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시판 생막걸리 제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au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Storage Tim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4, 2012년, pp.383 - 390  

지윤정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정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nges of 6 kinds of commercial Makgeolli (A, B, C, D, E, and F) during storage at $4{\pm}1^{\circ}C$ for 30 days. The initial pH was 3.50~4.23, but it increased to 3.65~4.37 by the end of the storage period (p<0.0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6 종류의 생막걸리를 선택하여 냉장온도 (4±1℃)에 30일간 저장하며 저장기간별 pH, 산도, 당도, 환원당, 색도, 알코올 함량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고품질의 막걸리 개발 및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막걸리 6종류를 냉장온도에 40일 저장하면서 적정산도를 조사한 결과, 저장 기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났는가? 37로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고 F시료가 전 기간을 통하여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저장 0일에 0.18~0.27%를 나타내었고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 시료마다 큰 변화없이 유지되어 저장 30일에는 0.17~0.25%로 나타났다. 당도 측정결과 A와 B시료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C, D, F시료는 감소한 반면, E시료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막걸리는 어떤 제조방법에 의하여 붙여진 이름인가? 막걸리는 찹쌀 또는 멥쌀로 고두밥을 지어 누룩을 섞어 발효시킨 후 그대로 막 걸러내어 만들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술이다. 술의 빛깔이 흐리고 탁하기 때문에 탁주(濁酒)라 부르기도 하고 농부들이 즐기던 술이라는 뜻으로 농주(農酒)라 부르기도 한다(Kim 등 2011).
일반적인 생막걸리의 제조 방법의 순서는? 막걸리는 알코올 도수가 6~7%로 다른 주류에 비해 순한 편이고 단백질, 당질, 식이 섬유, 비타민, 유기산 외에도 많은 양의 젖산균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 가치가 높고 생 효모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주류와는 차별화된 독특한 맛을 가지고 있다(Kim 등 2007; Song & Park 2003). 생막걸리의 제조 방법은 각 제조사마다 고유한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분질 원료처리-1차 발효-2차 발효-숙성-주입포장의 순으로 제품이 완성되어 판매되고 있다. 생막걸리는 저장 및 유통과정 중에도 미생물과 효소에 의해 발효가 진행되기 때문에 품질이 계속 변화하고 쉽게 변패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Kim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k SY, Nam YG, Ju JI, Lee JS. 2011.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erolli mad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2. Kor. J. Mycol., 39(2):122-125 

  2. Im CY, Jeong ST, Choi HS, Choi JH, Yeo SH, Kang WW. 2012. Characteristics of Gammakgeolli added with processed forms of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9(1):159-166 

  3.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3):444-449 

  4.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194-200 

  5. Kim BC, Kim BR, Kim AJ, Shin JK. 2012. A study of quality and shelf-life of Korean traditional turbid rice wine (Takju) by batch intense pulsed light. Food Eng. Prog., 16(1):58-63 

  6. Kim GM, Jung WJ, Shin JH, Kang MJ, Sung NJ. 2011.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made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sulgidduck.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5):759-766 

  7. Kim JY, Sung KW, Bae HW, Yi YH.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3):266- 271 

  8. Kim MJ, Lee SY, Kim KBWR, Song EJ, Kim AR, Kim JH, Ji KW, Ahn IS, Ahn DH. 2007. Effect of chitosan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Chitin Chitosan, 12(4):198-204 

  9. Kim NY, Yu AR, Min JY, Han MJ. 201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inpi wine with different levels of added ginpi. Korean J. Food Culture, 26(2):178-183 

  10. Kim S, Kim E, Yoon S, Jo N, Jung SK, Kwon S, Chang YH, Jeong Y. 2011.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223-228 

  11. Kim YT, Kim MS. 2011. Makgeolli's character for the globalization. J. Tourism Leisure Research, 23(6):333-349 

  12. Kong MH, Jeong ST, Yeo SH, Choi JH, Choi HS, Han GJ, Jang MS, Chung IM. 2011. Determination of ginseng Yakju quality using different percentages and application dates of ginse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2):207-214 

  13.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Nutr., 22(4):606-611 

  14. Lee H,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1):56-62 

  15. Lee JW, Park JW. 2010. Quality characteristic of Makgeolli during separation storage methods. Food Eng. Prog., 14(4):346-353 

  16. Lee JW,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reezing storage. Food Eng. Prog., 14(4):328-334 

  17. Lee SJ, Ahn BH. 2010.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1):119-123 

  18.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ogy, 45(4):391-396 

  19.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3):426-428 

  20. Min JH, Baek SY, Lee JS, Kim HK. 2011. Changes of yeasts and bacterial flora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traditional Makgeolli. Kor. J. Mycol., 39(2):151-153 

  21. Mok C, Lee JY, Chang HG. 1997. Quality changes of nonsterilized Yakju (rice wine) during storage and its shelflife estimation. Food Eng. Prog., 1(2):192-197 

  22.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Kim OM, Jeong YJ.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6):884-890 

  23. Song JC, Park H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47-854 

  24. Yeo SH, Jeong YJ. 2010. Current trends and development a plan in the Korean Makgeolli industry. Food Sci. Industry, 43(10): 55-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