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잣나무 정유의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 평가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1, 2014년, pp.1 - 10  

황현정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유정식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이하연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권동주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한웅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허성일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김선영 ((재)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대상으로 GC-MS를 이용한 성분분석,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잣나무 정유를 GC-MS를 이용하여 정성분석한 결과 ${\alpha}$-pinene이 19.38%로 가장 높은 구성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3-carene (11.16%), camphene (10.57%), limonene (9.79%)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들 특유의 향취 조합으로 인해 잣나무 정유 고유의 향취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악취물질 4종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주입한 1시간 후 75.17%의 ammonia 소취능을 나타내어 4종의 정유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Formaldehyde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편백나무와 소나무 정유가 61.6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잣나무 정유는 23.33%를 나타내었다. Trimethylamine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0분 후 편백나무, 전나무, 소나무 정유가 평균 6.70%로 낮은 활성을 나타낸 반면, 잣나무 정유를 주입함으로서 41.58%의 매우 높은 소취력을 나타내었다. Methylmercaptan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시간 후 소나무(82.22%), 잣나무(70.56%), 전나무(62.22%), 편백나무(59.44%) 정유 순으로 소취력을 나타냈다. 구강균에 대한 정유 별 항균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2.90{\pm}0.15mm$)는 L. paracasei에 대하여 전나무($1.83{\pm}0.18mm$)와 소나무($1.54{\pm}0.09mm$) 정유보다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S. aureus에 대한 잣나무 정유($2.86{\pm}0.08mm$)의 항균활성 또한 전나무($1.15{\pm}0.20mm$)와 소나무($1.85{\pm}0.08mm$) 정유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S. sobrinus에 대한 항균활성은 편백나무($1.42{\pm}0.01mm$)와 잣나무($1.40{\pm}0.01mm$) 정유를 처리함으로써 강하게 나타났으며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은 편백나무>전나무>잣나무>소나무 정유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E. faecalis에 대해서는 소나무($0.79{\pm}0.05mm$)정유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천연물 유래 잣나무 정유는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구강탈취제, 구강청결제 등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sential oils of various plants have been known for potential b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bacterial, antifungal, spasmolytic, antiplasmodial activities and insect-repellent property. Recently, the essential oil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in oral disease therapy. This essential oil h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 정유의 성분분석을 통해 그 특이성분을 알아보고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능과 구강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여 구강용 항균소재 및 기능성 향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 2002). 구취의 주요성분은 대부분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틸메르캅탄(methylmercaptan), 디메틸설파이드(dimethyl sulfide)와 같은 휘발성 화합물이며, 그 외에도 부틸산(butylric acid), 카다베린(cadaverine) 등과 같은 아민(amine) 류, 인돌(indole), 피리딘(pyridine) 등과 같은 페닐 화합물(polyphenolic compound)들을 포함하고 있다(Goldberg et al., 1994).
구강의 특징은? 소화기관의 첫 번째 관문인 구강은 인체의 여러 기능들 중에서 생명유지에 필요한 영양분의 섭취라는 일차적이고도 직접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음식물의 저작뿐만 아니라 언어기능은 물론 심미적 기능에까지 영향을 끼치므로 대단히 중요한 신체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Jengal and Cho, 2012). 음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단백질을 구강 내 박테리아가 분해하면서 불쾌한 냄새, 즉 구취의 원인인 휘발성 황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을 발생한다.
체내에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구강 병원균에 대해 선택적 항균력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이유는, 기존 양치액 성분의 어떤 문제점 때문인가? , 1979). 충치예방 및 구취제거용 양치액의 항균물질로는 주로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트리클로산(triclosan),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C; cetylpyridinium chloride) 등의 합성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물질은 장기간 사용시 정상 균총에 영향을 미치고 내성균이 출현하는 등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Morita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STM D1988-06. 2011. Standard Test Method for Mercaptans in Natural Gas Using Length-of-Stain Deterctor Tubes, USA. 

  2. Bae, B.H. and Y.O. Kim. 2003. Effect of leaf aqueous extracts from some gymnosperm plant on the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transplant of Hibiscus syriacus varieties. Korean J. Ecol. 26:37-47. 

  3. Choi, H.D., Y.J. Koh, I.W. Cho, Y.S. Kim and Y.K. Park. 2007. Anticariogenic activity and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tw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336-341. 

