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간호학 수업에서 팀기반 학습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Fundamentals of Nurs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107 - 119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숙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이론과목에 팀 기반수업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지역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2학년 간호학생 10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3월2일 부터 6월15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one-way ANOVA, paired t-test,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의 차이에서 입학 시 간호사에 대한 생각(F=3.751, p<.05), 기본 간호학 실습수업에 대한 흥미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4.410, p<.05). 자기주도적 학습은 팀기반 학습적용 전 평균 3.39점에서 적용 후 평균 3.50점으로 0.11점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t=-2.083, p=<.05),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팀기반 학습 적용 후 3.12점에서 3.65점으로 0.53점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14.175, p=<.001). 팀기반 학습 적용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평균 3.73점으로 중간이상으로 나타났고, 팀기반 학습 적용 후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업적 자기효능감(r=.512, p<.001), 학습만족도(r=.421, p<.001)와 중간정도 크기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팀기반 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를 높여주는 교수법으로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간호학생들에게 졸업과 동시에 요구되는 임상수행능력을 발휘하고 다양한 간호상황에 대응하여 임상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학습방법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기본간호학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간호학의 교과목 특성에 맞는 팀기반 학습법을 적용해볼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explored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team-based class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Study subjects are 104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from G region. The data were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간호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상황에 대응하여 임상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팀 기반 수업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팀기반 수업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팀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 전 · 후의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하고, 교육후 이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팀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적용한 후 팀 기반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간호학 연구를 살펴보면 기초간호학[5], 성인간호학[19], 통합교과목[3] 등의 수업에 적용되어 왔으나 기본간호학수업에 적용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적용해보고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효과적인지 검증하여 기본간호학 교육방법 개선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팀기반 수업 적용 전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간호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팀기반 학습에 대한 소개 및 적용 목적 등을 설명한 후 자율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 도중 자신의 의지에 따라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임을 설명한 후 연구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기반 학습은 무엇인가? 팀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 TBL)은 1970년대 Oklahoma 대학의 Michaelsen 교수에 의해 처음 시도된 교수법으로, 학습자는 사전에 제시되는 학습자료를 학습 목표에 맞게 스스로 자기주도의 개별학습과 수업 내에서의 팀 학습을 접목시켜 진행하는 수업 방식이다. 즉, 학생들 스스로 문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제시하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정보와 아이디어를 평가, 적용, 종합하는 성숙된 사고과정을 경험하는 교수방법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학습된 개념을 활용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법이다[7].
의료환경 변화에 따라 간호교육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최근 의료환경은 의료분야의 전문화와 의료기술의 발전, 대상자의 건강요구 변화,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증가로 빠르게 변화하면서 임상간호현장 또한 단순하고, 반복적인 상황에서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변화되어 가는 추세로, 다양한 간호상황 및 간호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1]. 이러한 변화에 간호교육에서도 국내외 보건의료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수행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갖춘 간호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성과기반 교육체제와 함께,간호사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2]. 즉, 교육의 패러다임을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일방적인 전달식 교육에서 어떤 사실을 아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간호상황과 과정 중에 간호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가능하도록 전환되고 있다[3].
기존 간호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즉, 교육의 패러다임을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일방적인 전달식 교육에서 어떤 사실을 아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간호상황과 과정 중에 간호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가능하도록 전환되고 있다[3]. 지금까지 간호교육에서 주로 사용한 전통적 교육방법인 강의식 수업은 고차원적 사고 촉진 활동보다는 단순한 수용적 학습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실무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의 임상수행능력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제약이 되고 있다[4]. 따라서 이러한 간호교육의 문제점과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 간호교육방법과 차별화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이며 능동적인 교수학습 전략의 도입과 전환이 요구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 J. Koh, S. J. Kim, & H. K. Kang,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a college's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PBL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6, no. 1, pp. 33-42, 2010.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33 

  2. I. S. Seo, S. M. Oh, H. O. Park, R. W. Ma, "Effects of basic clinical practice program in academic motivati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4, pp. 2276-2284,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4.2276 

  3. Y. S. Roh, E. N. Ryoo, D. W. Choi, S. S Baek, S. S. Kim,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Korean Academy Social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pp. 239-247, 201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39 

  4. G. G. Kim, B. Yoon, H. S. Jang, E. S. Gong, "A literature review of integration method of nursing cirricula for problem based learning", Essays in Jesus College of Nursing, vol. 14, no. 1, pp. 149-164, 2002. 

  5. Y. Y. Kim, N. R.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m-Based Learning of Pharmacolog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1, no. 2, pp. 309-334, 2015. 

