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2, 2012년, pp.239 - 247  

노영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류언나 (선린대학교 간호학과) ,  최동원 ((전) 적십자간호대학) ,  백선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상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evel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a medical-surgical nursing course using team-based learning (TBL). Method: Four-hour TBL sessions were given in a structured three-phase sequence in a cohort of 261 se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TBL 수업의 목적은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를 간호하기 위한 지식, 기술과 태도를 학습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호흡곤란 양상,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검사, 치료와 간호를 학습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2학년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 간호 개념을 주 1회 2시간씩 총 2회 4시간의 TBL을 적용한 후 학습자 인식,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TBL 수업은 강의, 소그룹 학습과 시뮬레이션 실습으로 구성된 일 통합교과목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 간호를 주제로 과거 성인간호학 수업에서 2시간의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던 내용을 4시간의 TBL 수업으로 전환하였고, 사전 자가학습, 준비도 확인시험과 학습내용 적용을 위한 그룹 토의 단계를 통해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TBL 학습 후 간호학생의 학습자 인식, 학업성취도와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학습자 인식과 만족도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간호교육에서의 TBL 도입과 운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서 TBL 도입과 운영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TBL 수업 후 학습자 인식,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습자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설문조사를 위해 대상자에게 연구목적, 진행절차, 설문작성의 거부가 교과성적에 영향이 없으며 자유로운 연구탈퇴가 보장됨을 설명하였고 기밀유지를 명시한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본 연구는 학습자 인식,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므로 간호학생의 신원 확인을 위한 성명과 학번을 설문지에 기입하도록 하여 익명성 보장은 되지 않았으나 연구자료가 분석되는 동안 기밀유지를 하였다.
  • 본 대학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교과중심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을 탈피하고 통합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을 하였고, 일 교과목에서 TBL 교수법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이에 TBL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자 인식,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간호교육에서의 효율적인 TBL 운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이 간호실무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과 태도 등의 간호핵심역량을 갖추도록 준비시켜 향후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역량 있는 간호사로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Chan, 2002). 그러나 실제 간호현장 실무자들은 신규간호사의 간호지식, 기술, 임상대처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서 간호역량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고 있고(Berkow, Virkstis, Stewart, & Conway, 2008; Shin, Jung, Kim, Lee, & Eom, 2010), 이러한 역량 부족의 원인으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방법이 제기되고 있다.
팀 기반학습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팀 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 TBL)은 1970년대 Oklahoma 대학의 Michaelsen 교수에 의해 처음 시도된 교수법으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참여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들이 비전을 공유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체계를 갖추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성과를 달성하는 팀 체계에 바탕을 둔 교수학습방법이다. 팀의 형성과 운영, 학생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 팀별 학습과제를 통한 팀의 발전과 학습 촉진, 즉각적인 피드백의 네 가지 주요 원리를 포함하며, 사전 자가학습(Preparation), 준비도 확인시험(Readiness assurance)과 학습내용 적용(Application of course concepts)의 3단계로 구성된다(이영민, 전도근, 2009; Michaelsen, Parmelee, McMahon, & Levine, 2008).
팀 기반학습이란 무엇인가? 팀 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 TBL)은 1970년대 Oklahoma 대학의 Michaelsen 교수에 의해 처음 시도된 교수법으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참여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들이 비전을 공유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체계를 갖추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성과를 달성하는 팀 체계에 바탕을 둔 교수학습방법이다. 팀의 형성과 운영, 학생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 팀별 학습과제를 통한 팀의 발전과 학습 촉진, 즉각적인 피드백의 네 가지 주요 원리를 포함하며, 사전 자가학습(Preparation), 준비도 확인시험(Readiness assurance)과 학습내용 적용(Application of course concepts)의 3단계로 구성된다(이영민, 전도근, 2009; Michaelsen, Parmelee, McMahon, & Levin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근곤, 윤배, 장효순, 공은숙 (2002).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간호교육과정 통합 방안에 관한 고찰. 예수간호대학 논문집, 14(1), 149-164. 

