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조람 에센셜 향기요법이 수면장애 성인 여자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iganum Majorana Essential Oil Aroma on the Electroencephalograms of Female Young Adults with Sleep Disorder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8 = no.148, 2012년, pp.1077 - 1084  

정한나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 ,  최현주 (인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고령자 라이프 리디자인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로마 향기요법에서 마조람(Origanum majorana)향이 여성의 뇌기능에 미치는 효능을 살펴보기 위해 뇌파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20대 여자 성인(29명)을 대상으로 검증된 수면장애 조사를 통하여 수면질을 조사하여 수면에 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선별하고 마조람 향기요법을 실행하여 뇌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10-20 국제법에 의하여 전두부, 측두부, 후두부, 두정부에 뇌파 전극을 부착하였다. 마조람(50 ${\mu}l$)를 사용하여 향기요법 전 3분, 향기요법 중 3분, 그리고 향기요법 후 3분씩 나누어서 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에서 수면질이 좋은 여자에게 마조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은 양쪽 대뇌반구의 측두부, 좌측 전두부와 두정부, 우측 전두부와 후두부에서 세타파를 증가시키고, 좌측 후두부에서 알파파를 감소시키며, 우측 측두부에서 베타파를 감소시켰다. 또한 수면질이 나쁜 여자에게 있어서 양쪽 대뇌반구의 측두부와 우측 전두부에서 세타파가 증가되었으며, 알파파가 좌측 두정부에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마조람 에센셜 향기요법은 수면질이 좋은 여자에게 알파파와 베타파를 감소시킴으로써, 수면질이 나쁜 여자에게는 알파파 감소를 통하여 각성 상태에서 벗어나게하고, 수면질이 좋은 사람뿐만 아니라 수면질이 나쁜 사람에게도 세타파의 증가를 통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뇌기능 효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iganum majorana essential aroma therapy on electrical activity in the brain as evaluated by an electroencephalogram (EEG). The subjects were 29 healthy female young adults, and their sleep quality was assessed by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EE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조람 에센셜 오일에 대한 연구는 다른 에션설 오일과 블렌딩하여 사용한 연구는 많았고, 마조람의 단독 효과를 살펴 본 연구가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마조람 에센셜 오일 만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수면장애와 관련하여 마조람 에센셜 오일의 향이 뇌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잠을 적게 자는 것으로 2009년에 통계자료에 발표된 나라는 어디인가? 잠을 잘 자기 위하여서는 우선적으로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해야 하는데, 현대 사회의 산업화에 따라 전기와 인공 조명을 사용하게 되면서 사람의 수면시간이 단축 되었다고 한다[20]. 특히 한국사람은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잠을 적게 자는 것으로 2009년에 통계자료에 발표된 바 있다[32]. 한국인 10세에서 24세 4,628명을 대상으로 수면에 대하여 조사한 연구에 의하면, 77%가 수면 부족으로 피로함을 느낀다고 대답하였으며, 20%가 병적인 주간 졸림 증세를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2].
수면시간과 수면주기는 무엇과 관계가 있는가? 4%가 지난 한달 동안 거의 매일 밤 불면증을 경험하였다고 하였다 [29]. 34년 간 코호트 조사를 한 보고에 의하면, 청년기의 불면증이 성인 우울증의 주요 전조 요인으로서[6] 수면질과 우울증은 상호 관련이 있으며[18], 이외에도 수면시간과 수면주기가 심리적 건강과 관계가 있다고 밝혀졌다[17]. 20대 대학생의 수면 문제는, 특정한 질병을 제외하고는 주로 습관에 의한 것이거나[22] 사회적 요구나 학업상의 요구에 의한 것이어서[18], 수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중재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향기요법에 사용되고 있는 에센셜 오일 중에 마조람이라는 오일의 효능은 무엇인가? 오일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른 에센셜 오일과 블렌딩하여 마사지를 하면 여자 고등학생에게서 생리 통증이 경감되었으며 [11], 장의 연동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소화기능에도 효과가 있었다[10]. 또한 마조람 에센셜 오일은 진정작용이 뛰어나서 [16], 성인을 대상으로 마조람을 혼합한 에센셜 오일로 등 부위에 마사지를 하였더니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21]. 이 외에도 마조람 에센셜 오일은 경련이나 편두통을 감소시키고[10], 신경긴장을 완화시키며[2], 불면증, 신경과다인 사람에게 좋은 효과가 있었다[12]. 마조람 에센셜 오일에 대한 연구는 다른 에션설 오일과 블렌딩하여 사용한 연구는 많았고, 마조람의 단독 효과를 살펴 본 연구가 거의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itken, R. C. 1969. A growing edge of measurement of feeling. J. R. Soc. Med. 62, 989-993. 

  2. Bowles, E. J., Griffiths, D. M., Quirk, L., Brownrigg, A. and Croot, K. 2002. Effects of essential oils and touch on resistance to nursing care procedures and other dementia-related behaviours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Int. J. Aromatherapy 12, 22-29. 

  3. Buckle, J. 2001. The role of aromatherapy in nursing care. Nurs. Clin. North Am. 36, 57-72. 

  4.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and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28, 193-213. 

