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마 에센셜 오일 흡입이 밤번 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
Inhalation Effects of Aroma Essential Oil on Quality of Sleep for Shift Nurses after Night Work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6, 2016년, pp.769 - 779  

김원종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  허명행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to compare the inhalation effects of aroma essential oil on the quality of sleep (QOS) for shift nurses after working nigh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 healthy adults who didn't have any disease. As an experimental treatment, the participant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는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밤번 근무 후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아로마테라피가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에서 에센셜 오일 흡입이 스트레스, 피로, 수면, 신체적 증상 등[13-15]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면 중 각성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Actigraph란 생체활동 기록기를 활용하고, 이를 분석하여 수면의 질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을 적용하여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그리고 D소재의 E대학병원의 간호부서에 자료 수집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해 허락을 받은 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를 리쿠르트에 의해 자율적으로 모집,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자가 D시 E대학병원에서 밤번 근무를 하는 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자에게 자료 수집 후 소정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 이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밤번 근무 후 아로마 에센셜 오일 흡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흡입은 주관적 수면의 질을 향상시켰으며, 입면 후 각성 횟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 이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밤번 근무 후 아로마 에센셜 오일 흡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 실험연구로 교대근무 간호사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라벤더 오일 흡입 후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이 연구는 교대근무 중 밤번 근무를 3일 동안 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후 아로마 에센셜 오일 흡입을 통해 수면의 질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 실험연구이다(Figure 1).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로마 에센셜 오일 흡입이 밤번 근무 간호사의 근무 후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3일 동안 밤번 근무를 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후 라벤더를 아로마 스톤에 떨어뜨려 흡입을 한 후 그 다음 날 수면의 질을 주관적, 객관적 지표로 확인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실험 처치는 3교대 근무 간호사 중 밤번 근무를 3일 연속으로 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후에 수면 전과 수면 중에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흡입하는 것이다. 아로마 에센셜 오일 흡입이란 대상자에게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자연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호흡기를 통해 흡수시키는 것을 말한다[16].

가설 설정

  • 가설 2. 에센셜 오일 흡입을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입면 후 각성 횟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에센셜 오일 흡입을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관적 수면의 질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대근무 장애란 무엇인가? 교대근무 장애란 근무자의 업무시간 중에 나타나는 졸림, 불면의 특징을 갖는 수면장애를 뜻하며, 교대근무 장애(shift work disorder)의 진단적 기준은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AASM)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 -2 (ICSD-2)에 정의되어 있다. 교대근무 상황에서 수면이 부족하면 인체에 피로감이 누적되고 지각이 둔해지며 일상생활에서 반응속도나 기억력이 둔화되며, 심리적으로 불안해지고, 정상적인 생활 리듬이 깨진다[4].
아로마 요법의 오일별 효능은 어떻게 되는가? 이는 적용한 지 5분 이후부터 혈액에서 검출이 가능하여 최대치로 20분 내에 도달할 수 있다[8]. 아로마 에센셜 오일 중 라벤더(Lavender) 오일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작용 등에서 효과가 있고, 카모마일 로만(Chamomile roman) 오일은 신경을 안정시키고 심신의 피로를 풀어주고 또한 습진이나 건선에도 효과적이며, 오렌지(Orange) 오일은 진정에 효과가 있고, 또한 우울증이 있을 때 기분을 전환시켜 상승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9]. 네롤리(Citrus aurantium)는 꽃봉오리에서 추출되며 마음을 가라앉게 하고 안정 효과가 있으며, 심신을 편안하게 하므로 신경긴장이나 불안, 우울, 불면증에 사용된다[10].
인간의 일반적인 생활방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인간의 일반적인 생활방식은 낮 동안에 각성 상태에서 심리적, 신체적 활동을 하며 밤에는 휴식을 취하고 수면을 통하여 쌓인 피로를 풀고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그러나 현재 다양한 방식의 삶을 살고 있는 우리는 각기 다른 생활방식과 근무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직업들이 생겨남에 따라 많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근로자들은 교대근무를 시행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m SB, Yu SY, Seo EB, Lee SJ, Yun BR, Seo EJ, et al. The effects of shift work on the nurses' negative affectivity and sleep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6;15(1):40-47. 