  6. J. I. Choi, Problem based learning, Hacjisa, 2010. 

  7. T. Fujikura, T. Takeshita, H. Homma, K. Adach i, K. Miyake, M. Kudo, K. Hirakawa, "Team-ba sed learning using an audience response system: a possible new strategy for interactive medical education", Journal of Nippon Medical School, vol. 80, no. 1, pp. 63-69, 2013. DOI: https://doi.org/10.1272/jnms.80.63 

  8. P. A. Kelly, P. Haidet, V. Schneider, N. Searle, C. L. Seidel, B. F. Richards, "A comparison of inclass learner engagement across, problem-based learning, and team learning using the STROBE classroom observation tool",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 17, no. 2, pp. 112-118, 2005. DOI: https://doi.org/10.1207/s15328015tlm1702_4 

  9. A. W. Burgess, G. Ramsey-Stewart, J. May, C. Mellis, "Team-based learning methods in teaching topographical anatomy by dissection", Journal of Surgery, vol. 82, no. 6, pp. 457-460, 2012. DOI: https://doi.org/10.1111/j.1445-2197.2012.06077.x 

  10. H. S. Han, "A Study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Team-Based Lear n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llected papers, vol. 46, pp. 417-422, 2011. 

  11. D. X. Parmalee, L. K. Michaelsen, "Twelve tips for doing effective team baseding", Medical Teacher, vol. 32, no. 2, pp. 118-122, 2010. DOI: https://doi.org/10.3109/01421590903548562 

  12. S. N. Park, S. K. Lee, "Factors Influenc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1, pp. 6-13, 2008. 

  13. Y. R. Hur, A. R. Cho, S. Kim, "Review on the administration and effectiveness of team-base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25, no. 4, pp. 271-277, 2013. DOI: https://doi.org/10.3946/kjme.2013.25.4.271 

  14. Y. S. Ham, H. S. Kim, I. S. Cho, J. Y. Lim,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538-546,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536 

  15. S. B. Slusarski, "Enhancing self-direction in the adult learner: Instructional techniques for teachers and trainers",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vol. 94, no. 64, pp. 71-79, 1994. DOI: https://doi.org/10.1002/ace.36719946411 

  16. D. Lunyk-Child, D. Crooks, P. J. Ellis, C. Ofosu, L., O'Mara, E. Rideout, "Self-directed learning: Faculty and student perception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0, no. 3, pp. 116-123, 2001. 

  17. B. J. Zimmerman, A. Bandura, M. Martinez-Pons,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 29, no. 3, pp. 663-676, 1992. DOI: https://doi.org/10.3102/00028312029003663 

  18. S. S. Song, "The Effect of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 acy",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3. 

  19. H. S. Oh,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409-418,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9.409 

  20.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 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21. G. O. Yoo,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 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22. A. Y. Kim,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 ademic Self-Efficacy Scale",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1. 

  23. J. M. Keller, The systematic process of motiva tional design", Performance & Instruction, vol. 26, no. 9, pp. 1-8, 1987. DOI: https://doi.org/10.1002/pfi.4160260802 

  24. H. S. Jung, "Effects of Self-Directedness, Task Value, and Learning Type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5. 

  25. J. Brich, Feasibility, acceptance and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in neurology: a pilot study. GMS Zetischrift fur Medizinische Ausbildung, vol. 30, no. 2, pp. 1-16, 2013. 

  26. L. H. Yang, L. Y. Jiang, B. Xu, S. Q. Liu, Y. R. Lian, "Evaluating team-based, lecture-based, and hybrid learning methods for neurology clerkship in China: a method-comparison study. BMC Medical Education", vol. 14, no. 98, pp. 1-7, 2014. DOI: https://doi.org/10.1186/1472-6920-14-98 

  27. K. W. Jang, The debate on the lecture class to communicate strategy process,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4. 

  28. J. H. Seo,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s Learning Performance", Unpub lished master' thesis Seonam University, 2012. 

  29. M. S. Knowles, "The Adult Learner", Houston : Gulf Publish Ing, 1990. 

  30. S. J. Chae, K. Y. Lim, "Short Communication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group Peer Assessment Results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a Leadership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20, no. 4, pp. 363 - 366, 2008. 

  31. S. P. Brown, S. Ganesan, and G. Challagalla, "Self-efficacy as a moderator of information seek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6, no. 5, pp. 1043-1051, 2001. 

  32. A. R. Cho, S. I. Han, S. H. Yoon, J. H. Park, N. J. Yoo, S. Kim, "Methods of effective team-based learning administration and expected effects o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22, no. 1, pp. 47-55, 2010. 

  33. M. H, Shin,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Students with Low Level of Self-efficacy",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vol. 12, no. 4, pp. 30-37, 2009. 

  34. A. Bandur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977. 

  35. S. H. Lee, S. E. Chung, "The experiences of team-bas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Proceeding of the Korean Academic of Adult Nursing no. 6, pp. 259-260, 2014. 

  36. H. J. Kim,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kyun - kwan University, 2007. 

  37. K. S. Han, J. Y. Cho,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9, no. 2, pp. 293-303, 1999. 

  38. M. J. Sim, H. S. Oh,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 12, no. 6, pp. 328-337, 2012. DOI: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28 

  39. H. R. Kim, E. Y. Choi, H. Y. Kang, S. M. Kim,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fter Simulation - based Education on Emergency Nursing Ca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1, pp. 5-13,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1.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