  5. Chae, K. Y. 2007. Physiology of sleep. Korean J. Pediatr. 50, 711-717. 

  6. Chang, P. P., Ford, E. D., Mead, A. E., Patrick, C. L. and Klag., J. M. 1997. Insomnia in young men and subsequent depression. Am. J. Epidemiol. 146, 105-114. 

  7. Cho, E. J. 2009. Subjective sleep qualit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during the late postpartum period. Korean J. Women Health Nurs. 15, 108-120. 

  8. Couser, J. I., Martinez, F. J. and Celli B. R. 1993. Pulmonary rehabilitation that includes arm exercise reduces metabolic and ventilatory requirements for simple arm elevation. Chest 103, 37-41. 

  9. Edge, J. 2003. A pilot study addressing the effect of aromatherapy massage on mood, anxiety and relaxation in adult mental health. Complement. Ther. Nurs. Midwifery 9, 90-97. 

  10. Garg, S. C. 2005. Essential oils as therapeutics. Natural Product Radiance 4, 18-26. 

  11. Hur, M. H., Lee, M. S., Seong, K. Y. and Lee., M. K. 2011. Aromatherapy massage on the abdomen for alleviating menstrual pain in high school girls: a preliminary controlled clinical study.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 1-3. 

  12. Jang, H. H., Kang, H. W., Min, S. J., Yang, H. S., Lyu, Y. S. and Lee, G. M. 2002.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romatherapy for hypertension. Korean Soc. Orient. Neuropsychiatry 13, 8-13. 

  13. Jung, H. and Choi, H. 2012. Effects of Lavandula angustifolia aroma on electroencephalograms in female adults with sleep disorders. J. Life Sci. 22, 192-199. 

  14. Kang, J. H., Kim, J.Y., Kim, C. S., Song, S.O., Choi, W. S. and Whang, K. H. 2012. New Clinical Physiology: Nerve Function Tests. pp. 34-35, 2nd eds.,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Seoul. 

  15. Kim, H. J., Leem, K. H. and Kim, M. H. 2010.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climacteric women's hot flashes. J. Korean Acad. Nurs. 40, 765-774. 

  16. Kim, H. K., Kim, H. G., Cheong, Y. S., Park, E. W. and Yoo., S. M. 2001.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dysmenorrhea from high school girls. J. Korean Acad. Fam. Med. 22, 922-929. 

  17. Kim, J. K. 1998. Circadian rhyth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Korean J. Health Psychol. 3, 129-140. 

  18. Kim, J. K., Song, H. S. and Yeon., M. Y. 2009. The preliminary study of sleep pattern,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l. 14, 617-632. 

  19. Knutson, K. L., Rathouz, P. J., Yan, L. L., Liu, K.and Lauderdale, D. S. 2006. Stability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the Epworth Sleepiness Questionnaires over 1 year in early middle-aged adults: The CARDIA study. Sleep 29, 1503-1506. 

  20. Lee, H. J. and Kim, L. 2003. Effects of chronic insufficient sleep on society. Sleep Med. Psychophysiol. 10, 77-83. 

  21. Lee, H. S. 2008.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nursing students' stress response and anxiety before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9, 112-119. 

  22. Lee, W. J. and Choi, H. J. 2011. Sleep behavior and sleep disorder characteristics in college students. Inje Non Chong 26, 289-306. 

  23. Lee, Y. H. 2008. The effectiveness of back massage using aromatherapy in reduc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Korea Acad. Industrial Cooperation Soc. 9, 246-256. 

  24. Lund, H. G., Reider, B. D., Whiting, A. B. and Prichard, J. R. 2010. Sleep patterns and predictors of disturbed sleep in a larg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J. Adolesc. Health 46, 124-132. 

  25. Moon, Y. S. 2004. Aromatherapy. J. Korean Acad. Fam. Med. 25, 413-418. 

  26. Mulherin, D., Fitzgerald, O. and Bresnihan, B. 1996. Clinical improvement and radiological deterioration in rheumatoid arthritis: evidence that the pathogenesis of synovial inflammation and articular erosion may differ. Br. J. Rhematology 35, 1263-1268. 

  27. Ohayon, M. M., Roberts, R. E., Zulley, J., Smirne, S. and Priest, R. G. 2000. Prevalence and patterns of problematic sleep among older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39, 1549-1556. 

  28. Reimer, M. A. and Fleimons, W. W. 2003. Quality of life in sleep disorders. Sleep Med. Rev. 7, 335-349. 

  29. Robert, R., Lee, E., Hernandez, M. and Solari, A. 2004. Symptoms of insomnia among adolescents in the lower Rio Grande Valley of Texas. Sleep 27, 751-760. 

  30. Sellamia, I. H., Maamourib, E., Chaheda, T., Wannesa, W. A., Kchouka, M. E. and Marzouka, B. 2009. Effect of growth stage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and phenolic fraction of sweet marjoram (Origanum majorana L.). Ind. Crops Prod. 30, 395-402. 

  31. Son, K. C., Song, J. E., Um, S. J., Paek, K. Y., Oh, H. K., Lee, J. S. and Kim, J. H. 2001. Effect of absorption of essential oils on the changes of arousal and antistress. J. Korean Soc. Horticul. Sci. 42, 614-620. 

  32. Statistics Korea (2009). http://www.kosta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