  2. Lee KJ, Kim MR, Lee AS, Lee JH, Chang YH, Chung MS. Development of duty form for improvement of nurses working conditions.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6. 

  3. Son YJ, Park YR.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3):229-237. 

  4. Akerstedt T, Wright KP, Jr. Sleep loss and fatigue in shift work and shift work disorder. Sleep Medicine Clinics. 2009;4(2):257-271. http://dx.doi.org/10.1016/j.jsmc.2009.03.001 

  5. Shin M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number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and the lack of sleep in medica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3. p. 1-14. 

  6. Trendall J. Concept analysis: Chronic fatig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2(5):1126-1131.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0.01583.x 

  7. Lee HY, Kim SY.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aromatherapy in Ko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2):85-95. 

  8. Nasel C, Nasel B, Samec P, Schindler E, Buchbauer G. Functional imaging of effects of fragrances on the human brain after prolonged inhalation. Chemical Senses. 1994;19(4):359-364. http://dx.doi.org/10.1093/chemse/19.4.359 

  9. Cho SJ. The miracle of aromatherapy. Seoul: SKbooks; 2006. p. 1-236. 

  10. Oh HK. Aromatherapy handbook. Seoul: Yangmoon; 2002. p. 1-191. 

  11. Oh HK. Naturopathic medicine. Seoul: Garambooks; 1996. p. 1-474. 

  12. Choi JY, Oh HK, Chun KK, Lee JS, Park DK, Choi SD, et al. A study for antistress effects of two aromatic synergic blending oi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 2000; 2(2):70-80. 

  13. Chang SB, Chu SH, Kim YI, Yun SH.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leep and fatigue in night 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8;20(6):941-949. 

  14. Kim SJ, Gu M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ircadian types,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among nurses working on two or three day night duti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3):309-320. 

  15. Lee HS, Hwang HS, Kim YA. Effects of hand massage with aroma oil on stress responses and serum immunity of registered nurse during the night dut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2):169-176. 

  16. Buckle J. The role of aromatherapy in nursing care.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001;36(1):57-72. 

  17. Battaglia S. The complete guide to aromatherapy. Queensland, AU: International Centre of Holistic Aromatherapy; 2003. p. 1-602. 

  18. Pilcher JJ, Ginter DR, Sadowsky B.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7;42(6):583-596. http://dx.doi.org/10.1016/S0022-3999(97)00004-4 

  19. Kim KS. The effect of preparatory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videotape influencing on sleep and anxiety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94;1(1):19-36. 

  20.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Paju: Soomoonsa; 2009. p. 1-789. 

  21. Lichstein KL, Stone KC, Donaldson J, Nau SD, Soeffing JP, Murray D et al. Actigraphy validation with insomnia. Sleep. 2006;29 (2):232-239. 

  22. Bae JM, Park GH.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al statistics using SPSS.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p. 1-367. 

  23. Kim L. Jet lag and circadian rhythm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997;4(1):57-65. 

  24. Cho MY, Min ES, Hur MH, Lee MS.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anxiety, vital signs, and sleep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2013:381381. http://dx.doi.org/10.1155/2013/381381 

  25. Ju MS, Lee S, Bae I, Hur MH, Seong K, Lee MS. Effects of aroma massage on home blood pressure,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sleep quality in middle-aged women with hypertensio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2013:403251. http://dx.doi.org/10.1155/2013/403251 

  26. Chien LW, Cheng SL, Liu CF. The effect of lavender aromatherapy on autonomic nervous system in midlife women with insomnia. Evidence- 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2; 2012:740813. http://dx.doi.org/10.1155/2012/740813 

  27. Ko YJ. Effects of lavender fragrance inhalation method on sleep, depression and stress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2;18(2):74-80. 

  28. Seo SY, Chang SY.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sleep,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4):372-380.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4.372 

  29. Lillehei AS, Halcon LL, Savik K, Reis R. Effect of inhaled lavender and sleep hygiene on self-reported sleep issu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5;21(7):430-438. http://dx.doi.org/10.1089/acm.2014.0327 

  30. Fismer KL, Pilkington K. Lavender and sleep: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2; 4(4):e436-e447. http://dx.doi.org/10.1016/j.eujim.2012.08.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