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점볼락(Sebastes oblongus) 자치어의 골격발달
Early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in Sebastes oblongus (Pisces: Scorpaenida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4 no.2, 2012년, pp.67 - 76  

변순규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강충배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원) ,  차반석 (시공테크) ,  한경호 (전남대학교 해양생산학부) ,  정춘구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육 중인 친어로부터 자연 산출된 자어를 2007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수조에서 사육하면서 자치어의 성장에 따른 골격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산출직후의 자어는 어떠한 골격요소도 전혀 골화되지 않았다. 부화 후 3일째의 평균전장 8.0mm에 처음으로 턱뼈의 골화와 함께 액골, 노정골, 쇄골, 새개골, 새조골 등의 골화가 시작되었다. 새개부를 구성하는 골격들은 12.3mm에 골화가 모두 완료되었으며, 두개골과 견대골을 구성하는 골격들은 평균전장 16.2 mm에 골화가 완료되었다. 미골복합체는 평균전장 9.8 mm에 하미축골의 골화가 시작되었고 이후 평균전장 10.8mm에 1번째와 2번째 하미축골 및 3번째와 4번째 하미축골이 서로 융합이 일어났으며, 평균전장 18.0 mm에 마지막으로 상미축골이 골화되어 모든 골격이 완료되었다. 척색의 굴절은 평균전장 8.5mm에 형성되어 평균전장 10.8mm에 완료되었으며, 26개로 구성된 척추골의 골화는 13.2mm에 완료되었다. 안와골의 골화는 안전골은 평균전장 10.8 mm에서 안하골은 평균전장 12.3 mm에서 골화가 시작되었으며, 평균전장 27.5 mm에 완료되었다. 최종적으로 부화 후 71일, 평균전장 27.5mm에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keletal development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was studied based on extensive larval rearing conditions from December 2007 to March 2008. Newly-hatched larvae lacked osteological elements. After 3 days of bearing, jaw bones were ossifi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frontal, pa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자치어 단계에서 볼락 속의 다른 종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분류와 동정이 어려운 황점볼락을 대상으로 발육상태에 따른 내부 골격발달 과정에 관한 기본 패턴을 기술하여 본 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점볼락이란? 황점볼락(Sebastes oblongus)은 쏨뱅이목(Scorpaeniformes), 양볼락과(Scorpaenidae), 볼락속(Sebastes)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남부연안 및 일본 홋카이도 이남에서 큐슈까지 분포하며 연안의 암반 지대에 서식하는 난태생어류로 대중적인 어종이다(정, 1977; Nakabo, 2000).
황점볼락이 분포하는 지역과 서식하는 장소는? 황점볼락(Sebastes oblongus)은 쏨뱅이목(Scorpaeniformes), 양볼락과(Scorpaenidae), 볼락속(Sebastes)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남부연안 및 일본 홋카이도 이남에서 큐슈까지 분포하며 연안의 암반 지대에 서식하는 난태생어류로 대중적인 어종이다(정, 1977; Nakabo, 2000).
황점볼락 자치어의 성장에 따른 골격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 골화가 처음 시작되는 전장 크기와 그 시기는? 산출직후의 자어는 어떠한 골격요소도 전혀 골화되지 않았다. 부화 후 3일째의 평균전장 8.0mm에 처음으로 턱뼈의 골화와 함께 액골, 노정골, 쇄골, 새개골, 새조골 등의 골화가 시작되었다. 새개부를 구성하는 골격들은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곽은주.이경우.최낙현.박충국.한경호.이원교.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 인공종묘의 생식소 발달과 성비. 한국수산학회지, 39: 297-302. 

  2. 김용억.한경호. 1989. 해산동물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1. 미끈날망둑, Chaenogobius laevis (Steindachner)의 난발생과자치어. 한국수산학회지, 22: 317-331. 

  3. 김용억.한경호. 1991.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3: 67-83. 

  4. 김용억.;한경호.강충배. 1992a. 저울베도라치, Entomacrodus stellifer 자치어의 형태와 골격발달. 한국어류학회지, 4: 31-43. 

