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에 팀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
The impa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595 - 602  

한수정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교육에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교수법을 제시하며, 간호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4일부터 11월11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최종 40명의 자료를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팀 기반 학습은 대상자의 학습동기와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팀 기반 학습을 간호교육에 새롭게 도입하였고, 학생들에게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를 높여주는 교수법임을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후속연구에서는 학습동기와 학습태도 외에도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및 창의력 등의 복합적인 변수들을 고려한 팀 기반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TBL)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an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ursing students were participated. TBL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00 minutes a week for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반으로 하여 간호 대학생에게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 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팀 기반 학습은 대상자의 학습동기와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에게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태도란 무엇인가? 학습태도란 학교와 학습과제를 긍정적으로 보거나 부정적으로 보는 하나의 지속적인 심리적 경향성이다[16]. 학습태도는 [17]에서 제작한 학습태도 검사지를 수정보완 한 [9]의 도구에서 과목에 대한 자신감과 우월감을 알아보는 5개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소규모 팀 학습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또한 튜터 간 평가의 비일관성, 튜터 간 개입 수준의 차이 등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6]. 이러한 점을 보완해 주기 위해 개발된 팀 기반 학습은 강의식 수업장소에서 학생들이 사전지식을 습득한 후 소규모 팀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토론하는 것으로 개인적 학습과 협동학습을 통한 개인학습의 보완, 반복학습, 교사의 핵심내용 정리가 가능한 미니강의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피드백과 응용문제해결이 가능한 수업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도는 사전 읽기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의 범위를 설정해 주기 때문에 보다 명확한 학습 방향을 제시해 주고, 토론 중간에 학습한 내용에 대한 퀴즈를 실시함으로서 학생들의 이해수준을 점검하고 피드백 함으로써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6-7].
학습동기란 무엇인가? 학습동기란 학습에 참여하게 하는 학습자의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일으키는 내적인 상태를 말한다[9]. 본 연구에서는 [14]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를 [15]가 번안한 학습동기 검사지를 수정보완한 [9]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주의력 8문항과 관련성 9문항으로 총 17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H. Jin, & J. W. Son, Eff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ol.21, No.3, pp. 703-718, 2011. 

  2. I. S. Park, & D. K. Kim, Effect of TBL on oral prophylaxis education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Dental Health, Vol.33, No.1, pp. 125-133, 2009. 

  3. A. R. Cho, S. I. Han, S. H. Yoon, J. H. Park, N. J. Yoo, & S. Kim, Methods of effective team-based learning administration and expected effects o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2, No.1, pp. 47-55, 2010. 

  4. K. J. Koh, S. J. Kim, & H. K. Kang,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a college's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PBL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16, No.1, pp. 33-42, 2010. 

  5. Y. M. Choi, Learners' evaluation on team learning activities in college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22, No.4, pp. 143-163, 2010. 

  6. K. H. Park, C. H. Park, W. J. Chung, & C. J. Yoo,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team-based learning.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2, No.3, pp. 225-230, 2010. 

  7. Y. M. Lee, J. K. Nam, H. J. Cho, & S. Y. Lee, Formative research on Team-Based Learning model in a technical high school class. The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ducation Association, Vol.36, No.2, pp. 1-23, 2011a. 

  8. Y. M. Lee, J. K. Nam, H. J. Cho, & S. Y. Le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ers' performance, learning activities, and motivation in a vocation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30, No.2, pp. 51-71, 2011b. 

  9. I. S. Park, Effe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oral prophylaxis of dental hygiene students.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2009. 

  10. Koles, P. G., Stolfi, A., Borges, N. J., Nelson, S., & Parmelee, D. X.,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Medicine, Vol.85, No.11, pp. 1739-1745, 2010. 

  11. Parmelee, D., Michaelsen, L., "Twelve tips for doing effective team-based learning(TBL)", Medical Teacher, Vol.32, No.2, pp. 118-122, 2010. 

  12. Parmelee, D., Michaelsen, L., "Team-based learning: it's here and it works!", Academic Medicine, Vol.85, No.11, pp. 1658, 2010. 

  13. Parmelee, D. X., "Team-based learning: moving forward in curriculum innovation: a commentary", Medical Teacher, Vol.32, pp. 105-107, 2010. 

  14. Keller, J. M.,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Vol.10, No.3, pp. 2-10, 1987. 

  15. S. K. Park, The effects of the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model using ARCS strategies on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conceptions and learning motivation. Ph.D.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1998. 

  16. T. S.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life adjustment by school typ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0, No.3, pp. 373-388, 2010. 

  1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Development of program for improvement of thinking ability(I).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7. 

  18. H. J. Cho, & Y. M. Lee, Investigating Conceptual Framework on Team-Based Learning for Improving Learning Process and Performance.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6, No.2, pp. 27-42, 2008. 

  19. I. H. Lee, J. E. Park, D. J. Kim, & S. Y. Choi,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as predictor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20, No.3, pp. 21-31, 2011. 

  20. M. R. Chung, Y. S. Jang, & S. G. Kim,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20, No.2, pp. 221-234, 2011. 

  21. Y. A. Song, Comparison of lear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PBL and SBL group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14, No.1, pp. 55-6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