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tective effect of AI-1367 (Alnus japonica extract) on liver injury was investigated. Primary rat hepatocyte intoxication wa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 carbon tetrachloride ($CCl_4$), or D-glactosamine (D-GalN). Liver injury was induced by $CCl_4$, D-GalN...
The protective effect of AI-1367 (Alnus japonica extract) on liver injury was investigated. Primary rat hepatocyte intoxication wa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 carbon tetrachloride ($CCl_4$), or D-glactosamine (D-GalN). Liver injury was induced by $CCl_4$, D-GalN or MCD (methionine choline deficient)-diet in mouse. The cellular leakage of lactate dehyrogenase and cell viability followed by the treatment of hepatotoxica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AI-1367 treatment at a concentration range of 5~50 ${\mu}g/ml$ for tBH, 5~50 ${\mu}g/ml$ for D-GalN, and 5~100 ${\mu}g/ml$ for $CCl_4$, respectively. Treatment with AI-1367 (20, 10, 5 mg/kg, p.o.) on liver injury induc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CCl_4$ or D-GalN reduc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aspartate transaminase and alanine transaminase in serum. Histological observations revealed that fatty acid changes, hepatocyte necrosi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CCl_4$ (D-GalN)-induced liver injury was improved by administration of AI-1367. AI-1367 treatment (10, 5, 2.5 mg/kg, p.o.) also significantly recovered the body weight change and serum levels of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and triglyceride in liver injury induced by MCD diet. From these results, AI-1367 shows protective effects against tBH, $CCl_4$, D-GalN, or MCD diet-induced hepatotoxicity in vitro or in vivo.
The protective effect of AI-1367 (Alnus japonica extract) on liver injury was investigated. Primary rat hepatocyte intoxication wa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 carbon tetrachloride ($CCl_4$), or D-glactosamine (D-GalN). Liver injury was induced by $CCl_4$, D-GalN or MCD (methionine choline deficient)-diet in mouse. The cellular leakage of lactate dehyrogenase and cell viability followed by the treatment of hepatotoxica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AI-1367 treatment at a concentration range of 5~50 ${\mu}g/ml$ for tBH, 5~50 ${\mu}g/ml$ for D-GalN, and 5~100 ${\mu}g/ml$ for $CCl_4$, respectively. Treatment with AI-1367 (20, 10, 5 mg/kg, p.o.) on liver injury induc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CCl_4$ or D-GalN reduc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aspartate transaminase and alanine transaminase in serum. Histological observations revealed that fatty acid changes, hepatocyte necrosi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CCl_4$ (D-GalN)-induced liver injury was improved by administration of AI-1367. AI-1367 treatment (10, 5, 2.5 mg/kg, p.o.) also significantly recovered the body weight change and serum levels of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and triglyceride in liver injury induced by MCD diet. From these results, AI-1367 shows protective effects against tBH, $CCl_4$, D-GalN, or MCD diet-induced hepatotoxicity in vitro or in viv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가 있음을 저자 등에 의해 보고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리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질환 억제제로의 가능성을 각종 간손상 모델에서 조사하였다. oxidative stress 모델인 tert-butyl hydroperoxide(tBH), 바이러스성 간염 모델인 갈락토사민, 그리고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간독성에 대한 오리나무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정상랫드의 일차배양 간세포로부터 확인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식품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리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질환 억제제로의 가능성을 각종 간손상 모델에서 조사하였다. oxidative stress 모델인 tert-butyl hydroperoxide(tBH), 바이러스성 간염 모델인 갈락토사민, 그리고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간독성에 대한 오리나무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정상랫드의 일차배양 간세포로부터 확인하였다. 또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간질환 동물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간질환 동물모델을 사용하였다.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에 의한 급성간독성 동물 모델과 Methionine/Choline Deficient(MCD) 사료를 이용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오리나무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ICR 계통의 수컷 마우스(체중 23~25 g)를 각 군당 8마리씩 사용하였다. 순화기간을 거쳐서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를 실시한 후 각 개체별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 수용하였다. 실험물질인 오리나무추출물(20, 10, 5 mg/kg p.
순화기간을 거쳐서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를 실시한 후 각 개체별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 수용하였다. 실험물질인 오리나무추출물(20, 10, 5 mg/kg p.o.)은 3일간 동안 경구 투여를 하고 4일째 되는날 사염화탄소(20 ml/kg, I.P.),20) 갈락토사민(800 mg/kg, I.P.)21)을 주사하였다. 그리고 24시간 후 채혈과 동시에 부검을 실시하여 간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21)을 주사하였다. 그리고 24시간 후 채혈과 동시에 부검을 실시하여 간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Sylimarin(50 mg/kg p.