  5. 김용억.한경호.강충배,김진구,변순규. 1997.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 초기생활에 관한 연구 2. 산출 자치어의 외부형태 및 골격발달. 한국어류학회지, 9: 186-194. 

  6. 김용억.?한경호.강충배.유정화. 1992b.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Gill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4: 1-13. 

  7. 김용억.한경호.변순규. 1993. 볼락, Sebastes inermis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2. 산출 자치어의 외부형태 및 골격발달. 한국수산학회지, 26: 465-476. 

  8. 배희찬.정상철. 1999. 제주산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의 연령과 성장. 한국수산학회지, 32: 432-437. 

  9. 변순규.고창순.문영봉. 1995.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의 난발생 과정과 부화자어의 형태. 국립수산과학원연구보고, 50: 31-39. 

  10. 변순규.김병학.한석중.문영봉. 1997.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의 출산과 자치어 사육. 국립수산과학원연구보고, 53: 81-88. 

  11. 윤성종.황형규.박경현.한석중.이윤호.김대현.김재원. 2007.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한국양식학회지, 20: 47-50. 

  12. 이택열.김성연. 1992. 난태생 경골어류 볼락, Sebastes inermis의 생식과 체내자어발달. 한국수산학회지, 25: 413-431. 

  13. 장영진.임한규.변순규. 1995.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의 성숙과 생식주기. 한국양식학회지, 8: 31-46. 

  14.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8pp. 

  15. 한경호.임상구.김광수.김철원.유동재. 2001. 한국산 붉은쏨뱅이 Sebastiscus tertius (Barsukov et Chen) 자치어의 골격 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3: 63-68. 

  16. 한경호.조재권.이성훈.황선영.윤선영.서원일.김춘철. 2005. 졸복 (Takifugu pardalis)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7: 29-35. 

  17. Coban, D., C. Suzer, H.O. Kamaci, S. Saka and K. Firat. 2009. Early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fins in the hatchery-reared red porgy, Pagrus pagrus (L. 1758). J. Appl. Ichthyol., 25: 26-32. 

  18. Dasilao, Jr J.C. and K. Yamaoka. 1998. Osteological and functional development of the flyingfish, Cypselurus heterurus doederleini (Teleostei: Exocoetidae). Bull. Mar. Sci. Fish. Kochi Univ., 18: 13-26. 

  19. Emery, A.R. 1973. Ecology and functional osteology damselfish (Pisces; Pomacentridae) at Alligator Reef, Florida Keys. Bull. Mar. Sci., 23: 649-770. 

  20. Gosline, W.A. 1961. The perciform caudal skelton. Copeia (1961): 265-270. 

  21. Kawamura, K. and K. Hosoya. 1991. A modified double staining technique for making a transparent fish skeletal specimen. Bull. Nalt'l. Res. Inst. Aquaculture, 20: 11-18. 

  22. Kendall, A.W. and B. Vinter. 1984. Development of Hexagrammids (Pisces: Scorpaeniformes) in the northeastern Pacific Ocean. US Dep. Commer NOAA Tech. Rep. NMFS. 2: 44pp. 

  23. Kendall, A.W., E.H. Ahlstrom and H.G. Moser. 1984. Early life history stages of fishes and their characters. In: Moser, H.G., W.J. Richards, D.M. Cohen, M.P. Fahay, A.W. Kendall and S.L. Richardson (eds.), Ontogeny and systematics of fishes.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special publication no 1. Allen Lawrence KS, 11-12. 

  24. Kendall, W. 1991. Systematics and identification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genus Sebastes. Env. Biol. Fish, 30: 173-190. 

  25. Kohno, H. 1997.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caudal skeleton in the carangid, Seriola lalandi. Ichthyol. Res., 44: 219-221. 

  26. Koumoundouros, G., F. Gagliardi, P. Divanach, C. Boglione, S. Cataudella and M. Kentouri. 1997a. Normal and abnormal osteological development of caudal fin in Sparus aurata L. fry. Aquaculture, 149: 215-226. 

  27. Koumoundouros, G., G. Oran, P. Divanach, S. Stefanakis and M. Kentouri. 1997b. The opercular complex deformity in intensive gilthead sea bream (Spartus aurata L.) larviculture. Moment of apparition and description. Aquaculture, 156: 165-177. 

