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 자생하는 큰엉겅퀴와 고려엉겅퀴의 분자유전학적 및 화학적 분석
Phylogenetic and Chemical Analyses of Cirsium pendulum and Cirsium setidens Inhabiting Kor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8 = no.148, 2012년, pp.1120 - 1125  

유선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배영민 (창원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 자생 중인 큰엉겅퀴(Cirsium pendulum)를 강원도의 홍천, 원주, 평창, 양양 및 경기도 가평과 충청북도의 충주에서 채취하고,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를 강원도의 태백 및 경상북도의 봉화에서 채취하였다. 채취된 식물들의 genomic DNA를 분리하여서 18S rDNA, ITS1, 5.8S rDNA, ITS2 및 28S rDNA의 일부를 증폭하고,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염기서열을 GenBank에 등록하고, 서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큰엉겅퀴는 6개체 모두에서 18S rDNA 및 5.8S rDNA의 염기서열은 서로 완전히 일치하고 있으나, ITS1과 ITS2의 염기서열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고려엉겅퀴의 경우에는 18S rDNA, ITS1 및 ITS2에서 2개체가 서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일본의 홋카이도에서 채취된 큰엉겅퀴와 중국의 안휘성에서 채취된 엉겅퀴(Cirsium japonicum)를 포함하여서 ITS1과 ITS2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엉겅퀴, 큰엉겅퀴, 고려엉겅퀴는 확연하게 서로 다른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취된 큰엉겅퀴 및 고려엉겅퀴들의 silymarin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모두에서 그 함량이 2 mg/ml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엉겅퀴뿐만 아니라 큰엉겅퀴나 고려엉겅퀴도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보고된 silymarin을 상당히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rsium pendulum plants were collected from Hongcheon, Pyeongchang, Wonju, Yangyang in Kangwondo, Gapyeong in Gyeongkido, and Choongju in Choongcheongbukdo. Cirsium setidens plants were collected from Taebaek in Kangwondo and Bonghwa in Kyeongsangbukdo. Genomic DNA was prepared from those plant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엉겅퀴 아족에 속하는 식물들을 모두 엉겅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구체적인 종(species)을 지칭할 때에는 Cirsium japonicum 종에 속하는 식물을 엉겅퀴라고 하고 나머지 종들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 C. japonicum 종의 식물들만을 엉겅퀴로 지칭하기로 한다.
  • 이러한 식물들의 국내 분포에 대해서도 특정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발견되었다는 보고는 있으나, 전국적 분포에 대해서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자료는 발견할 수 없었다[3,13,14,18,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큰엉겅퀴와 고려엉겅퀴의 분포에 대한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강원도의 홍천, 평창, 원주, 양양과 강원도에 인접한 경기도 가평, 충청북도 충주에서 큰엉겅퀴를 채집할 수 있었다.
  • 엉겅퀴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에 대해서도 보고된 적이 있는데, silymarin 중에서 silybin이 Bacillus subtilis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같은 그람(Gram) 양성 세균에 대해서 강력한 증식억제능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고[11], 지느러미엉겅퀴의 추출물이 역시 그람 양성 세균인 Mycobacterium fortuitum과 Mycobacterium smegmatis에 대한 증식억제능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큰엉겅퀴 및 고려엉겅퀴에서도 silymarin이 존재하는 지를 시험하기 위해서 화학적 분석도 수행하였다.
  • 또한 강원도 태백시와 이에 인접한 경상북도 봉화에서는 고려엉겅퀴를 채집할 수 있었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채집된 큰엉겅퀴와 고려엉겅퀴들의 정확한 동정(identification) 및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위해서 18S rDNA, ITS1, 5.8S rDNA, ITS2의 전부 및 28S rDNA의 일부 염기서열을 밝혀서 서로 비교해 보았다.