순화기간을 거쳐서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를 실시한 후 각 개체별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 수용하였다. 실험물질인 오리나무추출물(10, 5, 2.5 mg/kg p.o.)은 5일/주간동안 경구 투여를 하고 MCD 사료 및 정제된 물은 자유롭게 섭식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4주 후에 채혈과 동시에 부검을 실시하여 간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은 5일/주간동안 경구 투여를 하고 MCD 사료 및 정제된 물은 자유롭게 섭식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4주 후에 채혈과 동시에 부검을 실시하여 간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 체중은 주 1회씩 측정하였다.
그리고 4주 후에 채혈과 동시에 부검을 실시하여 간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 체중은 주 1회씩 측정하였다.22)
혈액 채취를 마치고 완전히 방혈 시킨 후 각각의 동물로부터 간을 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에 조직을 고정시키고 paraffin으로 embedding과정을 거쳐 5μm의 절편으로 만들고 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절편한 후 COX-2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의 준비과정을 거쳐 검색하였다. 즉 파라핀 포매조직을 5 μm의 절편으로 자르고 Xylene으로 탈 파라핀 시킨 다음 95%, 80%, 70% 알코올로 함수시킨다.
그후 Plymer HRP를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다. 수세 후 발색제 diaminobenzidine(DAB)을 5~10분간 발색시켜 흐르는 물에 씻어내고, Mayer 헤마톡실린 대조 염색하여 비수용성 봉입제로 봉입한 다음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에 의한 급성간독성 동물모델과 Methionine/Choline Deficient(MCD) 사료를 이용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10 mg/kg 투여군 간조직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진행하여 COX-2의 발현을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10 mg/kg 투여군에서 COX-2 의 발현이 음성대조군보다 뚜렷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Fig.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의 간보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랫드에서 분리한 일차간세포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CCl4, 갈락토사민에 의한 급성 간독성 동물모델 및 MCD 사료에 의한 만성 지방간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였다.
랫드에서 분리한 일차 간세포를 tBH, 갈락토사민, CCl4를 간독성 유발물질로 간독성을 유발하고 세포생존율과 간독성 지표로 간세포질 효소 중 하나인 LDH의 배양액으로의 유출정도를 측정하였다. 오리나무 추출물은 간독성 유발물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LDH의 유리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며 세포생존율을 높여주었다.
oxidative stress 모델인 tert-butyl hydroperoxide(tBH), 바이러스성 간염 모델인 갈락토사민, 그리고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간독성에 대한 오리나무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정상랫드의 일차배양 간세포로부터 확인하였다. 또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간질환 동물모델을 사용하였다.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에 의한 급성간독성 동물 모델과 Methionine/Choline Deficient(MCD) 사료를 이용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오리나무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William's E medium and fetal bovine serum(FBS)는 Gibco-BRL(Grand Island, USA)에서 구입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Alnus japonica 추출물(AI-1367)은 (주)RNL 바이오 중앙연구소에서 공급 받아 사용하였다. tBH, Dgalactosamine, insulin, dexamethasone, penicillin/streptomycin, Ca2+-free Hanks’balanced salt solution(HBSS), collagen type I from rat tail, collagenase type IV,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dimethylsulfoxide(DMSO)와 silibinin은 Sigma Chemical Co.
William's E medium and fetal bovine serum(FBS)는 Gibco-BRL(Grand Island, USA)에서 구입하였다. CCl4는 SHOWA Chemical Co. (Tokyo, Japan)에서 구입하였으며 Methionine/Choline control 사료, Methionine/Choline deficient 사료는 MP Biomedicals, LLC.(Ohio, USA)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Tokyo, Japan)에서 구입하였으며 Methionine/Choline control 사료, Methionine/Choline deficient 사료는 MP Biomedicals, LLC.(Ohio, USA)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면역염색에 사용된 COX-2는 Santa cruz(California, USA), IHC(one step plymer) Polink-1 HRP Rabbit kit(WA, USA)에서 구입하였다.
(Ohio, USA)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면역염색에 사용된 COX-2는 Santa cruz(California, USA), IHC(one step plymer) Polink-1 HRP Rabbit kit(WA, USA)에서 구입하였다. 흡광도는 Bio-Rad(CA, USA)의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Cl4, 갈락토사민실험에는 외견상 건강한 23~25 g ICR계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MCD 사료 실험에는 외견상 건강한 25~30 g C57BL6/J계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간세포 분리는 200~220 g 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를 사용하였다.
