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요소 분석 -한국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ty's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7, 2012년, pp.3237 - 3243  

이경환 (국립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교통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40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의 물리적환경과 주민건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함께 도시환경을 토지이용, 도시형태, 시설접근성으로 구분하고 다수준분석을 이용하여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들의 비만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혼합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들의 건강수준이 높고 고혈압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로의 연결성이 높고 대중교통접근성이 낮을수록 지역주민들의 비만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성은 지역주민들의 건강수준(EQ-5D)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주민건강 증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토지이용혼합, 대중교통시설 및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성 등을 중요한 계획요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ity's built environment that have influence on residents' health in the 40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study, landuse, urban form and facility accessibility of cities and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and a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의 토지이용, 도시형태, 시설접근성과 같은 도시의 물리적환경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보다 건강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이 과정에서 만약 개인의 건강수준이 도시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면 도시단위 특성의 영향을 파악할 이유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개인의 건강수준이 도시별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그 정도를 측정하여 도시특성요소가 개인의 건강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보이는지 파악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도시들을 대상으로 지역주민 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준, 의료이용 및 접근성, 건강 관련 의식 및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전국 규모의 조사로 1998년, 2001년에 이어 2005년에 3차 조사가 실시되었다.
  • 첫째, 개인의 건강수준이 도시별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만약 개인의 건강수준이 도시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면 도시단위 특성의 영향을 파악할 이유가 없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의 물리적환경과 주민건강의 상관관계는 주로 인구밀도(또는 주거밀도)와 토지 이용혼합, 공원접근성 등이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주된 결론이다. 그러나 국외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은 대부분 미국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국내도 시와는 물리적환경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주민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도시계획 분야에서 주민건강의 문제가 재조명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도시환경이 개인의 비만이나 고혈압, 호흡기질환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구체적인 가능성들이 제기되면서 도시계획 분야에서 주민건강의 문제가 재조명되고 있다[3]. 특히 건강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을 중심으로 도시의 물리적환경과 주민건강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연구가 2000년 이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들 연구들은 사람들이 걷기보다 자동차에 의존하는 생활을 함에 따라 일상적인 신체활동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비만,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 발병률이 높아 짐을 보여주고 있다.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이 보건정책과 공간정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특성 이외에도 도시의 물리적환경이 지역주민들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같은 조건의 사람들이 다른 도시에 거주한다는 이유로 건강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은 보건정책과 공간정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건분야와 도시계획분야의 적극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unJung Kim?Mingyu Kang,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7(3), 2011. 

  2. Kyunghwan Lee?Kunhyuck Ahn,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king of Residents -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6), 2007. 

  3. Kyunghwan Lee?Kunhyuck Ahn,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Health -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3(3), 2008. 

  4. Kyunghwan Lee?Seungnam Kim?Kunhyuck Ahn, "The Effects of compact city development on residents' walking time - The cases of 40 small and medium-sizedc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urba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43(3), 2008. 

  5. Sugie Lee, "Research trends and limitations of the integrated study of urban planning and public health for a healthy community", Seoul Research 11(2). 

  6. Suk Min Lee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the prevalence of Characteristics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7. Hyun-gun Sung, "A Study on the impacts of residential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on personal health indicators-Focusd on the planning element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3), 2011. 

  8. KIHASA,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9. Frank, L. D., et al., "Obesity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design, physical activity, and time spent in ca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7(2), 2004. 

  10. Frank, L. D., et al., "Many pathways from landuse to health : 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Active transportation, Body Mass Index, and Air qu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 2006. 

  11. Ewing R.. et al.,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rawl and physical activity, obesity and morbidity",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2003. 

  12. Xavier R. et al, Housing and Health in Europe : Preliminary results of a Pan-European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93 No.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