  4. Choi, M.J., S.J. Hong, C.H. Choi and S.S. Jeong. 2005. Effects of dentifrice containing extract of Galla Rhois or Psoralea corylifolia on inhibition of plaque formation. J. Korean Acad. Dent. Health 29:141-151. 

  5. Goldberg, S., A. Kozlovsky, D. Gordon, I. Gelemeter, A. Sintov and M. Rosenberg. 1994. Cadaverine as a putative component of oral malodor. J. Dent. Res. 73:1168-1172. 

  6. Heo, J.S., S.M. Choi, Y.H. Choi and Y.G. Lee. 2013. Antimicrobial and anti-oral Malodor efficac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J. Life Sci. 23:443-477. 

  7. Jengal, Y. and S.Y. Cho. 2001. Comparative research on the basic knowledge of oral health of parents of children living in rural and urban areas. J. Korean Soc. Hygienic Sci. 7:109-117. 

  8. Jeong, J.E., B.S. Shim, D.S. Oh, E.J. Yang, A.J. Whi and B.S. Yoo. 2012. Mineral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 and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e. Jour. Korean For. Soc. 5:746. 

  9. Kang, S.K., M.K. Shin, Q.S. Auh, Y.H. Chun and P.J. Hong. 2007.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pathogenic bacteria of phytoncide from Chamaecyparis Obtusa. J. Korean Acad. Oral Med. 32:44-55. 

  10. Kim, B.I., S.N. Kim, S.Y. Chang, J.T. Moon, Y.S. Kim, J.K. Hwang, J.K. Jeong, S.H. Kim, M.Y. Kim, H.S. Kim and H.K. Kwon. 2005. A highly selective antibacterial effect of Curcuma xanthorrhiza extract against oral pathogens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a dentifrice contatining Curcuma xanthorrhiza extract for controlling bad breath. J. Korean Acad. Dent. Health 19:222-237. 

  11. Kim, J.E., W.Y. Kim, J.W. Kim, H.S. Park, S.H. Lee, S.Y. Lee, M.J. Kim, A.R. Kim and S.N. Park. 2010.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inus koraiensis leaf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303-314. 

  12. Kim, S.H., K.S. Han and J.Y. Mang. 2009. Evaluations on the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hmaecyparis obtuse essential oil. Korean J. Odor Res. Eng. 8:111-117. 

  13. Kim, Y.H., N.K. Kim, C.W. Hong and C.S. Kim. 2001.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the leaves and th fruits of Chamaecyparis obtuse and Chamaecyparis pisifer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116-121. 

  14. Kora, T and M. Inoue. 1979. Fractionation and properties of glucans produced by Streptococcus mutans. Infect. Immun. 25:912-929. 

  15. Lee, J.M., S.E. Han, S.L. Lee, J.Y. Park and S.P. Lee. 2008.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Zizyphus jujuba var. inermis, Zanthoxylum piperitum,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and Pinus koraiensis. J. Korean. Hort. Sci. Technol. 26:338-343. 

  16. Lee, S.S., Y.J. Choe, D.H . Choe and I.P. Hong. 2003. Extractives of Pinus koraiensis wood. J. Korean Wood Sci. Technol. 31:48-49. 

  17. Lee, Y.S., K.H. Kim and S.M. Kim. 2006. Introduction to Essential Oil Chemistry. Shinil Books Co., Seoul, Korea. pp. 1-43 (in Korean). 

  18. Moon, B.H and K.S. Yoo. 2005.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from needle leave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8:181-185. 

  19. Morita, M and H. Wang. 2001. Relationship between sulcular sulfide level and oral malodor in subjec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72:79-84. 

  20. Park, J.B., K.S. Auh, Y.H. Jeon, J.Y. Lee and J.P. Hong. 2007. The effect of the phytoncide in decreasing the mouse odor. J. Oral Maxilofac. Surg. 32:151-156. 

  21. Piddock, L.J.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 Bacteriol. 68:307-318. 

  22. Quirynen, M., H. Zhao and D. Steenberghe. 2002. Review of the treatment strategies for oral malodour. Clin. Oral Invest. 14:1-10. 

  23. You, D.Y. 2010. A study of anti-oxidation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ation of Pinus koraiensis extract. Master Thesis, Kyung Hee Univ. pp. 44-4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