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대한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차별적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MICE Industrial Employee's Job Attitud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7, 2012년, pp.123 - 137  

고종욱 (안양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박종표 (호서대학교 MICE벤처기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정성의 결과변수로서 직무만족,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의 네 측면에서 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이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30개 MICE업체 종사자 303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자료수집도구로는 자기기입식 설문서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절차공정성보다는 분배공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MICE산업종사자들의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대해서는 분배공정성보다는 절차 공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는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관련해서는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MICE산업종사자들의 잔류의도 및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분배공정성의 긍정적 영향은 절차공정성이 높을 때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관계 및 역할과 관련한 두 요인모형, 문화적 모형 및 상호작용모형에 대하여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the MICE industrial employee's job attitude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MICE industrial employees in metropolitan area by self-stated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성과 및 조직유효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조직공정성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 구체적으로 직무만족,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만족,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30개 MICE업체 종사자 303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 조직공정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흐름은 분배 및 절차 공정성이 결과변수들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의 탐구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도 직무만족,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의 네 결과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관계 및 역할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널리 논의되고 있는 것이 두 요인모형 (two-factor model), 문화적 모형(cultural model), 그리고 상호작용모형(interaction model)이 있다.

가설 설정

  • 또한 본 연구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연구에서 주로 개인관련 변수로 분류되고 있는 조직 잔류(이직)의도 변수도 관점에 따라서는 조직관련 변수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42]. 둘째로,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차별적 영향이 단지 결과변수의 특성에 따라서만 달라진다고 보는 단순성도 이모형이 경험적으로 일관되게 지지받지 못하는 이유일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의 두 차원인 분배 및 절차공정성을 모두 고려할 것이다. 또한 조직공정성의 결과 변수인 직무태도로는 MICE산업종사자들의 직무태도, 구체적으로 직무만족, 잔류의도,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위의 네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ICE산업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최근 융합화 되는 산업구조 변화에서 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our), 국제회의(Convention) & 전시산업(Exhibition)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되는 MICE산업은 국민경제성장과 소득․고용창출에 파급효과가 큰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서비스․지식기반 산업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 MICE산업은 지난 10여 년 간 양적으로 성장하였으며, 대부분 30대 고학력으로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이 진출하고 있다[2].
MICE산업의 문제점은? 그러나 이러한 성장의 이면에는 체계적이지 못한 인적자원의 개발과 육성체제의 미비, 원활하지 못한 전문인력수급 문제를 안고 있으며, 비효율적인 인적자원의 관리 및 활용, 능력과 성과에 따른 보상시스템의 미 확립 등의 이유로 핵심인력이 타 산업으로 유출되는 사례가 빈번한 실정이다[3].
조직공정성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공정성 관련 문헌에 따르면 조직공정성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으로부터 받는 보상의 크기가 조직에 대한 자신의 기여와 비교하여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가리키는 분배공정성(distributive justice)과 보상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수단이나 절차가 얼마나 공정한가에 대한 인식 정도를 가리키는 절차공정성 (procedural justice)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진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민경호, 조국행, "공정성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제26집, 제3권, pp.80-81, 2002. 

  2. 한국MICE 협회, MICE전문가 교육수준조사 및 커리큘럼개발, pp.38-66, 2010(10) 

  3. 한국MICE 협회, MICE전문가 교육수준조사 및 커리큘럼개발, pp.38-66, 2010(10) 

  4. R, Cropanzano and J. Greenberg, "Progress in Organizational Justice: Tunneling through the maze," In C. Cooper & I. T. Robertson(eds.),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Ltd., Vol.12, pp.317-372, 1997. 

  5. T. R. Tyler and P. Degoey, "Collective Restraint in Social Dilemmas: Procedural Justice and Social Identification Effects on Support for Authorit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pp.482-497, 1995. 

  6. B. Kabanoff, "Equity, equality, power, and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6, pp.416-441, 1991. 

  7. D. T. Miller, "Disrespect and the experience of injusti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2, pp.527-553, 2001. 

  8. J. Greenberg,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Vol.16, No.2, pp.399-432, 1990. 

  9. J. S. Adams,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Vol.2, pp.267-299, 1965. 

  10. G. C. Homans,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1961. 

  11. L. Festinger,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7. 

  12. M. J. Lerner, "The Justice Motives: Some Hypotheses as to Its Origins and Forms," Journal of Personality, Vol.45, pp.1-52, 1976. 

  13. R. Folger,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Combined impact of "voice" and improvement on experienced inequ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1148-1160, 1977. 

  14. J. Greenberg,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2, pp.9-22, 1987 

  15. E. A. Lind and T. R. Tyler,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New York: Plenum, pp.267-278, 1988. 

  16. J. Thibaut and L. Walker,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y Analysis, Hillsdale, NJ: Erlbaum, pp.45-67, 1975. 

  17. J. G. Blodgett, D. J. Hill, and S. S. Tax, "The Effects of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on Postcomplaint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Vol.73, No.2, pp.185-210, 1997. 