가설 설정

  • A, Trees constructed based on ITS1 sequences. B, Trees constructed based on ITS2 sequenc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엉겅퀴 아족의 큰 분류 군은 어떻게 되는가? 국화과의 엉겅퀴족(Cardueae)에는 대략 83속 2,500여 종의 식물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중에서도 36속 1,600여 종의 식물들이 다시 엉겅퀴 아족(Carduinae)으로 분류되고 있다. 엉겅퀴 아족 중에서는 Carduus 속(약 90여 종), Cirsium 속(200-300여 종) 그리고 Onopordum 속(약 60여 종)이 큰 분류군으로 되어 있다[6]. 국내에 자생하는 엉겅퀴의 종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왔으나, 최근에 정리된 바에 의하면 한국산 엉겅퀴들 중에서 Cirsium 속에 속하는 것들로는 Cirsium japonicum(엉겅퀴)을 비롯하여 C.
GenBank의 자료에 나와있는 Cirsium 속 식물에 대한 정보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제주도에 자생하는 바늘엉겅퀴와 울릉도에 자생하는 물엉겅퀴를 제외하고는 국내에 자생하는 Cirsium 속 식물들의 분포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고, 이러한 식물들의 분류 또한 전적으로 형태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분자유전학적(molecular phylogenetic) 자료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GenBank의 자료를 찾아보아도 전 세계적으로 중국의 안휘성에서 채집된 C. japonicum 한 종류(accession EU592014)와 일본의 홋카이도에서 채집된 C. pendulum 한 종류(accession AB035977, AB035998)의 ITS1 및 ITS2의 염기서열이 등록되어 있을 뿐, 그 외의 지역에서 자생 중인 C. japonicum 종 또는 C.
고려엉겅퀴의 특징은 무엇인가? 강원도 지역에서 “곤드레”라는 귀한 나물로 알려져 있는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 역시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1 m에 달하고 뿌리가 곧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 그 분포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12]. 고려엉겅퀴의 ITS1이나 ITS2의 염기서열은 GenBank에 아직까지 보고된 적이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dhikari, M., Arora, R., Chawla, R., Sharma, J., Dhaker, A. S., Gupta, D., Dubey, N., Kumar, R., Ivanov, V., Gadjeva, V., Gevrenova, R. and Sharma, R. K. 2010. Evaluation of silymarin as a promising radioprotector. Z. Naturforsch C. 65, 337-346. 

  2. Bae, Y. M. 2010. Identification of a Carduus spp. showing anti-mycobacterial activity by DNA sequence analysis of its ITS1, 5.8S rRNA and ITS2. J. Life Sci. 20, 578-583. 

  3. Beon, M. S. and Oh, H. K. 2007. Classification of community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Seokbul. Korean J. Plant Res. 20, 375-382. 

  4. Chenna, R, Sugawara, H., Koike, T., Lopez, R., Gibson, T. J., Higgins, D. G. and Thompson, J. D. 2003. Multiple sequence alignment with the Clustal series of programs. Nucleic Acids Res. 31, 3497-3500. 

  5. Cheung, C. W., Gibbons, N., Johnson, D. W. and Nicol, D. L. 2010. Silibinin - A promising new treatment for cancer. Anticancer Agents Med. Chem. 10, 186-195. 

  6. Haffner, E. and Hellwig, F. H. 1999. Phylogeny of the tribe Cardueae (Compositae) with emphasis on the subtribe Carduinae: an analysis based on ITS sequence data. Willdenowia. 29, 27-39. 

  7. Han, H. K., Je, H. S. and Kim, G. H. 2010.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powder on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43-349. 

  8. Jeong, D. M., Jung, H. A. and Choi, J. S. 2008. Comparative antioxidant activity and HPLC profiles of some selected Korean thistles. Arch. Pharm. Res. 31, 28-33. 

  9. Kalantari, H., Shahshahan, Z., Hejazi, S. M., Ghafghazi, T. and Sebghatolahi, V. 2011. Effects of Silybum marianum o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J. Res. Med. Sci. 16, 287-290. 

  10. Katiyar, S. K., Mantena, S. K. and Meeran, S. M. 2011. Silymarin protects epidermal keratinocytes from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apoptosis and DNA damage by nucleotide excision repair mechanism. PLoS One. 6, e21410. 

  11. Lee, D. G., Kim, H. K., Park, Y. K., Park, S. C., Woo, E. R., Jeong, H. G. and Hahm, K. S. 2003. Gram-positive bacteria specific properties of silybin derived from Silybum marianum. Arch. Pharm. Res. 26, 597-600. 

  12. Lee, T. 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2nd eds. 

  13. Oh, H. K. and Beon, M. S. 2007. Flora and classification by characteristics of nature every second year in Wolchulsan national park. Korean J. Plant. Res. 20, 201-211. 

  14. Oh, H. K., Kim, Y. H. and Beon, M. S. 2006. Study on vascular plants of the Gosan Recreational Forest in Jeonbuk - A case study of wild plants except planted plants. Korean J. Plant. Res. 19, 617-627. 

  15. Polyak, S. J., Morishima, C., Lohmann, V., Pal, S., Lee, D. Y., Liu, Y., Graf, T. N. and Oberlies, N. H. 2010. Identification of hepatoprotective flavonolignans from silymarin. Proc. Natl. Acad. Sci. USA 107, 5995-5999. 

  16. Song, M. J. and Kim, H. 2007. Taxonomic study on Cirsium Miller (Asteraceae) in Korea based on external morphology. Korean J. Pl. Taxon. 37, 17-40. 

  17.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18. You, J. H. 2005. The Vascular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 J. Env. Eco. 19, 31-45. 

  19. You, J. H., Jin, Y. H., Jang, H. W., Cho, H. W., Lee, D. W., Yun, H. B. and Lee, C. H. 2004. The flora of Mt. Bakdal in Chungcheongbuk-do, Korea. Korean J. Plant Res. 17, 169-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