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 I 교과서의 학습 목표 및 평가 문항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al and Evaluational Objectives in Chemistry I Textbook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6 no.4, 2012년, pp.491 - 499  

박현주 (조선대학교 화학교육과) ,  배정주 (부영여자고등학교) ,  조계승 (광주공업고등학교)

초록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를 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평가 문항에서 얼마나 반영하였는지에 대하여 Klopfer의 분류틀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2009 개정 화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4종의 화학 I 교과서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I 교육목표는 Klopfer의 과학목표 분류체계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화학 I 교과서의 학습목표에 기술된 행동목표는 지식과 이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과학적 탐구과정, 과학 지식과 과학 방법의 적용, 조작적 기능, 태도와 흥미, 지향에 관한 목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화학 I 교과서의 단원종합문항의 평가 행동목표의 빈도는 지식과 이해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 시 교육과정의 다양한 교육목표를 반영한 학습목표의 진술이 필요하다. 학습 목표 및 평가 문항이 인지적인 면에 편중되어 진술하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위해 학습목표의 진술을 다양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과서 학습목표와 평가문항목표의 일관성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evaluation of practice quizzes and learning objectives of chemistry I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y Klopfer's taxonomy.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indicat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화학 I 교과서의 교육과정 목표 반영 정도를 과학 교과의 탐구적 특성이 강조된 Klopfer의 과학교육 목표분류체계를21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부합되는 화학 I 교과서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화학 I은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소재 중심에서 개념 중심으로의 내용적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에 화학 I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를 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평가 문항에서 얼마나 반영하였는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oh, T.; Noh, S.; You, H. Issues in the science curriculum Report, 2011. 

  2. Lee, K. In Service teacher's progra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Department of Education, 1998. 

  3. Choi, W. Content Validity of Mathematics Exams at Middle Schools. Thes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nkuk University, 2004. 

  4. Hyun, J.; Park, S.; Kim, J.; Jung, W. Journal of Science Educational Research 2008, 32(2), 1. 

  5. Blystone, R.; Dettling, B. Visual literacy in science textbooks. In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The Process of Knowing; Rowe, M. B., Ed.;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ashington, DC, 1990; Vol. 6, pp 19-40. 

  6. Kim, S.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cience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for the Duplication and Consistenc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ses, Gongju National University, 2010. 

  7. Kim. J. An analyzing the cognition of teacher and students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7th elementary science textboo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ses, 2003. 

  8. Cho, N.; Hong, W.; Kim, J.; Kim S.; Kim, J. Korean Textbook Research Report 99-2, KEDI: Seoul, 1999. 

  9. McGarry, K. J. Education for Information 1986, 4(3), 134. 

  10. Clevenstine, R. F.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87, 24(8), 699. 

  11. Blood, D. E.; Zalewski, L. Journal of School Science Education 1990, 6, 62. 

  12. Lee, H.; Gu, D.; Bae, Y.; Paik,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5, 15(1), 27. 

  13. Kim, D. Journ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3, 19, 41. 

  14. Bae, Y. Journ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3, 19, 159. 

  15. Koh, H. Study on the attitud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oward science using Klopfers classification of science education. Thes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University, 1997. 

  16. Kim, S.; Lee, Y.; Choi, 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5, 26(7), 640. 

  17. Lee, W. A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science 1 textbook by revised curriculum in 2007: Focused on the life science fiel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s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0. 

  18. Kim, Y.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6th and the 7th curriculums for the 1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by. Thes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1. 

  19. Park, E. Analysis of scientific education goals of the 7th curriculum in text book by Klopfer's classification system. Thes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ongang University, 2005. 

  20. Ahn, H. Analysis of Science textbooks Earth-science part of the 7th curriculum for the 10th-grade in the high-school by the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s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2008. 

  21. Kwon, J; Kim, B; Woo, J.; Jung, W.; Jung, J.; Choi, B. Science Education; Kyoukgahaksa: Seoul, 2001. 

  2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Curriculum, Act 2009-41, 2009. 

  23. Park et al. Chemistry I: Kyohaksa, Seoul, 2011. 

  24. Kim et al., Chemistry I: Sangsangacademy, Seoul, 2011. 

  25. Noh et al., Chemistry I: Cheonjeakyouk, Seoul, 2011. 

  26. Rye et al., Chemistry I: Bisankyouk, Seoul, 2011. 

  27. Klopfer, L. E. Evaluation of learning science. In Hand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B. S. Bloom; J. T. Hasting; C. F. Madaus, Eds.; McGraw-Hill: New York, 1971; pp 559-641. 

  28. Seong, M; Lee, K.; Kwak, D.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5, 15(3), 250. 

  29.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McGraw-Hill: New York, 1978. 

  30. Marriam, S. B.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Jossey-Bass: San Francisco, 1988. 

  31. Taylor, S. J.; Bogdan, R. A qualita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unity adjustment. In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adjustment of mentally retarded people; R. Bruininks; C. Meyers; B. Sinford; K. Lakin, Eds.; AAMD: Washington, DC,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