  2. 박인숙, 김동기 (2009). 치위생교육과정의 치면세마 교육에 대한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1), 125-133. 

  3. 백선용, 임선주, 이선희, 감비성, 윤소정, 이상수 등 (2011). 의학 강의의 질 개선을 위한 동영상 수업분석 및 그 활용도 연구. 한국의학교육학회지, 23(4), 263-274. 

  4. 이영민, 전도근 (2009). 팀 기반 학습. 서울: 학지사. 

  5. 조아라, 한상익, 윤상헌, 박주현, 유남진, 김 선 (2010).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 바탕학습 운영방안 및 기대효과. 한국의학교육학회지, 22(1), 47-55. 

  6. Berkow, S., Virkstis, K., Stewart, J., & Conway, L. (2008). Assessing new graduate nurse performan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11), 468-474. 

  7. Chan, D. (2002). Developmen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hospital as a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2), 69-75. 

  8. Chung, E. K., Rhee, J. A., Baik, Y. H., & A, O. S. (2009).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in medical ethics education. Medical Teacher, 31, 1013-1017. 

  9. Clark, M. C., Nguyen, H. T., Bray, C., & Levine, R. E. (2008). Tea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3), 111-117. 

  10.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11. Feingold, C. E., Cobb, M. D., Givens, R. H., Arnold, J., Joslin, S., & Keller, J. L. (2008). Student perceptions of team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5), 214-222. 

  12. Grady, S. E. (2011). Team-based learning in pharmacotherapeutics.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5(7), 136. 

  13. Haidet, P., Morgan, R. O., O'Malley, K., Moran, B. J., & Richards, B. F. (2004). A controlled trial of active versus passive learning strategies in a large group setting.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9(1), 15-27. 

  14. Koles, P. G., Stolfi, A., Borges, N. J., Nelson, S., & Parmelee, D. X. (2010).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Medicine, 85(11), 1739-1745. 

  15. McInerney, M. J. (2003). Team-based learning enhances long-term retention and critical thinking in an undergraduate microbial physiology course. Microbiology Education, 4, 3-12. 

  16. Mennenga, H. A. (2010). Team-based learning: Engagement and accountability with psychometric analysis of a new instru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17. Michaelsen, L. K., Parmelee, D. X., McMahon, K. K., & Levine, R. E. (2008).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erling: Stylus Publishing. 

  18. Murad, M. H., Coto-Yglesias, F., Varkey, P., Prokop, L. J., & Murad, A. L. (2010).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Medical Education, 44(11), 1057-1068. 

  19. Nieder, G. L., Parmelee, D. X., Stolfi, A., & Hudes, P. D. (2005). Team-based learning in a medical gross anatomy and embryology course. Clinical Anatomy, 18(1), 56-63. 

  20. Shin, K. R., Jung, D., Kim, M. W., Lee, Y. J., & Eom, J. Y. (2010). Clinical supervisors'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compet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in Korea. Nursing Outlook, 58(3), 129-134. 

  21. Sisk, R. J. (2011). Team-based learning: Systematic research review.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12), 665-669. 

  22. Tan, N. C., Kandiah, N., Chan, Y. H., Umapathi, T., Lee, S. H., & Tan, K. (2011). A controlled study of team-based learning for undergraduate clinical neurology education. BMC Medical Education, 11, 91. 

  23. Thompson, B. M., Schneider, V. F., Haidet, P., Levine, R. E., McMahon, K. K., Perkowski, L. C., et al. (2007). Team-based learning at ten medical schools: Two years later. Medical Education, 41(3), 250-257. 

  24. Vasan, N. S., DeFouw, D. O., & Compton, S. (2009).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in anatomy curriculum: Favorable views unrelated to grades. Anatomical Science Education, 2(4), 150-155. 

  25. Vasan, N. S., DeFouw, D. O., & Compton, S. (2011). Team-based learning in anatomy: An efficient, effective, and economical strategy. Anatomical Science Education, 4(6), 333-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