과주의 관능검사 결과 큰 차이는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rmentation of ice apple wine from freeze-concentrated Fuji apple juice to 36 $^{\circ}Brix$ was carried out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a sugar-tolerant wine yeast str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and the properties of ice apple win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사과를 가지고 동결농축에 의한 아이스 와인 성상의 양조주 제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 착즙액을 동결 농축한 후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한 내당성 효모 S. cerevisiae SS89를 사용하여 아이스와인 성상의 무가당 아이스 사과주를 양조하고 그것의 발효양상과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이스와인은 무엇인가? 아이스와인은 그 해 첫 서리가 내리기 전 잘 익은 포도를 수확기를 지나서까지 수확하지 않고 기다린 후 한겨울 온도가 -7∼-12℃를 유지할 때 부분적으로 동결된 포도를 손으로 수확한 후 빨리 압착한 포도 착즙액을 가지고 양조한당도가 높고 감미가 강한 디저트용 포도주를 말한다(1-3). 따라서 수확한 동결포도 착즙액으로 부터 만든 아이스와인의 양은 소량만이 생산되고 시중에 거래되는 가격 또한 일반포도주에 비해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아이스와인의 어떤 품종을 애용하고 있는가? 따라서 수확한 동결포도 착즙액으로 부터 만든 아이스와인의 양은 소량만이 생산되고 시중에 거래되는 가격 또한 일반포도주에 비해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Riesling 품종과 Vidal 품종을 주로 애용하고 있다.
아이스바인이라고 불리는 포도주는 언제, 어디서 유래된 것인가? 아이스바인(eiswein)이라고도 불리는 독특한 성상의 이 포도주는 1794년 독일의 Franconia 지방에서 유래하였다(4). 그 후 독일에서 오스트리아로 전파되었으며 현재에는 겨울철 추운날씨가 지속되는 캐나다에서도 출시되고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Pigeau GM, Bozza E, Kaiser K, Inglis DL (2007) Concentration effect of Riesling icewine juice on yeast performance and wine acidity. J Appl Microbiol, 103, 1691-1698 

  2. Setkova L, Risticevic S, Pawliszyn J (2007) Rapid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ictime-of-flight mass spectrometric method for qualitative profiling of ice wine volatile fraction II: Classification of Canadian and Czech ice wines using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data. J Chromatogr A, 1147, 224-240 

  3. Lerma NL, Peinado RA (2011) Use of two osmoethanol tolerant yeast strain to ferment must from Tempranillo dried grapes effect on wine composition. Int J Food Microbiol, 145, 342-348 

  4. Schreiner J (2001) Icewine: the complete story. Warwick Publ, Toronto, Ontario, Canada, p 344 

  5. Pickering G (2006) Icewine: the frozen truth. In Wine growing for the future. Creasy GL (ed), Lincoln University, Christchurch, New Zealand, p 84-99 

  6. Inglis DL, Pigeau G, Quai J, Pistor M, Kaiser K (2006) Chemical composition of Vidal Icewine juice and nitrogen usage during fermentation. In Wine growing for the future. Creasy GL (ed), Lincoln University, Christchurch, New Zealand, p 48 

  7. Braddock RJ, Marcy JE (1987) Quality of freeze concentrated orange juice. J Food Sci, 52, 159-162 

  8. Bayindirli L, Ozilgen M, Ungan S (1993) Mathematical analysis of freeze concentration of apple juice. J Food Eng, 19, 95-107 

  9. Lee YC, Lee SW (1998)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in Korean cloudy pear juice concentrated by different methods. Food Sci Biotechnol, 7, 127-130 

  10. Miyawaki O, Liu L, Hayakawa K (1999) Progressive freeze-concentration of tomato juice. Food Sci Technol Res, 5, 108-112 

  11. Ramos FA, Delgado JL, Bautista E, Morales AL, Duque C (2005) Changes in volatiles with the application of progressive freeze-concentration to Andes berry. J Food Eng, 69, 291-297 

  12. Lea AGH (1995) Cidermaking. In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Press, London, UK, p 67-96 

  13. Vidrih R, Hribar J (1999) Synthesis of higher alcohols during cider processing. Food Chem, 67, 287-294 

  14. Naumov GI, Nguyen HV, Naumova ES, Michel A, Aigle M, Gaillardin C (2001) Genetic identification of Saccharomyces bayanus var. uvarum, a cider-fermenting yeast. Int J Food Microbiol, 65, 163-171 