  18. T. L. Robbins, T. P. Summers, J. J. Muller, and W. H. Hendrix, "Using the Group-Value Model to Explain the Role of Non instrumental Justice in Distinguishing the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3, pp.511-518, 2000. 

  19. S. Alexander and M. Rudman, "The role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organizational behavior," Social Justice Research, Vol.1, pp.177-198, 1987. 

  20. W. H. Hendrix, T. Robbins, J. Miller, and T. P. Summers,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Factors Predictive of Turnover,"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13, No.4, pp.611-632, 1998. 

  21. D. B. McFarlin and P. D. Sweeny,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5, No.3, pp.226-237, 1992. 

  22. P. D. Sweeney and D. B. McFarlin, "Workers' evaluation of the ends and the means: an examination of four model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5, pp.23-40, 1993. 

  23. R. Folger and M. A. Konovsky,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2, pp.115-130, 1989. 

  24. R. H. Moorma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AP, Vol.76, pp.845-855, 1991. 

  25. M. A. Konovsky and S. D. Pugh, "Citizenship Behavior and Social Ex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pp.656-669, 1994. 

  26. D. Field, M. Pang, and C. Chiu,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Employee Outcomes in Hong Ko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pp.547-562, 2000. 

  27. J. K. Giacobbe-Miller, D. J. Muller, and V. I. Vicorov, "A Comparison of Russian and U. S. Pay Allocation Decisions, Distributive Justice Judgements, and Productivity under Different Pay Conditions," Personnel Psychology, Vol.51, pp.137-163, 1998. 

  28. V. B. Murphy-Berman,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istributive Justice: A Comparison of Hong Kong and Indonesia,"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33, No.2, pp.157-170, 2002. 

  29. 임준철, 윤정구,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적 맥락이 조직성원의 행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27권, 제 1호, pp.93-111, 1998. 

  30. C. W. Mueller, R. D. Iverson, and D. G. Jo, "Distributive Justice Evaluations in two Cultural Contexts: A Comparison of U. S and South Korean Teachers," Human Relations, Vol.52, No.7, pp.869-893, 1999. 

  31. 정범구,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 분배공정성 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효과", 인사관리연구, Vol.18, pp.469-498, 1994. 

  32. J. Brockner and B. M. Wiesenfeld,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Explaining Reactions to Decisions: The Interactive Effects of Outcomes and Procedure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0, pp.189-208, 1996. 

  33. R. Cropanzano and R. Folger, "Referent Cognitions and Task Decision Autonomy: beyond Equity Theory JAP," Vol.74, pp.293-299, 1989. 

  34. R. olger, "Rethinking equity theory: A referent cognitions model," in H. W. Bierhoff, R. L. Cohen, & J. Greenberg(Eds). Justice in Social Relations, New York : Plenum, pp.145-164, 1986. 

  35. G. Leventhal, "What should be done with equity theory?," In R. J. Greenberg, M. S. Greenberg, & R. H. Willis, R.(eds.), Social exchange: Advance in theory and research, Plenum Press, N. Y., pp.27-55, 1980. 

  36. J. L. Price and C. W. Mueller,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I Press, 1986. 

  37. A. H. Brayfield and H. F. Rothe,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35, pp.307-311, 1951. 

  38. J. P. Meyer, N. J. Allen, and C. A. Smith,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No.4, pp.538-551, 1993. 

  39. D.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1988. 

  40. J. Jaccard, R. Turrisi, and C. K. Wan,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Regression," Newbury Park, CA : Sage Publications, 1990. 

  41. S. P. Schappe, "Understanding Employee Job Satisfaction: The Importance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12, No.4, pp.493-503, 1998. 

  42. T. L. Tang and L. J. Sarsfield-Baldwin,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Related to Satisfaction and Commitment,"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Vol.61, No.3, pp.25-31, 1996. 

  43. 고종욱, 서상혁,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지방공무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지방자치학회보, 제15권, 제4호, pp.117-136, 2003. 

  44. D. Field, M. Pang, and C. Chiu,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Employee Outcomes in Hong Ko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pp.547-562, 2000. 

  45. 윤정구, 임준철, "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기업과 공기업의 사례를 중 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2권, 제3호, pp.55-72, 1998. 

  46. P. Sweeney and D. McFarlin, "Process and Outcome: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essment of Justi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pp.83-98, 1997. 

  47. 조영숙, 김광점, "임금만족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영향: 종합병원의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병원경영학회지, Vol.6, No.4, pp.74-93, 2002. 

  48. J. K. Giacobbe-Miller, D. J. Muller, and V. I. Vicorov, "A Comparison of Russian and U. S. Pay Allocation Decisions, Distributive Justice Judgements, and Productivity under Different Pay Conditions," Personnel Psychology, Vol.51, pp.137-163, 1998. 

  49. D. P. Skarlicki and R. Folger, "Retaliation in the Workplace: The Role of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JAP, Vol.82, No.3, pp.434-443, 1997. 

  50. 50] T. M. Welbourne, "Untangling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Vol.23, No.4, pp.325-346,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