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Public Health Nurs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6 no.2, 2012년, pp.314 - 327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윤오순 (삼육보건대학 간호과) ,  문미영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for public health nurs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 to Oct. 2010 for collection of data from public health nurses (N=195).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공공보건의료기관은 일선에서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자인 보건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뿐 아니라 대처 전략에 대한 연구도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공공 조직의 민원인을 대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감정 노동 연구는 있었으나 우리나라 보건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을 조사한 연구로는 최초의 시도로서 보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보건간호사가 지각하는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보건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함에 있어서 연령대별로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Kim, K. S., 2003; Kim, S. G., 2009; Lee, Jang, & Moon, 2011; Nam, 2007)을 근거로 연령대별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해봄으로써, 향후 보건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중재방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의 목표는 무엇인가? 최근 발표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은 “온 국민이 함께 만들고 누리는 세상”이라는 비전하에 건강수명의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건강생활실천 확산, 예방중심의 상병관리, 안전 환경 보건,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와 사업체계의 확충과 효과적 관리를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정규직 간호사가 보건소 근무 인력 중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인가? 현재 보건소와 보건지소에서 근무하는 정규직 간호사는 3,978명으로 보건소에 근무하는 인력의 21.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s Portal, 2011). 이들은 공공부문에서 일하기 때문에 민간부문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감정노동과는 차이를 보인다.
"온 국민이 함께 만들고 누리는 세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시하고 있는 과제는 무엇인가? 최근 발표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은 “온 국민이 함께 만들고 누리는 세상”이라는 비전하에 건강수명의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건강생활실천 확산, 예방중심의 상병관리, 안전 환경 보건,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와 사업체계의 확충과 효과적 관리를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이와 같은 국가보건정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 건강관리의 일차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의료서비스(Lee, 2008)의 확대 및 강화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Y.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clinic nurses in a specialized hospital for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 Ahn, J. Y., Jung, H., & Kim, H. A.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a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2), 139-146. 

  3. Ahn, Y. H., Kweon, E. K., Choi, E. S., & Gu, E. J. (2011). Effects of competency level in communication on professional competence of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2), 233-243. 

  4. Byun, K. H., Jung, Y. K., Shin, K. S., Yoon, Y. H., & Huh, K. H. (2011). Women workers, emotional labor in service industr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5. Cho, S. K., & Jung, H. S. (2006). A study on response of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of the sales workers of department stor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5(2), 83-93. 

  6. Cho, C. M., Kim, K. S., & Kim, M. H. (2009). Health problems and work impairment in nurses working at community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1), 69-77. 

  7. Diefendorff, J. M., Erickson, R. J., Grandey, A. A., & Dahling, J. J. (2011). Emotional display rules as work unit norms: a multilevel analysis of emotional labor among nurs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6(2). 170-186. 

  8. Gray, B., & Smith, P. (2009). Emotional labour and the clinical settings of nursing care: The perspectives of nurses in East Lond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9, 253-261. 

  9. Han, S. J., Yoon, O. S., Kwon, M. S., & Song, M. S. (2011). Comparison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55-64. 

  10. Jeong, S. Y.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positive study focusing on social welfare offici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1. Kang, I., Cho, S., & Jeong, H. J. (2010).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school nurse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2). 286-295. 

  12. Katayama, H. (2010).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related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Japanese Journal of Hygiene, 65(4), 524-529. 

  13. Kim, K. S. (2003). Work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7(2), 212-223. 

  14. Kim, M. G.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of public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15. Kim, S. G.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in pubic sector: Focused on street-level bureaucrats in the civil service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13(1), 51-70 

  16. Kim, B. M., Oh, H. S., & Park, Y. S.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14-23. 

  17. Kim, H. & Kim, J. (2011).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3), 308-318. 

  18. Kim, S. P., & Yoon, S. J. (2002). Emotional labor: The evaluation and alternatives of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s. Yonsei Business Review, 39(2), 205-234. 

  19. Korea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2009). The 3rd conference for establishing on public health promotion planning. Seoul: Author. 

  20. Lee, D., Kim, J. H., Han, W. S., Woo, J. M., Kang, D. W., & Ko, Y. G., et al. (1999). A standardization study II on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K-OSI): demographic variables and norm.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6), 1335-1350. 

  21. Lee, G. E., & Song, Y. (2005). Job satisfaction and work system improvements of public health. Nursing Science, 17(1), 48-58. 

  22. Lee, S. H. (2011). The research about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the department store sales associates-moderating effect of superior's 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3. Lee, S. W. (2008). The activation plans for medical service of public health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4. Lee, Y. S., Jang, J. H., & Moon, A. E. (2011).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oral health professional.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1(5), 823-831. 

  25. McClure, R., & Murphy, C. (2007). Contesting the dominance of emotional labour in professional nursing. Journal of Health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1(2), 101-120. 

  2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The 3rd, the national health plan (2011-2020). 

  2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s Portal (2011). Public health workforce. Retrieved Aug 7, 2012, from http://stat.mw.go.kr. 

  28. Nam, S. D. (2007). A study of job stres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mong the community health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89-97. 

  29. Osipow, S. H., & Spokane, A. R. (1992).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Manual -research version, Florida, PAR. 

  30. Seong, Y. O. (2002). Emotional labor in public service sector: focused on employees of post off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