, 갈락토사민실험에는 외견상 건강한 23~25 g ICR계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MCD 사료 실험에는 외견상 건강한 25~30 g C57BL6/J계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간세포 분리는 200~220 g 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대한바이오링크(음성, 충북)에서 공급받았으며 일정한 조건(온도: 22~25oC, 습도: 40~60%(RH), 명암: 12시간 점등(조명: 06:00~18:00), 조도: 150~300 Lux)에서 표준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7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하였다.
그리고 간세포 분리는 200~220 g 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대한바이오링크(음성, 충북)에서 공급받았으며 일정한 조건(온도: 22~25oC, 습도: 40~60%(RH), 명암: 12시간 점등(조명: 06:00~18:00), 조도: 150~300 Lux)에서 표준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7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하였다.
Sprague-Dawley 계열의 수컷 흰쥐(200~220 g)로부터 2-step perfusion 법17)을 이용하여 간세포를 다음과 같이 분리한다. 마취한 흰쥐의 복부를 절개한 후, 간문맥에 삽관한다.
5 h, 30 mM 갈락토사민에서 24시간 노출시켜 간독성을 유도하며,18) 약물은 간독성유도 10분 전에 처리하며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대조약물로써 silibinin을 사용하였다.19) LDH효소 활성도는 Roche사의 Cytotoxicity Detection kit(Cat.
대조약물로써 silibinin을 사용하였다.19) LDH효소 활성도는 Roche사의 Cytotoxicity Detection kit(Cat. 11 644 7930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MTT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CR 계통의 수컷 마우스(체중 23~25 g)를 각 군당 8마리씩 사용하였다. 순화기간을 거쳐서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를 실시한 후 각 개체별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 수용하였다.
그리고 24시간 후 채혈과 동시에 부검을 실시하여 간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Sylimarin(50 mg/kg p.o.)을 대조약물로 사용하였다.
C57BL6/J 계통의 수컷 마우스(체중 25~3 g)를 각 군당 8마리씩 사용하였다. 순화기간을 거쳐서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를 실시한 후 각 개체별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에 수용하였다.
데이터처리
실험결과는 통계처리 하여 평균±표준편차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정은 통계프로그램인 GraphPad Prism(version 4.0, GraphPad Software Inc. US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s multiple range test로 확인하였다.
이론/모형
11 644 7930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MTT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의 1.5 mM tBH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간세포 보호작용은 Table I에서와 같이 오리나무 추출물 50 μg/ml 처리군에서는 30%(p<0.001)의 세포생존률과 간독성 발생시 간세포에서 유리하는 LDH를 51%(p<0.01) 감소하였다.
오리나무 추출물을 20 mg/kg을 투여한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는 CCl4 투여군의 29%(p<0.001) 및 32%(p<0.001) 수준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10 mg/kg을 투여한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는 CCl4 투여군의 19%(p<0.001) 및 25%(p<0.001) 수준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은 tBH, CCl4, 갈락토사민 세가지 간독성 물질에 대한 보호작용을 나타냈으며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은 증가하였으며 LDH 유리량은 감소하였다.
오리나무 추출물을 20 mg/kg을 투여한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는 갈락토사민 투여군의 29%(p<0.001) 및 44%(p<0.001)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10 mg/kg을 투여한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는 갈락토사민 투여군의 56%(p<0.01) 및 59%(p<0.05)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5 mg/kg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는 갈락토사민 투여군의 57%(p<0.01) 및 70.8%(p<0.01)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10 mg/kg 투여군에서는 간손상 뚜렷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청분석과 형태학적 관찰을 통하여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이 CCl4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01)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혈청분석 결과로부터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은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 활성을 용량의 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간을 보호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에서와 같다. 정상군에서는 4주와 5주에서 유의성 있는 체중 증가가 있고 대조군, 오리나무 추출물(AI-1367)(10, 5, 2.5 mg/kg p.o.), silymarin(50 mg/kg p.o.) 투여군 모두에서 유의성 있게 체중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약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적게 감소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MCD 및 MCC 사료 투여 4주 후 MCD 사료 투여군 혈청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및 triglyceride는 MCC 사료 투여 마우스 혈청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의 417%, 2771% 및 226%이다. 오리나무 추출물(AI-1367)과 MCD 사료를 투여한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및 triglyceride는 Fig.
