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부산물을 함유한 생분해성 멀칭비닐의 포장 재배조건에서의 특성 및 분해력 연구
Studies on the Bio-degrad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Mulching Films Containing Rice By-products Applied to Upland Crop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2, 2012년, pp.99 - 105  

한상익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강항원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장기창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서우덕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성환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나지은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형운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정미남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최경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비닐의 생분해 특성과 작물 재배에 따른 특성 변이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인 벼 부산물(왕겨와 쌀겨)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생분해가 가능한 멀칭 비닐을 제조하였다. 2.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특성 검정을 위한 표준 생분해도 측정결과 셀룰로오스 대비 75%의 생분해가 되어 친환경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3.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비닐과 비교해서 인장강도와 인장력에서 우수함을 보였고, 파단점 비후 비교에서도 생분해성 비닐은 지속적인 힘을 유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4. 작물을 대상으로한 시험에서 기계화도 가능하며, 인장강도와 인장력을 통한 분해력 비교에서 작물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강도와 인장력에 차이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작물의 토양 피복도가 생분해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bio-degradable mulching film concern the degradation during the lifetime of cultivated crops. A set of rice by-product (rice-hull and rice-bran) based bio-degradable mulching films was developed and tested, following the measurement of standa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벼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주성분으로 하는 생분해성 멀칭비닐의 표준 분해도 검정을 통한 분해력 검정과 포장 작물 재배의 적응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 분야에서 생분해 플라스틱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농업 분야에서의 생분해 플라스틱의 이용은 대부분 멀칭 비닐을 포함한 터널재배 형태의 생분해되는 비닐에 치중해 있으며, 비닐 생산을 위한 원재료로는 전분을 기반으로한 고분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 되는 전분 기반 생분해 비닐 재료는 폴리하이드록시 부틸레이트(PHB)와 폴리락틱산(PLA)이 있다.
PE(polyethylene) 멀칭 재배의 장점은 무엇인가? 지난 50여년간 석유로부터 개발된 고분자 플라스틱은 주곡작물과 원예작물의 생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나 비닐하우스와 일반 노지의 멀칭재배를 위한 비닐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이것은 작물재배에 있어서 PE(polyethylene) 멀칭 재배는 토양수분 유지보존, 지온변화 억제, 토양침식 방지, 잡초의 억제효과가 있어 최근 급격하게 줄고 있는 농촌 인구와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재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Lee et al., 2009; Briassoulis, 2007; Hwang et al.
생분해성 비닐의 생분해 특성과 작물 재배에 따른 특성 변이를 검정한 결과는 무엇인가?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비닐의 생분해 특성과 작물 재배에 따른 특성 변이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인 벼 부산물(왕겨와 쌀겨)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생분해가 가능한 멀칭 비닐을 제조하였다. 2.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특성 검정을 위한 표준 생분해도 측정결과 셀룰로오스 대비 75%의 생분해가 되어 친환경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3.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비닐과 비교해서 인장강도와 인장력에서 우수함을 보였고, 파단점 비후 비교에서도 생분해성 비닐은 지속적인 힘을 유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4. 작물을 대상으로한 시험에서 기계화도 가능하며, 인장강도와 인장력을 통한 분해력 비교에서 작물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강도와 인장력에 차이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작물의 토양 피복도가 생분해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iassoulis, D. 2007. Analysis of the mechanical and degradation performances of optimised agricultural biodegradable films.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92 : 1115-1132. 

  2. Doane, W. M. 1992. USDA research on starch-based biodegradable plastics. Starch. 44 : 292-295. 

  3. Galicia-Garcia, T., F. Martinez-Bustos, O. Jimenez-Arevalo, A. B. Martinez, R. Ibarra-Gomez, M. Gaytan-Martinez, M. Mendoza-Duarte. 2011. Thermal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films prepared by extrusion-calendering process. Carbohydrate Polymers. 83 : 354-361. 

  4. Han, S. I., H. W. Kang, D. W. Byun, K. C. Jang, W. D. Suh, J. E. Ra, J. Y. Kim, and K. J. Choi. 2011. 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ulching Films Containing Rice By-product. Korean J. Crop Sci. 56(2) : 113-118. 

  5. Hwang, H. J., J. W. Suh, I. J. Ha, and Y. W. Ryu. 1996. Effects of planting time and mulching material on growth and seed yield for seed production culture in onion. RDA. J. Agri. Sci. 38(1) : 640-647. 

  6. Kim, H. K. and B. H. Hong. 1996.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ain yield of sesame. Korean J. Crop Sci. 31(3) : 260-269. 

  7. Kim, J. H., T. H. Park, D. M. Shin, S. H. Lee, and G. Y. Han. 1994. 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of Starch-filled Polyethylene Film by Fungi. Korean J. Biotechnol. Bioeng. 9(4) : 412-417 

  8. Kim, M. R. and S. J. Lee. 2000. Mechanical Properties and Degradability of Degradable Polyethylene Films Containing Crosslinked Potato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 : 1298-1305 

  9. Kim M. R. 2004. Gas and Lipid Permeabilities and Biodegradability of Poly(3-Hydroxybutyric Acid)/Chitosan Blend Film. Korean J. Food SCI. Technol. 33(7) : 1224-1229 

  10. Lee, J. S., K. H. Jeong, H. S. Kim, J. J. Kim, Y. S. Song, and J. K. Bang. 2009. Bio-Degradable Plastic Mulching in Sweetpotato Cultivation. Korean J. Crop Sci. 54(2) : 135-142.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03. Determination of the ultimate aerobic biodegradability and disintegration of plastic materials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 Part 1: Analysis of evolved carbon dioxide by titration method 

  12. Mohanty, A. K., M. Misra, and G. Hinrichsen. 2000. Biofibres, biodegradable polymers and biocomposites : An overview. Macromolecular Materials and Engineering. 276-277 : 1-24. 

  13. Rhim, J. W. and J. H. Kim. 2004.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Films Using Various Marine Algae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 : 69-74 

  14. Scarascia-Mugnozza, G., E. Schettini, G. Vox, M. Malinconico, B. Immirzi, and S. Pagliara. 2006. Mechanical properties decay and morphological behaviour of biodegradable films for agricultural mulching in real scale experiment.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91(11) : 19-24. 

  15. Suk, H. S., S. H. Jung, S. C. Kim, B. S. Kim, Y. S. Shin, T. J. Lee, S. H. Jang, and B. Y. Shin. 2003.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Oxygen Permeability of Pectin/Starch Blend Film.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4(8) : 1098-1103 

  16. Tuil, R. V., F. Paul, M Lawther, and C. J. Weber. 2000. Properties of biobased packaging materials. 13-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