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정도 비교
Comparison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1, 2011년, pp.55 - 64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윤오순 (삼육보건대학 간호과) ,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송명선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 to Oct. 2009 to collect data from clinical nurses (N=496).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nurses without 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기존연구들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연령이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hoe & Jung, 2005).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연령대별로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향후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지각하는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정도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직무 스트레스를 직무 역할, 개인적 긴장, 개인적 자원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에 따른 하부영역을 제시하여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에 간호학 분야에서 언급되기 시작하는 감정노동이라는 개념을 조사했다는 점과 기존에 사용되었던 직무 스트레스를 직무 스트레스 요인, 직무 스트레스 반응,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세분화하여 조사하였으며 특히 연령을 세분화하여 이에 따른 각 변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경영의 가장 중요한 관건이 병원 조직의 인적자원을 어떻게 잘 관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병원들이 양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병원을 둘러싸고 있는 경영환경이 경쟁적으로 변화되었고 환자의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병원경영의 가장 중요한 관건은 병원 조직의 인적자원을 어떻게 잘 관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에 있다(Lee, 2005). 특히 간호 인력은 병원전체의 인력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Lee, 2004), 의료서비스의 많은 부분이 간호사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병원의 이미지 및 소비자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환자간호의 질에 중요한 책임이 있는 전문직으로서 대상자의 건강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Lee, Kang, & Kim, 2007).
간호사는 어떤 교육과 감독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간호사는 환자와 직접 대면하여 간호를 수행하며 환자와 보호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안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요구받고 있으며, 환자 만족을 위해 적절한 감정을 표현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교육과 감독이 이루어지고 있다(Joung & Kim, 2006). 최근에는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특정한 노동으로 보고 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Yang & Chang, 2008).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또한 급변하는 의료 환경의 변화와 병원간의 치열한 경쟁과 함께 환자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고 있는 간호사는 그 직무특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에 더 노출되어 있다 (Ko & Kang, 2006). Bong, So와 You (2009)는 직무 스트레스는 간호업무 수행능력을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에너지를 고갈시키고 부적응을 초래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을 저해하는 중요한 장애가 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J. Y.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clinic nurses in a specialized hospital for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 Bong, Y. S., So, H. S., & You, H. S.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425-433. 

  3. Cha, S. K., Shin, Y. S., Kim, K. Y., Lee, B. Y., Ahn, S. Y., Jang, H. S., et al. (2009).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23-35 

  4. Choe, S. R., & Jung, H. S. (2005). Meta analysis about the causal factors and the effect of job-stres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4(1), 71-82. 

  5. Chung, E. C., & Doh, B. N. (2002).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1(3), 398-405. 

  6. Gray, B., & Smith, P. (2009). Emotional labour and the clinical settings of nursing care: The perspectives of nurses in East Lond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9(4), 253-261. 

  7. Han, K. S., Kim, N. S., Kim, J. H., & Lee, K. M. (2004). Influencing factors on symptoms of stres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307-1314. 

  8. Hyun, S. I. (2009). Emotional labor, emotional competence and customer-orientation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Joung, M. S., & Kim, K. J.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4), 1-18. 

  10. Kim, H. A. (2010). Contribution of emotional labor to job stress of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26(1), 41-53. 

  11. Kim, M. J. (2006).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between Korea and U.S.A.: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and their job stress. Journal of Hotel Management, 15(1), 35-57. 

  12. Ko, Y. K., & Kang, K.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llective-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2), 276-286. 

  13. Lee, A. S. (200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urse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gwang University of Korea, Iksan. 

  14. Lee, B. I. (2006). Development of a model for emotional labor worker's heal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Lee, B. S., Kang, S. R., & Kim, H. O. (2007). Experience of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Application of focus group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1), 114-124. 

  16. Lee, D., Kim, J. H., Han, W. S., Woo, J. M., Kang, D. W., & Ko, Y. G., et al. (1999). A standardization study II on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K-OSI): Demographic variables and norm.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6), 1335-1350. 

  17. Lee, M. A. (2005). A comparative study of how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nursing service quality influence on hospital revisi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210-1220. 

  18. Osipow, S. H., & Spokane, A. R. (1992).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Manual-research version. Florida, PAR. 

  19. Park, O. I., Park, H. R., & Kim, J. S. (2006). A study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2(2), 105-112. 

  20. Sandiford, P. J., & Seymour, D. (2002). Emotional labor in public house: Reflections on a pilot study.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26(1), 57-70. 

  21. Seong, Y. O. (2002). Emotional labor in public service sector: Focused on employees of post off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2. Yang, F. H., & Chang, C. C. (2008).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linical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6), 879-887. 

  23. Yoon, S. J., Kim, S. P., & Kim, E. M. (2000). Emotional labor: A qualitative study of organizational norms about expressed emotion.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6(1), 215-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