오리나물 추출물 10 mg/kg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및 triglyceride는 MCD 사료군의 60%, 41% 및 66%(p<0.001)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5 mg/kg 투여군의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는 MCD 사료군의 93% 및 53%(p<0.01)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정상군에서는 간소엽의 입체구조가 잘 유지되었고, 문맥 주위 및 중심정맥 주위의 섬유화 및 간세포 괴사나 염증반응은 관찰되지 않으나, 대조군 및 약물 투여군에서는 간소엽의 입체구조가 소실되면서 많은 지방축적이 관찰되었다.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10 mg/kg, 5 mg/kg 투여군에서는 지방축적이 대조군에 비하여 뚜렷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청분석과 형태학적 관찰을 통하여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이 MCD 사료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에 의한 급성간독성 동물모델과 Methionine/Choline Deficient(MCD) 사료를 이용한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10 mg/kg 투여군 간조직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진행하여 COX-2의 발현을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10 mg/kg 투여군에서 COX-2 의 발현이 음성대조군보다 뚜렷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Fig. 6). 이러한 결과에서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은 급성간독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COX-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염증발현을 감소하고 또한 COX-2 prostanoids 신호전달계통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보호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6). 이러한 결과에서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은 급성간독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COX-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염증발현을 감소하고 또한 COX-2 prostanoids 신호전달계통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보호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를 간독성 유발물질로 간독성을 유발하고 세포생존율과 간독성 지표로 간세포질 효소 중 하나인 LDH의 배양액으로의 유출정도를 측정하였다. 오리나무 추출물은 간독성 유발물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LDH의 유리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며 세포생존율을 높여주었다.
및 갈락토사민에 의한 급성 간독성 모델에서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은 현저히 증가하였던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anine transaminase활성을 억제하였다. CCl4 모델에서는 20, 1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갈락토사민모델에서는 20, 10, 5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조직관찰을 통해 오리나무 추출물은 CCl4로 인해 유발된 간세포의 괴사, 변성을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Cl4 모델에서는 20, 1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갈락토사민모델에서는 20, 10, 5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조직관찰을 통해 오리나무 추출물은 CCl4로 인해 유발된 간세포의 괴사, 변성을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MCD 사료 모델에서 MCD 사료의 투여는 마우스의 체중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으며,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감소가 심하지 않았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은 MCD 사료에 의한 aspartate transaminase 상승을 억제하였고 alanine transaminase 상승은 10, 5 mg/kg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triglyceride은 1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간조직의 지방축적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면역조직화학적염색을 통하여 COX-2의 발현을 검토한 결과 사염화탄소와 갈락토사민에 의한 급성간독성 동물모델과 Methionine/Choline Deficient(MCD) 사료를 이용한 지방간 동물모델 모두에서 오리나무 추출물(AI-1367) 10 mg/kg 투여군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상에서 오리나무 추출물(AI-1367)은 MCD 사료로 유발된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간기능회복, 지방축적 억제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CCl4, 갈락토사민으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동물모델에서 간세포의 괴사 및 변성 감소,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및 triglyceride 활성, COX-2발현 억제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오리나무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염증억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반응기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0 mM 갈락토사민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간세포 보호작용은 Table III과 같이 오리나무 추출물 20 μg/ml, 50 μg/ml에서 각각 55%(p<0.001), 60%(p<0.001)의 세포생존율과 각각 43%(p<0.01), 46%(p<0.01)의 LDH가 감소되였다.
후속연구
, 갈락토사민으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동물모델에서 간세포의 괴사 및 변성 감소,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및 triglyceride 활성, COX-2발현 억제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오리나무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염증억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반응기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리나무는 무슨과인가?
오리나무(Alnus japonica Steude)는 자작나무과(Betulaceae)의 낙엽교목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해발 200~900mm 지역에 분포하여 있다. 한방에서는 오리나무의 수피를 적양이라 하여 해열, 지혈, 수렴 등의 효능이 있고 설사, 외상 출혈, 혈변 등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5) 민간에서는 숙취 해소에 사용하였다.
오리나무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가?
한방에서는 오리나무의 수피를 적양이라 하여 해열, 지혈, 수렴 등의 효능이 있고 설사, 외상 출혈, 혈변 등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5) 민간에서는 숙취 해소에 사용하였다.6) 오리나무에는 여러 종류의 tannin, flavonoids, diarylheptanoid7-10)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생리활성 연구로는 항암효과,11) 항산화효과,12,14) 항염효과13) 등 효능에 대하여 보고되었다. acetaminophen에 의한 간손상 모델에서 간보호효과14)와 알콜 분해촉진15)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오리나무는 acetaminophen에 의한 간손상 모델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었는가?
