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자에 대한 구조화된 정맥주사관리 간호중재가 영유아의 정맥주사 유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tructured Nursing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n Maintenance of Intravenous Infusions in Infa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3, 2012년, pp.135 - 142  

김지수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이영란 (강북삼성병원 소아과) ,  김남숙 (강북삼성병원 소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uctured nursing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n maintenance of intravenous (IV) infusions in infants. Methods: The structured nursing interven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es of interviews with nurses from pediatric wards.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효율적인 정맥주사 유지를 위해서 기존의 구두 설명 위주로 수행했던 간호를 보완하고자 영유아 환아의 보호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정맥주사관리 간호중재를 구성하고 이러한 간호중재가 환아의 정맥주사 유지와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정맥주사관리에 대한 보호자의 태도와 지식 변화에 대해서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에서 소아병동 보호자에게 정맥주사관리와 주의사항에 대해 구두로만 설명하고 있는 간호수행을 보완하고자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구조화한 정맥주사관리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정맥주사 유지가 특히 어려운 3세 이하의 영유아 보호자에게 적용한 후, 입원 영유아의 정맥주사 유지와 합병증 발생에 대한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아의 정맥주사 간호관리에 대한 근거이론(evidence-based) 중심의 새로운 간호중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입원한 다른 연령의 아동에 비해 어린 영유아들의 정맥주사 유지가 특히 어렵고 보호자들의 관심과 주의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한 소아과 병동 간호사들의 문제 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맥주사 유지를 위해서 기존의 구두 설명 위주로 수행했던 간호를 보완하고자 영유아 환아의 보호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정맥주사관리 간호중재를 구성하고 이러한 간호중재가 환아의 정맥주사 유지와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정맥주사관리에 대한 보호자의 태도와 지식 변화에 대해서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하다.
  • 본 연구가 임상 현장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간호사들의 편중 효과를 차단할 수 없는 연구의 제한점이 있으나, 지금까지 소아과 병동 환아의 정맥주사관련 연구가 통증이나 불안, 공포,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간호중재(Uman, Chambers, McGrath, & Kisely, 2008)였던 반면 본 연구를 통해 입원 영유아의 정맥주사를 유지할 수 있는 중재법을 처음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아과 병동 영유아 환아의 정맥주사관리를 위한 보호자 대상의 간호중재가 환아의 정맥주사관련 합병증 발생을 줄이고 정맥주사를 재삽입하는 횟수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아과 병동에서 가장 지켜지지 못했던 정맥주사 삽입부위와 수액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보호자의 지식이 향상되 었다. 본 연구는 소아과 병동에서 발견된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새로운 중재법을 개발하여 아동간호중재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소아과 병동 간호사들의 경험을 수집하고 면담하여 이를 토대로 연구 설계를 하고 간호중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구성·제작하여 적용한 만큼 임상에서 효과적인 중재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본 연구는 정맥 주사 시 간호사가 보호자에게 정맥주사관리에 대한 안내 자료를 제공하면서 설명한 실험군과 기존의 방법대로 구두로 정맥주사관리에 대한 유의사항을 제공받은 대조군 간에 보호자의 정맥주사에 대한 태도 및 지식과 환아의 정맥주사 유지 및 합병증 발생을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정맥주사의 부종, 막힘, 누출, 자가 제거 등의 이유로 정맥 주사를 재삽입하거나 제거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보호자에게 정맥주사관리에 대한 안내 자료를 제공하면서 정맥주사관리와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했을 때, 정맥주사 유지 및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효과와 입원 영유아의 정맥주사에 대한 보호자 태도 및 지식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 진행을 위해 우선 소아과 병동 간호사들에게 본 연구목적과 연구 설계를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되었고 이후 연구 진행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소아과 병동 간호사들과의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수차례 논의를 거쳐 자료 수집 방법, 자료 기록 방법을 구체화하였으며 정맥주사 고정방법에 대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유아 환아의 정맥주사관리를 위해 보호자에게 필요한 설명 내용을 구성하고 이에 부합한 사진을 제작하였으며, 정맥주사관리에 대한 주의사항을 대조군과 실험군에게 동일하게 전달하기 위해 8가지의 설명 내용을 메모 카드로 작성하여 모든 간호사가 소지하도록 했다.
  • 하지만 전문지식이 부족한 보호자는 정맥주사 유지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주의 사항에 대한 교육 시 실제적이고 구체적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정맥주사관리에 대한 시각적 자료를 제시하면서 주의 사항을 설명하고 지속적으로 유념할 수 있게 침상이나 정맥주사 걸대에 부착하는 중재를 개발하였는데 이러한 중재로 정맥주사 재삽입 횟수가 줄게 되었다. 실제 연구가 진행되면서 정맥주사에 대한 보호자들의 민감한 행동반응들을 평소보다 더 많이 경험할 수 있 었다.

