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 애착 및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Maternal-fetal Attachment of Expectant Mothers Whose Fetus Has a Prenatal Diagnosi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3, 2012년, pp.150 - 156  

임유미 (서울아산병원 선천성심장병센터) ,  김은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유일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maternal-fetal attachment (MFA) of the expectant mothers of a fetus with a prenatal diagnosi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MFA. Methods: The methodology was a cross sectional survey study using a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 애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초음파에서 정상 태아 소견을 보인 임부와 비교하고, 모-태아 애착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 애착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초음파에서 정상 태아 소견을 보인 임부와 비교하고, 모-태아 애착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선천성 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 애착은 정상 임부의 애착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태어날 아기가 선천성 심장병이 있다고 진단을 받은 임부의 모-태아 애착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초음파에서 정상 태아 소견을 보인 임부의 모-태아 애착 관계와 비교하고, 모-태아 애착과 관련된 요인 중 특히 간호 중재가 가능한 심리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확인하여, 향후 선천성 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임부의 모-태아 애착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후 1년 이내에 선천성 이상 진단을 받은 출생아 중 '선천성 이상아 조사의 결과'는 어떠한가? 2010년 보건복지부 보도 자료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출생한 88만 3,184명 가운데 생후 1년 이내에 선천성 이상 진단을 받은 출생아 3만 8,199명을 대상으로 ‘선천성 이상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절반가량이 심장 기형인 것으로 조사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W], 2010).
선천성 심장 기형에 대한 산전 진단을 받지 못할 경우 겪게 될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중 완전 대혈관 전위, 폐동맥 판막의 완전 폐쇄가 동반된 심장 기형, 전 폐정맥 환류 이상 등의 선천성 심장 기형은 산전 진단 후 계획 분만을 하여 출생 직후 치료를 시작하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한 기형이다. 그러나 산전 진단을 받지 못한 경우 출생 후 아기의 상태가 악화되어 수술 시기가 늦어지거나 아예 수술을 받지 못하여 출생 후 수일 내에 사망하거나 수술 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심장기형이 의심되는 태아를 임신한 산모는 출생 후 신생아실의 집중치료 및 응급수술이 가능한 3차 의료기관으로 전원 되어 출산 전 관리를 받고 계획된 출산을 하여야 아기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Park, 2008).
선천성 심장병을 진단하기 위한 정밀 초음파는 임신 몇 주부터 가능한가? 최근 초음파 검사의 발달로 태아의 각종 기형을 미리 발견하기 위한 임부 대상 초음파 검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선천성 심장병을 진단하기 위한 정밀 초음파는 임신 16주부터 가능하다(Park, 2008). 이 중 완전 대혈관 전위, 폐동맥 판막의 완전 폐쇄가 동반된 심장 기형, 전 폐정맥 환류 이상 등의 선천성 심장 기형은 산전 진단 후 계획 분만을 하여 출생 직후 치료를 시작하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한 기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H. L. (1985).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1), 5-16. 

  2. Bloom, K. C. (1998). Perceived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of the baby and maternal attachment in adolescen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7, 420-430. 

  3. Chang, S. B., Kim, K. Y., & Kim, E. S. (2001). Change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lf efficacy for delivery after the taekyo-perspective prenatal class.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7(1), 7-11. 

  4. Condon, J. T., & Corkindale, C. (1997). The correlates of antena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0, 359-372. 

  5. Cranley, M. S. (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 281-284. 

  6. Cropley, C. (1986). Assessment of mothering behavior. In: S. H. Johnson (Ed.), Nursing assessment & strategies for the family at Risk : High-risk parenting (pp. 15-40). Philadelphia, PA: Lippincott Company. 

  7. Curry, M. A. (1987). Maternal behavior of hospitalized pregnant wome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7, 165-181. 

  8. Curry, M. A., Campbell, R. A., & Christian, M. (1994).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of the prenatal psychosocial profi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127-135. 

  9. Fuller, J. R. (1990). Early patterns of maternal attachment.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1, 433-446. 

  10. Gaffney, K. F. (1986). Maternal-fetal attachment in relation to self-concept and anxiety. Maternal-Child Nursing Journal, 15(2), 91-101. 

  11. Grace, J. T. (1989). Development of maternal-fet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8, 228-232. 

  12. Kang, S. Y., & Chung, M. R.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an's stress, temperament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 213-223. 

  13. Koniak-Griffin, D.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in adolescen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1, 269-278. 

  14. Kwon, M. K., & Bang, K. S. (2011).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276-283. 

  15. Lee, J. Y., Cho, J. Y., Chang, S. B., Park, J. H., & Lee, Y. H. (2002).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by ultrasound on maternal-fetal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8, 335-344. 

  16. Mercer, R. T., & Ferketich, S. L. (1988). Stres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0(2), 26-39. 

  17. Mercer, R. T., Ferketich, S. L., May, K., DeJoseph, J., & Sollid, D. (1988). Further exploration of maternal and paternal fetal attach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1(2), 83-95.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c. (2010, January 27). Analysis of congenital anomaly: 45% of congenital anomaly are CHD. Retrieved January 27, 2010, from http://www.mw.go.kr/front/al/sal0301ls.jsp?PAR_MENU_ ID04&MENU_ID0403 

  19. Muller, M. E. (1996). Prenatal and postnatal attachment: A modest correlat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5, 161-166. 

  20. Park, I. S. (2008). An atlas and text of congenital heart disease (2nd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1. Schore, A. N. (2001). Effect of a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on right brain development, affect regulation, and infant mental health.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2, 7-66. 

  22. Upham, M., & Medoff-Cooper, B. (2005). What are the responses & needs of mothers of infants diagnose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0(1), 24-29. 

  23. Yang, K. M., & Kim, S. L. (2010). Effects of a Taegyo program on parent-fetal attachment and parenthood in first pregnancy coup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571-579. 

  24. Yarcheski, A., Mahon, N. E., Yarcheski, T. J., Hanks, M. M., & Cannela, B. L. (2009).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 708-7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