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 첨가비율에 따른 맥주의 품질 특성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r by addition of rice rat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6, 2017년, pp.758 - 763  

이석기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박지영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박혜영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최혜선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조동화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오세관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김현주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쌀맥주에 적합한 쌀 첨가비율을 선정하기 위해 연질미인 한가루 품종을 이용하여 첨가비율에 따라 맥주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쌀 첨가비율별로 제조한 맥주의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 3.93-4.40%로 나타났고, 쌀 첨가비율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H는 4.32-4.60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쌀 첨가비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쌀 첨가비율에 따라 맥주의 산도 및 아미노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쌀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증가한 반면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쌀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쓴맛의 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맥주를 가공하는 데에 있어 쌀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쓴맛이 감소되고 색택이 개선되는 등 품질 개선의 효과를 얻었다. 본 연구결과는 쌀맥주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데 있어서 품질이 우수한 최적 비율을 선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ice addition on the quality of beer was investigated. Pilot-scale brews were performed with addition ratios of 10, 20, 30, and 40% of brown rice (Oryza sativa L. cv. Hangaru) which were compared with 100% malt beer and commercial beers in terms of quality. Alcohol con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쌀맥주에 적합한 쌀의 첨가비율을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연질미인 한가루 품종을 이용하여 첨가비율에 따라 맥주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는 무엇인가? 벼(Rice, Orzya sativa L.)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주식으로 섭취하고 있는 대표 작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1인당 양곡소비량은 2011년 71.
맥주의 pH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맥주의 pH는 맛, 물리적 및 미생물학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효모의 성장과 맥아즙 완충 능력을 자국하고 맥주의 맛, 잠재적인 혼탁 안정성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5), 당화 효소 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작용과 홉의 쓴맛성분의 용출 등 공정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2). 본 연구결과 맥주의 pH는 4.
쌀 첨가비율별로 제조한 맥주의 쓴맛을 측정한 결과, 맥주의 쓴맛 정도는 무엇에 의해 나타나는가? Kwon 등(6)의 보고에 따르면 맥주 제조 시 효소첨가로 인해 생성된 당 성분 함량의 증가와 함께 단백질 분해로 인해 쓴맛이 상쇄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맥주 품질에서 나타내는 쓴맛 정도는 주로 홉에서 나오는 유도체인 iso-α acid 함량에 따라 나타나며, 맥주의 쓴맛은 iso-octane으로 산성화되어 추출된 bitter substances를 측정하여 결정하게 된다(20). 미국의 라이트 라거 맥주는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맥주 중 가장 낮은 BU 수준을 가지는데, 쓴맛을 느끼기 시작하는 맛의 정도인 8-12 BU값을 나타내며, 영국의 페일에일의 경우45 BU정도의 값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HJ, Park JY, Lee SK, Park HY, Cho DH, Choi HS, Oh SK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suitable for rice beer. Korean J Crop Sci, 62, 113-117 

  2. Sung SA, Lee SJ (201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top-fermented be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35-43 

  3. Cho JP, Lee DM, Jeong JS, Moon JH (2014) The factors of consumers' taste preferences for beer and change in attitude: Focusing on Korean consumers' preference for imported beer. J Foodserv Manag Soc Korea, 17, 7-30 

  4. Shin DS, Choi YJ, Sim EY, Oh SK, Kim SJ, Lee SK, Woo KS, Kim HJ, Park HY (2016) Comparison of the hydration, gelatinization and saccharification properties of processing type rice for beverage development. Korean J Food Nutr, 29, 618-627 

  5. Shin DS, Jeong ST, Sim EY, Lee SK, Kim HJ, Woo KS, Oh SK, Kim SJ, Park HY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Makgeolli with barley and wheat by fermentation temperature. Korean J Food Nutr, 30, 305-311 

  6. Kwon YA, Lee KG, Hong GW, Lee SJ (2012) Improving qualities of rice beer using enzyme and amino acids. Food Eng Prog, 16, 151-156 

  7. Hyun SK, Kwon YA, Lee S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wed beer with rice adjunct. Food Eng Prog, 16, 139-144 

  8. Mayer HM, Ceccaroni D, Marconi O, Sileoni V, Perretti G, Fantozzi P (2016) Development of an all rice malt beer: A gluten free alternative. LWT-Food Sci Technol, 67, 67-73 

  9. Das AJ, Khawas P, Miyaji T, Deka SC (2014) Effect of various microbial starters for amylolytic fermentation on some quality attributes of rice beer. Int Food Res J, 21, 2443-2450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Process for preparing rice beer using soft rice. Korea Patent No. 10-2016-0169787 

  11. Ha SJ, Yang SK, In YW, Kim YJ, Oh SW (2012) Changes in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ingle-brewed Makgeolli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76-1181 

  12.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2008) Analysis of Liquor Regulatory. Liquors Licence Aid Center, Seoul, Korea, p 1-68 

  13. Kim KH, Park SJ, Kim JE, Dong H, Park IS, Lee JH, Hyun SY, Noh BS (2013)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types of pale ale be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142-147 

  14. Choi JH, Jeon JA, Jung ST, Park JH, Park SY, Lee CH, Kim TJ, Choi HS, Yeo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ktanju fermented by using different commercial Nuruks. Korean J Microbial Biotechnol, 39, 56-62 

  15. Kaneda H, Takashio M, Tamaki T, Osawa T (1997) Influence of pH on flavour staling during beer storage. J Inst Brew, 103, 21-23 

  16. Sim EY, Lee SK, Woo KS, Kim HJ, Kang CS, Kim SJ, Oh SK, Park HY (2016)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Makgeolli made from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rates. Korean J Food Nutr, 29, 777-784 

  17. Song YR, Lim BU, Song GS, Baik S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Omija berries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328-335 

  18. Granato D, Branco GF, Faria JFA, Cruz AG (2011) Characterization of Brazilian lager and brown ale beers based on color,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using chemometrics. J Sci Food Agric, 91, 563-571 

  19. Szabo E, Borbely M, Sipos P, Cornelia P, Adriana C (2013) Analysis of total polyphenol comtemts and colour of brewed beer samples. University of Oradea Publishing House, Oradea, Romania, p 373-377 

  20. Kim JH, Kim JH, Lee SJ, Hong KW, Kwon YA, Park JC, Kim WJ (2013) Characterization of fermentation kinetics of beer made of Korean 6 row-barley. Food Eng Prog, 17, 189-197 

  21. Lee JD (2005) Designing great beers. Life Science, Seoul, Korea, p 90-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