  28. Koumoundouros, G., D.G. Sfakianakis, E. Maingot, P. Divanach and M. Kentouri. 2001a.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vertebral column and of the fins in Diplodus sargus (Teleostei: Perciformes: Sparidae). Mar. Biol., 139: 853-862. 

  29. Koumoundouros, G., P. Divanach and M. Kentouri. 2001b. Osteological development of Dentex dentex (Osteichthyes: Sparidae): dorsal, anal, paired fins and squamation. Mar. Biol., 38: 399-406. 

  30. Liu, C.H. 2001. Early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yellow tail Seriola dumerili (Pisces: Carangidae). Zool. Stud., 40: 289-298. 

  31. Matsuoka, M. 1985. Osteological development in the red sea bream, Pagrus major. Japanese J. Ichthyol., 32: 35-51. 

  32. Matsuoka, M. 1987. Development of the skeletal tissues and skeletal muscles in the red sea bream. Bull. Seikai Red. Fish Res. Lab., 65: 1-14. 

  33. Matsuura, Y. and M. Katsuragawa. 1984. Osteological development of fins and their supports of larval grey triggerfish, Balistes capriscus. Japan J. Ichthyol., 31: 411-421. 

  34. Mook, D. 1977. Larval and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sheepshead, Archosargus probatocephalus (Pisces: Sparidae). Copeia (1977): 126-133. 

  35. Nakabo, N. 2000.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2nd (Ed). Tokai Univ. Press. Tokai. XIII-Ivi, 1748pp. 

  36. Okiyama, M. 1979. Manuals for the larval fish taxonomy (2), General aspects of larval characters that aid identification. Aquabiology, 2: 53-59. 

  37. Okiyama, M.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 Press, 1184pp. 

  38. Potthoff, T. and J.A. Tellock. 1993.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snook, Centropomus undecimalis (Teleostei, Centropomidae). Bull. Mar. Sci., 52: 669-716. 

  39. Potthoff, T., S. Kelley and L.A. Collins. 1988.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red snapper, Lutjanu scampechanus (Lutjanidae). Bull. Mar. Sci., 43: 1-40. 

  40. Potthoff, T., S. Kelly, V. Saksena, M. Moe and F. Young. 1987. Description of larval and juvenile damselfish Microspathodon chrysurus, Pomacentridae, and their osteological development. Bull. Mar. Sci., 40: 1-40. 

  41. Sfakianakis, D.G., C.K. Doxa, S. Kouttouki, G. Koumoundouros, E. Maingot, P. Divanach and M. Kentouri. 2005.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vertebral column and of the fins in Diplodus puntazzo (Cetti, 1777). Auqaculture, 250: 36-46. 

  42. Sfakianakis, D.G., G. Koumoundouros, P. Divanach and M. Kentouri. 2004.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vertebral column and of the fins in Pagellus erythrinus (L. 1758). Temperature effedt on the developmental plasticity and morphoanatomical abnormalities. Auqaculture, 232: 407-424. 

  43. Taki, Y., H. Kohno and S. Hara. 1986. Early development of finsupports and fin-rays in the milkfish Chanos chanos. Japan J. Ichthyol., 32: 413-420. 

  44. Tochino, M., M. Yamamoto, K. Yamaga and M. Fujiwara. 2003. Replacement of fish species form Sebastes oblongus to Sebastes schlegeli, confirmed by the change of the appearance juveniles associated with floating seaweeds in the central Seto Inland Sea,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69: 805-807. 

  45. Vandewalle, P., I. Gluckmann, E. Baras, F. Huriaux and B. Focant. 1997.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the cephalic region in Heterobranchus longifilis. J. Fish. Bio., 50: 227-253. 

  46. Wagemans, F. and P. Vandewalle. 1999. Development of the cartilaginous skull in Solea solea: trends on Pleuronectiforms. Ann. Sci. Nat., 1: 39-52. 

  47. Yuschak, P. and W.A. Lund. 1984. Eggs, larvae and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northern searobin, Prionotus carollnus (Pisces, Triglidae). J. Northw. Atl. Fish. Sci., 5: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