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초등학생의 신체활동과 건강신념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lief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6 no.2, 2012년, pp.227 - 238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장세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lief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on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94 fif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표준체중과 비만한 고학년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행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신체활동 행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강신념 요인을 건강신념 모델(Becker, 1974)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고학년 초등학생의 비만 예방․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체활동과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건강 신념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와 신체계측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민감성, 심각성, 이익성, 장애성, 자기효능감 등의 건강신념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신체계측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하여 고학년 초등학생의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신체활동과 건강신념을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 건강 영양조사가 발표한 아동 비만율은 어떻게 되는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문제로, 주로 성인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비만은 최근 청소년은 물론 초등학생에게까지 확대되어 초등학생의 주요 건강문제로 대두되었다(Hong & Lim, 2009; Yoo, 2005). 국민 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아동 비만율은 1998년 10.7% 에서 2001년 15.1%, 2007년 19.7%, 2009년 18.6%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앞으로도 비만 아동은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Choi et al., 2003; Ministry of Health Welfare〔MHW〕&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KCDC〕, 2008; MHW & KCDC, 2010).
비만예방 및 관리 교육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고학년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신체활동과 같은 건강생활 습관은 아동이 성장하면서 차츰 형성되어 확립되므로 초등학교 때부터 생활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Jung & Jung, 2008). 또한 초등학생의 비만율은 저학년보다 고학년에서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Choi 등(2003)의 연구에 따르면 1~3학년에서는 7.4%~13.9%이었으나 4~6학년에 서는 15.4%~20.9%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고학 년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비만예방 및 관리 교육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신체활동을 통한 체중조절 행태 및 이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비만한 아동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비만 아동은 성인이 된 후에도 비만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성인 비만 환자 가운데 1/3은 아동기에 과체중 또는 비만을 경험한 사 실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Chang, Kim, & Seo, 2011; Jung & Jung, 2008). 또한 비만한 아동은 고혈압, 고지혈증, 간기능 이상 등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며(Chaung & Kim, 2002), 성인기에 이르러 심혈 관질환, 당뇨병, 대장암 등에 이환되어 사망할 가능성이 표준체중 아동에 비해 2~3배 높으며(Kang, Kim, & Han, 2004), 신체상 불만족, 섭식장애, 자아존중감 저하, 사회적 위축, 우울 등 심리사회적 건강문제를 나타낸다(Lim, Park, & Goo,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H. S., Chung, K. M., & Jeon, J. (2011). The effect of BMI and physical activity on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3), 537-555. 

  2. Baecke, J. A., Burema, J., & Frijters, J. E. (1982). A short questionnaire for the measurement habitual physical activity in epidemiological studie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36, 936-942. 

  3. Becker, M. H.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Health Education Monographs, 2, 324-473. 

  4. Chai, H. S. (2002).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using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Chang, H., Kim, S. K., & Seo, D. I. (2011). Effects of group music rope-jumping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serum lipid in obese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436-444. 

  6. Chaung, S. K., & Kim, J. A. (2002). The study of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blood cholesterol in obese childr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6(2), 436-444. 

  7. Choi, J. S., Lee, J. S., Ryu, G. Y., Shin, H. R., Lee, K. J., Suh, I. et al. (2003). Morbidity &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2001 Analysis of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8. Choi, S. J. (1998). Dietary-efficacy &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Choi, Y. J., & Jung, H. S. (2004). Analysis of related factor with practice of handwashing by clinical nurse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Clinical Nursing Research, 9(2), 32-41. 

  10. David, G., Mary, D., & Shirley, B. (1993). Self efficacy and health behavior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4, 89-104. 

  11. Glanz, K., Rimer, B. K., & Viswanath, K.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12. Hayslip, B. J., Weigand, D., Weinberg, R., Richardson, P., & Jackson, A. (1996). The development of new scales for assessing Health Belief Model consructs in adulthood.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4, 307-323. 

  13. Hong, Y. M., Lee, C. Y., Lee, K. H., Bae, S. H., Ham, O. K., & Han, J. H. (2004). Predicting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2). 218-224. 

  14. Hong, S. W., & Lim, M. T.(2009). The causes of obesity and difficulties caused by obesity in elementary students. Korea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5(2), 61-74. 

  15. Jung, D. S., & Jung, K. S. (2008). The analysis on exercise and eating habits based on the obesity degree of elementary male students. Korea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3(2), 192-202. 

  16. Kang, H. Y. (2010).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immunoglobulin levels of obese elementary male students.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6(3), 157-168. 

  17. Kang, J. H., Kim, K. A., & Han, J. S. (2004). Korean diet and obesity. Korean Journal of Obesity, 13(1), 34-41. 

  18. Kang, Y. J. (1997). Factors influencing weight control behavior and intention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Kim, B. M., Jung, H. S., & Park, H. J. (2009). Effects of self 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obesity in elementary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1), 119-128. 

  20. Kim, J. J. (2009). Relation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BMI, body type awareness, dietary life, daily routine life and exercise hab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n University, Incheon. 

  2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007 Standard growth curve. Retrieved October 21, 2010 from http;//www.cdc.go.kr/kcdchome/jsp/general/search/tot/ 

  22. Lee, C. M. (2004). Effect of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n weight-control behavior and intention to obesity control elementary 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Daegu. 

  23. Lee. M. S., Kim, J. K., Lee, N. J., & Kim, E. J. (2011).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based upon obesity status and residential area of education offices.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 Sport Science, 13(1). 19-103. 

  24. Lim, H. J., Park, H. R., & Goo, H. K. (2009). A study on policy of obes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5. Ministry of Health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8). 2007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6. Ministry of Health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0). 2009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7. Moon, J. W., & Park, J. S. (2009). A study on relationship of obesity stress, soci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5, 79-97. 

  28. Moon, Y. J., & Kim, S. K. (2008). The application of Planned Behavior Theory for physical activity pre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4(2), 133-143. 

  29. Son, K. M. (2008). Integr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with Health Belief Model to predict exercise behavio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30. Song, S. J. (2008). The health belief variable analysis according to the stage of weigh loss behavior of adult mal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31. Stewart, G. T., Russell, R. P., Marsha, D., Tuth, S., & Dianne, S. W. (1996).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in rural fifth grade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6(4), 145-149. 

  32. Yoo, J. S. (2005). Diagnostic variabl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ight contro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9(1), 95-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