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주인 막걸리의 발효 및 유통과정에서의 효모 및 총산과 유기산의 변화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4, 2009년, pp.391 - 396  

이특재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황대연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충열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손홍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막걸리의 소비와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막걸리 발효 및 유통과정에서의 효모 수, 유기산 및 총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막걸리의 맛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기산인 lactic acid, succinic acid 외에 malic acid, citric acid도 막걸리 발효과정 중의 주요 유기산으로 보아야 될 정도로 많이 생성되었다. 그러나 oxalic acid, phosphoric acid, acetic acid는 전 발효기간을 통하여 검출되지 않았다. 막걸리 발효 중, 총산은 증가하였으나 pH는 비례적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유통과정 중 저장온도에 따른 막걸리의 유기산 변화를 관찰한 결과, $4^{\circ}C$에서 보관 시 막걸리의 일반적인 유통기한인 10일보다 2배가 긴 20일까지도 유기산의 변화가 거의 없음이 관찰되어 유통기한을 연장시켜도 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5^{\circ}C$에서 보관한 막걸리는 citr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고, lactic acid가 큰 폭으로 감소된 것으로 보아 쉽게 변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패 지표물질인 acetic acid가 생성됨으로써 유통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통과정에서의 저장온도를 $4^{\circ}C$로 하면 최소 20일 이상 보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organic acid and total acid during the ferment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for enhancement of preservation of Makgeolli. Organic acids, including lac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increased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막걸리의 생산 과정에서 효모 및 미생물에 의한 유기산의 변화를 조사하고, 동시에 유통과정에서 보존온도를 달리 했을 때 유기산의 변화를 조사한 후, 저장성과 유기산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서 막걸리의 저장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는 무슨 맛이 나는가? 막걸리는 찹쌀, 멥쌀 등의 전분질을 원료로 하고, 발효제로서 누룩을 첨가하여 병행 복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주이다(3, 5, 7). 막걸리는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떫은맛 등 다섯 가지 맛이 골고루 조화되고, 적당한 감칠맛과 청량감이 있는 알코올 함량 2~8%의 술로서 서울이남에서 폭넓은 기호층을 가지고 있다(7). 다른 주류와 달리 막걸리는 각종 영양원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인체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비타민 B군을 비롯한 lysine, leucine, argin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 풍미물질인 ethylacetate, amylacetate, ethylcaproate 등의 ester (1)와 새콤한 맛을 내어 갈증을 해소시켜주는 유기산, 그리고 간 기능을 도와주는 acetylchol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5).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찹쌀, 멥쌀 등의 전분질을 원료로 하고, 발효제로서 누룩을 첨가하여 병행 복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주이다(3, 5, 7). 막걸리는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떫은맛 등 다섯 가지 맛이 골고루 조화되고, 적당한 감칠맛과 청량감이 있는 알코올 함량 2~8%의 술로서 서울이남에서 폭넓은 기호층을 가지고 있다(7).
실험에 사용한 막걸리의 제조 방법은 무엇인가? 실험 재료로 사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찐 쌀 200 kg에 종국 400 g을 접종(입국)하여 2∼3일간 발효시켜 여기에 건조효모 125 g과 물 300 L를 넣고(1단 담금) 2일간 발효시켰다. 찐 쌀 450 kg과 누룩 8 kg 및 물 700 L를 추가로 첨가하여(2단 담금) 2일간 발효한 다음 여기에 다시 찐 맥 180 kg과 물 350 L를 넣고(3단 담금) 2일간 더 발효시켰다. 물엿(당도 82%) 96 kg과 물 100 kg을 추가하여 넣고(4단 담금) 마지막으로 2일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1∼2일간 숙성한 다음 최종적으로 찐 쌀과 찐 맥의 술덧을 체로 문질러 여과하여 제성하였다. 발효온도는 전 기간에 걸쳐 28oC를 유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배상면. 1995. 전통주 제조기술(약주, 탁주 편). 국순당 부설 효소연구소 서울 

  2. 송지윤. 1998.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서울 

  3. 안병학. 1995. 민속주의 세계 명주 도전에의 문제점. 식품기술 8, 130-137 

  4. 이동필. 2006. 전통 우리술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과제. 식품산업과 영양 11, 1-9 

  5. 이서래. 1996. 한국의 발효식품. 이화여대 출판부 서울 

  6. 이선민. 1998.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서울 

  7. 장지현. 1989. 우리나라 술의 역사. 한국식문화학회지 4, 271-274 

  8. Chung, J.H. 1967.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he fermented mash of the takju made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J. Kor. Agr. Chem. Soc. 8, 39-43 

  9. Han, E.H., T.S. Lee, B.S. Noh, and D.S. Lee.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mash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0. Jeong, J.W., K.J. Park, M.H. Kim, and D.S. Kim. 2006.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 J. Food Sci. Technol. 38, 513-520 

  11. Jin, T.Y., E.S. Kim, J.B. Eun, S.J. Wang, and M.H. Wang.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Kor.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12. Kim, A.R., S.Y. Lee, K.B.W.R. Kim, E.J. Song, J.H. Kim, M.J. Kim, K.W. Ji, I.S. Ahn, and D.H. Ahn.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13. Lee, C.H., W.T. Tae, G.M. Kim, and H.D. Lee. 1991. Studies on the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Takju. Kor. J. Food Sci. Technol. 23, 44-51 

  14. Lee, J.S., T.S. Lee, B.S. Noh, and S.O. Park.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15. Lee, S.S., K.S. Kim, A.H. Eom, C.K. Sung, and I.P. Hong. 2002.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 J. Mycol. 30, 61-65 

  16. Lim, S., M.K. Jwa, C. Mok, Y.S. Park, and G.J. Joo. 2004. Changes in microbial counts, enzyme activity and quality of foxtail millet Takju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storage. Kor. J. Food Sci. Technol. 36, 233-238 

  17. Mok, C.K., J.Y. Lee, and H.G. Chang. 1997. Quality changes of non-sterilized Yakju during storage and its shelf-life estimation. Food Eng. Prog. 1, 192-197 

  18. Park, K.B. and S.G. Lee. 2002. Quantitative analysis of ethyl carbamate in Korean alcoholic beverages by chromatography with mass selective detection. Anal. Sci. Technol. 15, 26-30 

  19. Seo, M.Y., J.K Lee, B.H. Ahn, and S.K. Cha.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 J. Food Sci. Technol. 37, 61-66 

  20. So, M.H., Y.S. Lee, and B.S. Noh. 1999.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 J. Food Nutr. 12, 427-432 

  21. Song, J.C., H.J. Park, and W.C. Shin. 1997. Changes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22. Song, J.C., H.J. Park, and W.C. Shin. 2006. Suppression of solid matters precipitation of takju and its quality improvement by carageenan. Kor. J. Food Nutr. 19, 288-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