가설 설정

  • 수액과 주사 맞은 부위의 높이 차이는 1 m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맥주사와 관련하여 아동이 경험하는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슨 행동을 하는 것이 좋은가? 따라서 국내외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정맥주사와 관련하여 아동이 경험하는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고자 정맥주사 시 부모나 휴대전화 그리고 전환활동으로 관심을 돌리는 중재와 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tics (EMLA) 적용 등(Cavender, Goff, Hollen, & Guzzetta, 2004; Lim & Shin, 2007; Press et al., 2003; Tak & Van bon, 2005)의 다양한 간호중재를 시도하였고, 그 결과 통증과 불안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맥주사는 여전히 아동에게 고통스러운 행위이다.
정맥주사 삽입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아동은 성인에 비해 피하지방이 두껍고 혈관이 약해서 정맥주사의 삽입이 어려울 뿐 아니라, 활동량이 많고 나이가 어릴수록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어렵게 삽입한 정맥 주사를 유지하는 것도 쉽지 않다. 또한 큰 통증을 유발하는 정맥주사 삽입은 아동에게 충격적이고 위협적인 행위이며 이러한 불안과 통증은 잠재적으로 신체와 행동 그리고 발달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질병의 상태를 더 악화시키거나 입원기간 및 회복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Franck, Greenberg, & Stevens, 2000).
아동에게 정맥주사 삽입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입원 아동에게 있어서 정맥주사 삽입은 가장 빈번한 처치이지만 주사 삽입 시의 침습적 처치는 아동에게 큰 통증과 고통을 야기한다. 아동은 성인에 비해 피하지방이 두껍고 혈관이 약해서 정맥주사의 삽입이 어려울 뿐 아니라, 활동량이 많고 나이가 어릴수록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어렵게 삽입한 정맥 주사를 유지하는 것도 쉽지 않다. 또한 큰 통증을 유발하는 정맥주사 삽입은 아동에게 충격적이고 위협적인 행위이며 이러한 불안과 통증은 잠재적으로 신체와 행동 그리고 발달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질병의 상태를 더 악화시키거나 입원기간 및 회복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Franck, Greenberg, & Stevens,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atney, M. R., Hillis, S., Wakefield, B., Simpson, L., Domino, L., Keller, S., et al. (2001).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dwell time and the development of phlebitis and infiltration. Journal of Infusion Nursing, 24, 332-341. 

  2. Cavender, K., Goff, M. D., Hollen, E. C., & Guzzetta, C. E. (2004). Parents' positioning and distracting children during venipuncture: effect on children's pain, fear, and distres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2, 32-56.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August 9).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Retrieved December 5, 2011, from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 rr5110a1.htm 

  4. Cornely, O. A., Bethe, U., Pauls, R., & Waldschmidt, D. (2002). Peripheral Teflon catheters: Factors determining incidence of phlebitis and duration of cannulation.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3, 249-253. 

  5. Franck, L. S., Greenberg, C. S., & Stevens, B. (2000). Pain assessment in infants and childre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47, 487-512. 

  6. Lim, J. H., & Shin, Y. H. (2007). Effects of distraction by cell phone on pain and fear during venipuncture procedures for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506-511. 

  7. Lininger, R. (2003). Pediatric peripheral IV insertion success rates. Pediatric Nursing, 29, 351-354. 

  8. Oishi, L. A. (2001). The necessity of routinely replacing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in hospitalized childre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Intravenous Nursing, 24, 174-179. 

  9. Powell, J., Tarnow, K. G., & Perucca, R.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indwell time and the incidence of phlebitis. Journal of Infusion Nursing, 31, 39-45. 

  10. Press, J., Gidron, Y., Maimon, M., Gonen, A., Goldman, V., & Buskila, D. (2003). Effects of active distraction on pain of children undergoing venipuncture: Who benefits from it? The Pain Clinic, 15, 261-269. 

  11. Rosenthal, K. (2003). Infiltration: An ounce of prevention. Nursing Made Incredibly Easy!, 1(2), 60-62. 

  12. Sung, S. H., & Kim, H. S. (2007). Risk factors of intravenous infiltration in childre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61-72. 

  13. Tak, J. H., & van Bon, W. H. J. (2006). Pain-and distress-reducing interventions for venipuncture in children.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2, 257-268. 

  14. Uman, L. S., Chambers, C. T., McGrath, P. J., & Kisely, S. (2008).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xamin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needle-related procedural pain and distr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 abbreviated cochrane review.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3, 842-854. 

  15. Yoon, H. S., Park, M. A., Park, E. J., Choi, J. H., Kim, M. Y., Lim, J. M., et al. (2010). Study on prolonging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indwell time based on phlebitis rat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145-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