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Stabil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Cirsium setidens Nakai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4, 2016년, pp.304 - 309  

이진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양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봉연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라문진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김선영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강일준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경찬 ((주)하티)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려엉겅퀴 추출물에 대한 열안정성, pH 안정성을 조사하고자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은 온도별(4, 25 및 $50^{\circ}C$), pH별(4.0, 7.0, 및 10.0)로 저장하면서 추출물의 pectolinarin 함량, 총 페놀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 assay를 분석하였다.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pectolinarin 함량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도에 의한 영향보다 pH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도 pectolinarin 함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4^{\circ}C$)에서 보다 높은 온도인 $25^{\circ}C$$50^{\circ}C$에서 큰 감소치를 보였고 산성(pH 4.0)과 중성(pH 7.0)에서는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항산화 활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RAP은 온도별, pH별 저장조건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고려엉겅퀴 주정 추출물은 산성(pH 4.0)과 중성(pH 7.0)조건에서 저온($4^{\circ}C$) 저장 시 추출물의 안정성을 최적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ssessed stabil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Cirsium setidens Nakai that will be applied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ingredients. We evaluated pectolinari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of ethanol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의 저장 중 열안정성, pH 안정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은 온도별(4, 25 및 50℃), pH별(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엉겅퀴란 무엇인가?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는 국화과(Asteraceae)엉겅퀴(C. japonicum var. ussuriense)속 식물로 민간에서는 곤드레로 알려져 있다. 고려엉겅퀴의 잎과 순은 식품원재료 데이터베이스에 식품원료로 명시되어 있으며 수천 년 동안 나물과 비빔밥 등의 식품원재료로 사용되었다1-2).
고려엉겅퀴의 건강기능식품 소재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고려엉겅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료 표준화를 통한 소재의 기능성 및 안전성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6-7). 또한, 표준화된 원료의 저장안정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원료의 효능 유지, 저장 중의 지표성분의 변화 등 표준화된 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연구가 필요하지만 아직 보고된 바 없다. Lee8) 등과 Kim9) 등은 천연물의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최적 추출조건 확립에 관한연구로 올리브 잎과 유근피의 적정 추출조건 및 추출물의안정성에 관한 연구에서 특정 추출조건 하의 주정 추출물의 경우가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됨을 확인한 바 있으며 천연물의 건강기능식품 소재화를 위하여 추출물의안정성을 조사한 연구로, Kim 등10)은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열 및 pH 안정성을 조사하였고, Yoon 등11)은 모자반에탄올 추출물이 121oC에서 15분간 열처리하고 pH 2.
고려엉겅퀴는 어떤 효능을 가지고 무엇에 사용되는가? 고려엉겅퀴는 강원도 지역에서 중요한 산채자원의 하나로 최근 건강식품의 원료로도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고려엉겅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된 바 있다. 고려엉겅퀴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을 보고한 Lee 등3)에 의하면 고려엉겅퀴는 항산화 활성, 간 보호 작용, 항염증 활성이 우수하며 주요 지표성분으로 pectolinarin 성분이 밝혀져 건강기능식품 원료로서 주요한 소재로 제시한바 있으며 Park과 Kim4)은 동결건조 한 고려엉겅퀴 분말을 첨가하여 생면을 제조하였고 Kang 등5)은 고려엉겅퀴를 이용하여 양조간장을 개발한 바 있다. 구황식물로서 활용되었던 고려엉겅퀴의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ang M.R., Hong E.Y., Cheong J.H., Kim G.H.: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domestic Cirsium japonicum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39-744 (2012). 

  2. Lee D.G., Kim H.K., Park Y., Park S.C., Woo E.R., Jeong H.G., Hahm K.S.: Gram-positive bacteria specific properties of silybin derived from Silybum marianum. Arch. Pharm. Res., 26, 597-600 (2003). 

  3. Lee O.H., Kim J.H., Kim Y.H., Lee Y.J., Lee J.S., Jo J.H., Kim B.G., Lim J.K., Lee B.Y.: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rsium setidens Nak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791-798 (2014). 

  4. Park H.Y., Kim B.K.: Manufacturing optimization of wet noodle added with leaf powder of freeze-dried Cirsium setidens Nakai. Food Eng. Prog., 18, 130-139 (2014). 

  5. Kang I.J., Ham S.S., Chung C.K., Lee S.Y., Oh D.H., Cho K.P., Do J.J.: Development of fermented soysauce using Cirsium setidens Nakai and comfr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52-1158 (1997). 

  6. KFDA. Guideline for standard of health functional food.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8). 

  7. Kim Y.H., Bae D.B., Park S.O., Lee S.J., Cho O.H., Lee O.H.: Method val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beta}$ -glucan in Acanthopanax korean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19-1425 (2013). 

  8. Lee O.H., Lee H.B., Lee J.S., Lee B.Y.: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and stability of olive leaf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8-182 (2005). 

  9. Kim J.M., Cho M.L., Seo K.E., Kim Y.S., Jung T.D., Kim Y.H., Kim D.B., Shin G.H., Oh J.W., Lee J.S., Lee J.H., Kim J.Y., Lee D.W., and Lee O.H.: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umil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172-1179 (2015). 

  10. Kim S.J., Kweon D.H., Lee J. H.: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84-588 (2006). 

  11.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Lee S.J., Lee C.J., Park N.B., Jung J.Y., Kwak J.H., Nam K.W., Ahn D.H.: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argassum fulvellum ethanol extract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55-159 (2010). 

  12. Oh J.W., Lee J.H., Cho M.L., Shin G.H., Kim J.M., Choi S.I., Jung T.D., Kim Y.H., Lee S.J., Lee B.J., Park S.J., and Lee O.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for pectolinarin and pectolinarigenin in fermented Cirsium setidens Nakai by bioconver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504-1509 (2015). 

  13. Duval B., Shetty K.: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001). 

  14. Ozgen, M., Reese, RN., Tulio, AZ., Scheerens, JC., Miller, AR.: Modifie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method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of selected small fruits and comparison to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methods. J. Agric. Food Chem., 54, 1151-1157 (2006). 

  15. Biglari F., AlKarkhi A.F., Easa A.M.: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various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fruits from Iran. Food Chem., 107, 1636-1641 (2008). 

  16. Liu S., Zhang J., Li D., Liu W., Luo X., Zhang R., Li L., Zhao J.: Anticancer activity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e of Cirsium japonicum DC. Nat. Prod. Res., 21, 915-922 (2007). 

  17. Liu S., Luo X., Li D., Zhang J., Qiu D., Liu W., She L., Yang Z.: Tumor inhibition and improved immunity in mice treated with flavone from Cirsium japonicum DC. Int. Immunopharmacol., 6, 1387-1393 (2006). 

  18. Shim K.H., Kang K.S., Choi J.S., Seo K.I., Moon J.S.: Isolation and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in grape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279-286 (1994). 

  19. Park Y.H., Won E.K., Son D.J.: Eff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Green tea Catechins. J. Fd. Hyg. Safety, 17, 117-123 (2002). 

  20. Bondet V., Brand-Williams W., Berset C.: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WT-Food Sci. Technol., 30, 609-615 (1997). 

  21. Arnao M.B.: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chromogen radicals: a practical case. Trends Food Sci. Tech., 11, 419-421 (2000). 

  22. Prior R.L., Wu X., Schaich K.: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2005). 

  23. Ou B., Huang D.,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Deemer E.K.: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 vegetables employ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a comparative study. J. Agric. Food Chem., 50, 3122-312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