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막걸리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및 미생물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Makgeolli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4, 2012년, pp.210 - 214  

권영희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이애란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김재호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김혜련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안병학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되는 막걸리 3종을 $10^{\circ}C$$25^{\circ}C$에 저장하며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10^{\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11일 동안 7.0%를 넘지 않았으며 pH는 3.12-3.99, 총산은 0.22-0.28%였으며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는 것으로 나타났다. $25^{\circ}C$에서 저장 한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저장 9일에 7.0%를 초과하였으며 pH와 총산은 각각 3.96-4.17과 0.27-0.30%로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고형분 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의 효모수는 $10^{\circ}C$$25^{\circ}C$에 저장 시 각각 저장 3일과 1일에 $2.90-16.00{\times}10^7$ CFU/mL와 $1.12-29.40{\times}10^7$ CFU/mL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세균수는 $25^{\circ}C$에 저장 한 막걸리가 $10^{\circ}C$에 저장한 막걸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은 저장 3-7일 높게 나타났는데 $25^{\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에서 $38.90-50.00{\times}10^7$ CFU/mL로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에 비하여 더 높게 검출되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25^{\circ}C$에 저장 한 막걸리는 저장 1일 이후부터 5.0 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며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는 저장 11일 후에도 4.9-5.2 수준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organisms of commercial Makgeolli during storage at $10^{\circ}C$ and $25^{\circ}C$ During storage at $10^{\circ}C$ for 11 days, ethanol contents did not increased up to 7.0%, and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사용된 시료의 발효제에 대한 정보가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품질특성과 미생물의 변화가 함께 관찰되지 않았으며 발효제별의 막걸리를 비교한 실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판매율이 높은 시판 막걸리 중 발효제가 다른 3종의 막걸리를 대상으로 저장 기간 동안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래누룩의 단점은? 재래누룩은 다양한 전분질에 다양한 미생물이 번식한 것으로 이러한 미생물에 의하여 막걸리의 맛과 향이 풍부하나 수작업에 의한 공정으로 인하여 효소 역가와 균체수 등이 불안정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So et al., 1999).
막걸리 제조에 사용되는 발효제는 어떤 것이 있는가? 막걸리의 제조에 사용되는 발효제로는 재래누룩, 입국, 개량누룩, 정제효소 등이 있다.
발효제의 종류는 막걸리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어떤 것이 달라지기 때문인가? 이와 함께 발효제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효소활성 및 유기산 생성력, 알코올 발효능 등이 달라지므로 막걸리의 휘발성 풍미 성분 및 맛, 색상 등의 품질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Han et al., 1997; So and Lee, 2009; Wo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an, E. H., Lee, T. S., Noh, B. S. and Lee, D. 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su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63-570 

  2. Kim, G. M., Jung, W. J., Shin, J. H., Kang, M. J. and Sung, N. J. 2011.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made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Sulgidd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59-766. 

  3. Kim, J. Y., Sung, K. W., Bae, H. W. and Yi, Y. H.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3):266-271. 

  4. Lee, E. N., Lee, D. H., Kim, S. B., Lee, S. W., Kim, N. M. and Lee, J. S. 2007.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wine. J. Ginseng Res. 31:102-108. 

  5. Lee, M. Y., Sung, S. Y., Kang, H, K., Byun, H. S., Jung, S. M., Song, J. H. and Lee, J. 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rice wines in Chungnam province of Korean.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177-182. 

  6. Lee, S. M. and Lee, T. 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ural Sci. 12:71-79. 

  7. Lee, S. S., Kim, K. S., Eom, A. H., Sung, C. K. and Hong, I. P. 2002.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 J. Mycol. 30: 61-65. 

  8. Lee, T. J., Hwang, D. Y., Lee, C. Y. and Son, H. 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45:391-396. 

  9. Min, J. H., Baek, S. Y., Lee, J. S. and Kim, H. K. 2011. Changes of yeasts and bacterial flora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traditional Makgeolli. Kor. J. Mycol. 39:151-153. 

  10. Mok, C. K., Lee, J. Y. and Chang, H. G. 1997. Quality changes of non-sterilized Yakju during storage and its shelf-life estimation. Food Eng. Prog. 1:192-197. 

  11. Park, C. W., Jang, S. Y., Park, E. J., Yeo, S. H., Kim, O. M. and Jeong, Y. J.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884-890. 

  12. Park, J. H., Yeo, S. H., Choi, J. H. Jeong, S. T. and Choi, H. S. 2012. Production of Makgeolli using rice treated with Gaeryang-Nuruk(for non-steaming proces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9:144-152. 

  13. So, M. H. and Lee, Y. S. 2009.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f Rhizopus sp. ZB9 on the production of saccharifying amylase during the preparation of rice Koji. Korean J. Food & Nutr. 22:644-649. 

  14. So, M. H., Lee, Y. S. and Noh, W. S. 1999.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427-432 

  15. Song, J. C. and Park, H. 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47-854. 

  16. Song, J. C., Park, H. J. and Shin, W. 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895-900 

  17. Song, J. C., Park, H. J. and Shin, W. C. 2006. Suppression of solid matters precipitation of takju and its quality improvement by carageenan. Kor. J. Food Nutr. 19:288-295. 

  18. Song, J. H., Lee, J. S., Lee, E. N., Lee, S. W., Kim, J. H. and Lee, J. S. 2009.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ugija (Lycii fructus) tagju. Kor. J. Food & Nutr. 22:86-91. 

  19. Woo, S. M., Shin, J. S., Seong, J. H., Yeo, S. H., Choi, J. H., Kim, T. Y. and Jeong, Y. 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01-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