  15. Abrodo PA, Cabrales IM, Mangas Alonso JJ, Domingo BG (2005) Fatty acid composition of cider obtained either by traditional or controlled fermentation. Food Chem, 92, 183-187 

  16. Madrera RR, Hevia AG, Garcia NP, Valles BS (2008) Evolution of aroma compounds in sparkling ciders. LWT-Food Sci Technol, 41, 2064-2069 

  17. Lobo AP, Garcia YD, Sanchez JM, Madrera RR, Valles BS (2009) Phenolic and antioxidant composition of cider. J Food Compost Anal, 22, 644-648 

  18. Choi SH, Hong YA, Choi YJ, Park HD (201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domestic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v, 18, 604-611 

  19. Kishimoto M, Soma E, Goto S (1994) Classification of cryophilic wine yeasts based on electrophoretic karyotype, G+C content and DNA similarity. J Gen Appl Microbiol, 40, 83-93 

  20. Sherman F (1991) Getting started with yeast. Method Enzymol, 194, 3-21 

  21.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2.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2010) Code of liquor analysis. NTS, Seoul, Korea, p 39, p 104-202 

  23.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Food code. KFDA, Seoul Korea, p 10-3-25 

  24. Coppola ED (1984) Use of HPLC to monitor juice authenticity. Food Technol, 4, 88-91 

  25. Whang HJ, Kim SS, Yoon KR (2000) Analysi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81-187 

  26. Do YS, Whang HJ, Ku JE, Yoon KR (2005) Organic acids content of the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22-927 

  27. Richmond ML, Brandao SCC, Gray JI, Markakis P, Stine CM (1981)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 HPLC. J Agric Food Chem, 29, 4-7 

  28. Kim CH, Whang HJ, Ku JE, Park KW, Yoon KR (2006) Free sugars content of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2-27 

  29. Kim DH, Hong YA, Park HD (2008) Co-fermentation of grape must by Issatchenkia orienta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reduces the malic acid content in wine. Biotechnol Lett, 30, 1633-1638 

  30. Zoecklein BW, Fugelsang KC, Gump BH, Nury FS (1990) production wine analysi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USA, p 129-168 

  31. SAS Institute Inc, (2002-2003). SAS 9.1 TS Level 1M3. Cary, NC, USA 

  32.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characterisi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 555-562 

  33.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3), 226-232 

  34. Jin TY, Kim ES, Wang SJ, Wang MH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35.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I, Lee CH, Yoon KE (2004)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s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73-778 

  36.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37. Roh HI, Chang EH, Joeng ST, Jahng KW (2008)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Korean J Food Preserv, 15, 317-324 

  38. Kang TS, Woo KS, Lee JS, Jeong HS (2006)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using fresh jujube. Food Engin Prog, 10, 164-171 

  39. Fleet GH (1993)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Harwood Academic Pub, Sydney, Australia, p 165-196 

  40. Kim KH, Han GD (2011) White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s with different kinds of yeasts. Korean J Culinary Res, 17(3), 162-171 

  41. Campo G, Santos JI, Berregi I, Velasco S, Ibarburu I, Duenas MT, Irastorza A (2003) Ciders produced by two types of presses and fermented in stainless steel and wooden vats. J Inst Brew, 109, 342-348 

  42. Borzani WM, Vairo LR, Koskimizu IH, Melo Cruz MRD, Perego LJ (1981) Kinetics of amyl alcohol production during ethanol fermentation of blackstrap molasses. Biomass, 1, 115-126 

  43. Sowinski P, Wardencki W, Partyka M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method for the analysis of carbonyl compounds in spirits and vodkas. Analytica Chimica Acta, 539, 17-22 

  44. Park YS, Lee YJ, Lee KT (2006) Analysi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alcoholic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r, 35, 1412-1419 

  45. Vidrih R, Hribar J (1999) Synthesis of higher alcohols during cider processing. Food Chem, 67, 287-294 

  46. Herjavec S, Tupajic P (1998) Changes in acidity, some aroma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frankovka wine after malolactic fermentation. Food Technol Biotechnol, 36, 209-213 

  47. Jo YJ, Park CW, Jang SY, Kim OM, Jeong YJ (2011)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in oriental melon by different yeast. Korean J Food Preserv, 18, 779-785 

  48. Bae SM (2002) Wine making principles. Bae Sang Myun Brewery Institute Co. Ltd., Seoul, Korea, p 53 

  49. Lee SJ, Lee JE, Kim SS (2004)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6), 911-9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