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소아와 성인에서 발생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비교: 1개 3차 병원의 16년간 경험
Comparison of Infective Endocarditi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 16-Year, Single Tertiary Care Center Review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3 no.3, 2016년, pp.209 - 216  

권정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  김여향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소아와 성인에서 발생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차이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선천성 심장병이 있으면서 심내막염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 14예와 성인 11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소아는 모두 심내막염을 진단받기 전에 선천성 심장병을 진단받았고, 팔로사징이 가장 많았다. 성인은 4예만 선천성 심장병을 심내막염 전에 진단받았고, 심실중격결손이 가장 많았다. 심내막염 진단전 소아 6예, 성인 2예가 개심 교정 수술을 받았다. 원인균은 소아에서는 포도알균, 성인에서는 사슬알균이 가장 많았다. 증상 발현 후 심내막염이 진단되기까지 소아는 9일, 성인은 42일이 걸렸다. 결론: 소아 감염성 심내막염은 성인에 비해 진단과 경과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과 치료에는 나이에 맞고, 체계적인 재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ve endocarditis (IE)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at a single tertiary care center.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we extract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선천성 심장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감염성 심내막염을 환자의 나이에 따라 구분해보고, 소아와 성인에서 심내막염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심내막염 발생 이전에 선천성 심장병에 대한 진단과 개심 교정 수술 여부, 원인 균의 종류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에 저자들은 일개 3차 병원에서 경험한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소아와 성인에서 발생한 감염성 심내막염을 조사하고, 차이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염성 심내막염은 어떤 질환인가? 감염성 심내막염은 정상 심장보다는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환자에서 이환율이 높은 질환이다1). 과거에는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의 기저 질환으로 류마티스성 심장병이나, 판막 질환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특히 최근 수십 년간 선천성 심장병에 대한 수술 방법과 치료 성적 향상으로 이들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선천성 심장병 환자에서 감염성 심내막염 발생은 증가하고 있다1-4).
과거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기저 질환은 무엇인가? 감염성 심내막염은 정상 심장보다는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환자에서 이환율이 높은 질환이다1). 과거에는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의 기저 질환으로 류마티스성 심장병이나, 판막 질환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특히 최근 수십 년간 선천성 심장병에 대한 수술 방법과 치료 성적 향상으로 이들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선천성 심장병 환자에서 감염성 심내막염 발생은 증가하고 있다1-4). 지난 70년간 감염성 심내막염을 진단받고 치료한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들이 가진 심장병을 살펴보면, 1930–1959년에는 선천성 심장병이 69%였으나, 1992–2004년에는 80%로 증가하였고, 1930–1959년에 31%를 차지했던 류마티스성 심장병은 1992–2004년에 1.
인공 도관이나 인공 판막등을 이용한 수술환자들이 감염성 심내막염의 발생 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인공 도관이나 인공 판막 등을 이용한 수술은 선천성 심장병 환자에서 감염성 심내막염의 중요한 위험 요인 중의 하나이고, 술 후 6개월 이내에 감염성 심내막염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12). 이는 인공 삽입물의 내피 세포 형성(endothelialization)이 6개월 정도 소요되고, 그 사이에 감염이 있을 때 수술 부위에 병원균의 증식이 잘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 이번 연구에서는 개심 교정 수술 후 6개월 이내에 감염성 심내막염이 발생한 경우는 2예 있었으나, 수술 경과 기간과 심내막염 발생 빈도의 통계학적 관련성은 찾을 수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Rushani D, Kaufman JS, Ionescu-Ittu R, Mackie AS, Pilote L, Therrien J, et al. Infective endocarditis in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umulative incidence and predictors. Circulation 2013;128:1412-9. 

  2. Di Filippo S, Delahaye F, Semiond B, Celard M, Henaine R, Ninet J, et al. Current patterns of infective endocarditis in congenital heart disease. Heart 2006;92:1490-5. 

  3. Rosenthal LB, Feja KN, Levasseur SM, Alba LR, Gersony W, Saiman L. The changing epidemiology of pediatric endocarditis at a children's hospital over seven decades. Pediatr Cardiol 2010;31:813-20. 

  4. Nakatani S, Mitsutake K, Hozumi T, Yoshikawa J, Akiyama M, Yoshida K, et al. Current characteristics of infective endocarditis in Japan: an analysis of 848 cases in 2000 and 2001. Circ J 2003;67:901-5. 

  5. Baek JE, Park SJ, Woo SB, Choi JY, Jung JW, Kim NK. Changes in patient characteristics of infective endocarditi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25 years experience in a single institution. Korean Circ J 2014;44:37-41. 

  6. Baek JS, Bang JS, Bae EJ, Noh CI, Lee HJ, Choi JY, et al. Current characteristics of infective endocarditi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 retrospective survey of 121 cases between 1985 and 2006. Korean Circ J 2007;37:635-40. 

  7. Li JS, Sexton DJ, Mick N, Nettles R, Fowler VG Jr, Ryan T, et al.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Duke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infective endocarditis. Clin Infect Dis 2000;30:633-8. 

  8. Kim KH, Sul JH, Lee SK, Chin DS, Cho SY, Lee WK, et al. A clinical survey of infective endocarditis. Korean Circ J 1985;15:95-109. 

  9. Johnson JA, Boyce TG, Cetta F, Steckelberg JM, Johnson JN. Infective endocarditis in the pediatric patient: a 60-year single-institution review. Mayo Clin Proc 2012;87:629-35. 

  10. Kim JS, Kim YJ, Moon KS, Kim IW, Choi RK, Han CH, et al. Clinical observation of infective endocarditis. Korean Circ J 2000;30:166-73. 

  11. Kim SH, Huh J, Kang IS, Lee HJ, Yang JH, Jun TG, et al. Infective endocarditis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Korean Circ J 2006;36:318-23. 

  12. Martin JM, Neches WH, Wald ER. Infective endocarditis: 35 years of experience at a children's hospital. Clin Infect Dis 1997;24:669-75. 

  13. Ishiwada N, Niwa K, Tateno S, Yoshinaga M, Terai M, Nakazawa M, et al. Causative organism influences clinical profile and outcome of infective endocarditis in pediatric patients and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irc J 2005;69:1266-70. 

  14. Elder RW, Baltimore RS. The changing epidemiology of pediatric endocarditis. Infect Dis Clin North Am 2015;29:513-24. 

  15. Wilson W, Taubert KA, Gewitz M, Lockhart PB, Baddour LM, Levison M, et al. Prevention of infective endocarditis: guideline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Rheumatic Fever, Endocarditis, and Kawasaki Disease Committee, Council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Young, and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Council on Cardiovascular Surgery and Anesthesia, and the Quality of Care and Outcomes Research Interdisciplinary Working Group. Circulation 2007;116:1736-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