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항우식 및 항구취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halitosis Effects of Alnus firma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8 = no.148, 2012년, pp.1071 - 1076  

최혜정 (창원대학교 생명공학 협동과정) ,  허남숙 (마산대학교 치위생학과) ,  최영환 (부산대학교 원예생명자원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영기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명공학 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방오리나무의 분획물과 분리화합물인 gallic acid의 항우식 작용과 항구취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부착능 그리고 산 생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휘발성 황화합물의 측정은 oral chroma를 이용하여 구취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DCM 분획물은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졌으며, EA 분획물은 Streptococcus mutans와 Porphyromons gingivalis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GA와 DCM 분획물은 각각 S. mutans와 S. salivarius에 대해 산 생성과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사방오리나무의 2% MeOH 추출물은 구취유발 화합물인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황화디메틸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났으며(p<0.05), 2% GA 또한 황화수소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사방오리나무의 활성 분획물과 GA는 항균효능, 산생성 억제능, 부착 억제능 및 구취 억제효능을 가짐으로써 구강병원균에 대한 천연항균제제로써의 사용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halitosis effects of Alnus firma extracts and gallic acid (GA) isolated from A. firma, we measur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oral pathogens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the cell adhesiveness and acid production of oral pathogens. In add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물인 사방오리나무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구강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 구강병원균의 부착 억제능과 산 생성 저해효과 및 구취 억제효능을 검토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분획물 및 GA가 S. mutans와 S. salivarius의 산 생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시험관에 균 현탁액(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이란? 치아우식증은 치면세균막 내의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Streptococcus, Enterococcus, Lactobacillus 등이 원인균으로 거론되고 있으며[22], 주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가 치면에 부착, 증식 및 산 생성과정을 거치면서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14]. 현재 세균에 의한 구강감염증 치료를 위해 다양한 항생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시 여러가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구강 내 원인으로 발생되는 구취는 왜 발생하는가? 헹굴 때 사용하는 ethanol의 경우 구강암 유발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한편 구강 내 원인으로 발생되는 구취는 세균성 부패 및 휘발성 황 화합물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치주질환이 있을 때 구취와 휘발성 황 화합물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3]. 현재 구취를 감소시키기 위해 칫솔질, 치면세마 등의 물리적인 방법과 ZnCl,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chlorhexidine 등의 항균력을 가진 구강양치제를 사용하고 있다.
세균에 의한 구강감염증 치료에 항생제를 사용할때 발생하는 부작용은? 현재 세균에 의한 구강감염증 치료를 위해 다양한 항생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시 여러가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으로는 penicillin, cephalosporin, erythromycin, tetracycline과 같은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세균의 출현 보고가 있으며[2], cetylpyridinium chloride, chlorhexidine, amine fluoride와 같은 항생제 사용시 혀나 치아에 얼룩을 일으키고, 구강점막이 벗겨지거나 미각 이상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6]. 헹굴 때 사용하는 ethanol의 경우 구강암 유발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한편 구강 내 원인으로 발생되는 구취는 세균성 부패 및 휘발성 황 화합물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치주질환이 있을 때 구취와 휘발성 황 화합물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viano, W. S., Mendonca-Filho, R. R. and Alviano, D. 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crotin cajucara benth linalool- rich essential oil on artificial biofilms and planktonic microorganism. Oral Microbiol. Immunol. 20, 101-105. 

  2. Bidault, P., Chandad, F. and Grenier, D. 2007. Risk of bacterial resistance associated with systemic antibiotic therapy in periodontology. J. Can. Dent. Association 73, 721-725. 

  3. Choi, H. J., Jeong, Y. K., Kang, D. O. and Joo, W. H. 2008. Inhibitory effects of four solvent fractions of Alnus firma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J. Life Sci. 18, 1005-1010. 

  4. Choi, H. D., Koh, Y. J., Choi, I, W., Kim, Y. S. and Park, Y. K. 2007. Anticariogenic activity and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tw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36-341. 

  5. Davis, J. 1994. Inactivation of antibiotics and the dissemination of resistance gene. Science 264, 375-382. 

  6. Filoch, S. K., Soma, K. and Sissons, C. H.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essential oils in combination with chlorhexidine digluconate. Oral Microbiol. Immunol. 20, 221-225. 

  7. Goldberg, S., Cardash, H., Browning III, H., Sahly, H. and Rosenberg, M. 1997. Isolation of enterobacteriae from the mouth and potential association with malodor. J. Dent. Res. 76, 1770-1775. 

  8. Hamada, S., Koga, T. and Ooshima, T. 1984. Virulence factors of Streptococcus mutans and dental caries prevention. J. Dent. Res. 63, 407-411. 

  9. Jea, N. H. 2007. Effect of origanum oil, red ginseng extract and green tea extract on oral microorganism and volatile sulfur compound. Ph. D.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10. Jung, G. O. 2007. Glucosyltransferase inhibi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Dioscoreabatatas and Prunella vulgaris extract. J. Dnet. Hyg. Sci. 7, 9-12. 

  11. Kim, H. D. 2011. Deodorizing effects and improvements of oral hygiene status by dentifrice containing ginger Extracts. Ph. D.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12. Kleinberg, I. and Codipilly, D. 2008. $H_2S$ generation and ehreduction in cysteine challenge testing as a means of determining the potential of test products and treatment of inhibiting oral malodor. J. Breath Res. 2, 1-9. 

  13. Lee, Y. S., Park, H. J., You, J. S. and Park, H. H. 1998. Isolation of an anticariogenic compound from magnoliae bark.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30-236. 

  14. Loper, J. E., Henkels, M. D., Roberts, R. G., Grove, G. G., Willett, M. J. and Smith, T. J. 1991. Evaluation of streptomycine, oxytetracycline and copper resistance of Erwinia amylovora isolated from pear orchards in Washington State. Plant Disease 75, 287-290. 

  15. Mayanagi, G., Sato, T., Shimauchi, H. and Takahashi, N. 2005. Microflora profiling of supragingival plaque of healthy and Periodontitis subjects by nested PCR. Int. Congress Series 1284, 195-196. 

  16. McCullough, M. J. and Farah, C. S. 2008. The role of alcohol in oral carcinogenesi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lcoholcontaining mouthwashes. Aust. Dent. J. 53, 302-306. 

  17. Morita, M. and Wang, H. L. 2001. Relationship of sulcular sulfide level to severity of periodontal disease and BANA test. J. Periodontol. 72, 74-78. 

  18. Murray P. R., Baron, E. J., Pfaller, M. A., Tenover, F. C. and Yolke, R. H. 1999.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pp. 1527-1539, 7th eds., ASM, Washington DC. 

  19. Petersen, P. E., Bourgeois, D., Ogawa, H., Estupinan-Day, S. and Ndiaye, C. 2005. The global burden of oral diseases and risks to oral health. Bull. World Health Org. 83, 661-669. 

  20. Park, H. S., Min, K. J., Cha, C. G., Song, J. W. and Son, J. C. 2007.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oral microbes and growth-inhibitory effect on oral tumor cell by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Kor. J. Env. Helth. Sci. 33, 21-29. 

  21. Sati, S. C., Sati, N. and Sati, O. P. 2011. Bioactive constituents and medicinal importance of genus Alnus. Pharmacogn Rev. 5, 174-183. 

  22. Tanzer, J. M., Livingston, J. and Thompson, A. M. 2001. The microbiology of primary dental caries in human. J. Dent. Educ. 65, 1028-1037. 

  23. Tonzetich, J. 1978. Oral malodor: An indicator of health status and oral cleanliness. Int. Dent. J. 28, 309-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