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음파를 이용한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의 정확성과 임상적 결과: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견봉 쇄골 접근법
Accuracy and Clinical Outcomes of Ultrasound-guided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Acromioclavicular Approach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원문보기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Ultrasound Society, v.5 no.1, 2012년, pp.9 - 14  

이상훈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황석민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와 상완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한 후 주사요법의 정확성이 임상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외상이 없고, 약물 치료 및 물리 치료를 받았으나 만족할 만한 호전을 보이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총 33명으로 남자 15명, 여자 18명으로 평균 연령은 55.1세(42~72세)였다. 이를 대상으로 견봉 쇄골 접근법을 통해 스테로이드 칵테일 10 ml(triamcinolone 1 ml(40 mg/ml), lidocaine 4 ml(2%), normal saline 5 ml)와 조영제 5 ml ($Telebrix^{(R)}$, Guerbet, France)를 주입하였으며, 이후 바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주사의 견관절 관절강 내 주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정확히 들어간 경우, 부분적으로 들어간 경우 그리고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경우로 3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군에서 주사요법 전, 후 수동적 운동범위 및 VAS score를 이용한 통증 완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3례 중 25례(76%)에서 조영제가 정확히 관절강 내로 주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례(18%)에서는 관절강에 부분적으로 조영제가 관찰되었고, 2례(6%)에서는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에서 관찰되었다.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정확히 들어간 군은 시행 전 굴곡은 평균 111도(80~140도), 외회전은 48도(0~90도)였고, 시술 후 굴곡은 평균 134도(90~150도), 외회전은 70도(30~90도)로 호전되었다(p<0.01). 그리고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부분적으로 들어간 군은 시행 전 굴곡은 평균 120도(90~150도), 외회전은 70도(10~90도)였고, 시술 후 굴곡은 평균 139(135~140도)도, 외회전은 78도(50~90도)로 호전된 결과가 관찰되었다(p<0.01).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군은 환자수의 부족으로 통계적으로 의미를 갖지 않았다. 시술 전, 후 VAS 점수의 변화는 조영제가 관절강 내로 정확히 들어간 군은 7.1점(3~9점)에서 2.6점(0~5점)으로 호전되었고(p<0.01), 부분적으로 들어간 군은 7.5점(7~9점)에서 3.3점(2~4점)으로 호전되었고(p<0.01),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군은 7.5점에서 2점으로 호전되었다. 또한 당뇨 환자군과 비 당뇨 환자군을 비교한 결과 임상적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모두 호전되었다. 결론: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 하에 견봉 쇄골 접근법을 통한 견관절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는 기존의 방법들보다 좋은 정확도(94%)를 보고하였으며, 이 중 관절강 바깥으로 새어나간 군과 새어나가지 않은 군 간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clinical outcome of ultrasound-guided glenohumeral joint steroid injection on adhesive capsuliti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dhesive capsulitis by MRI and physical examination and did not improve their s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초음파로 바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안전하게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가 가능한 견봉쇄골 접근법(acromioclavicular approach)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의 정확성을 판정하고 그 임상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법이 행해지는 대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법의 주된 적응증으로는 골관절염, 유착성 관절낭염,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는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지며, 대표적으로 전방접근법(anterior approach) 및 후방 접근법(posterior approach)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는 어디에 사용되는 방법인가?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는 견관절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정형외과를 비롯한 류마티스 내과 의사들뿐만 아니라 MR arthrography 또는 CT arthrography를 시행하기 위해 영상의학과 의사들에게도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법의 주된 적응증으로는 골관절염, 유착성 관절낭염,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법의 주된 적응증은 무엇이 있는가? 정형외과를 비롯한 류마티스 내과 의사들뿐만 아니라 MR arthrography 또는 CT arthrography를 시행하기 위해 영상의학과 의사들에게도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법의 주된 적응증으로는 골관절염, 유착성 관절낭염,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는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지며, 대표적으로 전방접근법(anterior approach) 및 후방 접근법(posterior approach)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