6) 오리나무에는 여러 종류의 tannin, flavonoids, diarylheptanoid7-10)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생리활성 연구로는 항암효과,11) 항산화효과,12,14) 항염효과13) 등 효능에 대하여 보고되었다. acetaminophen에 의한 간손상 모델에서 간보호효과14)와 알콜 분해촉진15)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참고문헌 (22)
Lim, H. K., Kim, H. S., Choi, H. S. and Choi, J. W. : Protective and therapeutie effects of Malloti cortex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 and glactosamin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Appl. Pharmacol. 7, 35 (1999).
Lee, U. E. and Friedman, S. L. : Mechanisms of hepatic fibrogenesi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5, 195 (2011).
Lee, D. S., Park, M. J., Chung, I. K., Kwon, K. T., Kim, S. H., Cho, Tak, W. Y., Kweon, Y. O., Kim, S. K., Choi, Y. H. and Bae, H. I. : Predictive factors for the diagnosi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the degree of liver fibrosi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67, 231 (2004).
Lee, S. J. : Korea Folk Medicine. p40.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Center (1996).
Kim, H. J., Yeom, S. H., Kim, M. K., Shim, J. G., Paek, I. N. and Lee, M. W.. :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2 synthesis inhibitory activities of diarylheptanoids from the barks of Alnus japonica steudel. Arch. Pharm. Res. 28, 177 (2005).
Kuroyanagi, M., Shimomae, M., Nagashima, Y., Muto, N., Okuda, T., Kawahara, N., Nakane, T. and Sano, T. : New diarylheptanoids from Alnus japonic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Chem. Pharm. Bull. 53, 1519 (2005).
Lee, M. W., Tanaka, T., Nonaka, G. I. and Nishioka, I. :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Part 115. Dimeric ellagitannins from Alnus japonica. Phytochemistry 31, 2835 (1992).
Stevic, T., Savikin, K., Zdunic, G., Stanojkovic, T., Juranic, Z., Jankovic, T. and Menkovic, N. : Antioxidant, cytotoxic,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lnus incana (L.) ssp. incana Moench and A. viridis (Chaix) DC ssp. viridis extracts. 13, 700 (2010).
Lee, Y. A., Kim, K. H., Kim, J. S., Cho, S. M., Kim, S. W. and Lee, M. W. : Antioxidative effects of diarylhepatonoids from Alnus hirsuta. Yakhak Hoeji 44, 193 (2000).
Lee, M. W., Kim, J. H., Jeong, D. W., Ahn, K. H., Toh, S. H. and Surh, Y. J. :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expression by diarylheptanoids from the bark of Alnus hirsuta Var. sibrica. Biol. Pharm. Bull. 23, 517 (2000).
Kim, S. T., Kim, J. D., Ahn, S. H., Ahn, G. S., Lee, Y. I. and Jeong, Y. S. :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Alnus japonica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Phytother. Res. 18, 971 (2004).
An, S. W., Kim, Y. G., Kim, M. H., Lee, B. I., Lee, S. H., Kwon, H. I., Hwang, B. and Lee, H. Y. :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NB and Alnus japonica steud.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263 (1999).
Tung, N. H,, Kim, S. K., Ra, J. C., Zhao, Y. Z., Sohn, D. H. and Kim, Y. H. :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diarylheptanoids from the bark of Alnus japonica. Planta Med. 76, 626 (2010).
Park, E.-J., Zhao, Y.-Z,, Na, M., Bae, K., Kim, Y. H., Lee, B.-H., et al. : Protective effects of honokiol and magnolol on tertiary butyl hydroperoxide-or D-galactosamine-induced toxicity in rat primary hepatocytes. Planta Med. 69, 33 (2003).
Joyeux, M., Rolland, A., Fleurentin, J., Mortier, F. and Dorfman, P. :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injury in isolated rat hepatocytes: a model for studying anti-hepatotoxic crude drugs. Planta Med. 56, 171 (1990).
Park, E. J., Zhao, Y. Z., Kim, Y. H., Lee, J. J. and Sohn, D. H. : Acanthoic acid from Acanthopanax koreanum protects against liver injury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or carbon tetrachloride in vitro and in vivo. Planta Med. 70, 321 (2004).
Marzouk, M. S. A., El-Toumy, S. A. A., Moharram, F. A., Shalaby, N. M. M. and Ahmed, A. A. E. : Pharmacologically active ellagitannins from Terminalia myriocarpa. Planta Med. 68, 523 (2002).
Rinella, M. E. and Green, R. M. : The methionine-choline deficient dietary model of steatohepatitis dose not exhibit insulin resistance. J. Hepatol. 40, 47 (2004).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