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미디어 시대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콘텐츠 소비실태 분석
News Content Consumption Analysis of News Consumers in the Era of New Medi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207 - 218  

최진봉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이미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정부의 탈규제 방송정책으로 소수의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소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뉴스의 소비 실태를 분석하여 미디어 소유 집중이 여론독점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뉴미디어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생성된 새로운 뉴스 소비 시장에서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소비실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새로운 뉴스 소비 환경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총 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네이버 뉴스 서비스에 대한 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네이버 뉴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향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 소비자들은 뉴스 매체 선택에 있어서 뉴스 품질에 대한 기준이나 판단, 또는 언론의 역할에 대한 기준 없이 편리성에 의해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ws content consumption of news consumers in which a few media conglomerates control news consumption market caused by deregulation of media policy and development of 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In doing so, this study analyzes the consumption real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정부의 탈규제 방송정책으로 소수의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소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뉴스 소비시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아래의 연구 문제들을 통해 거대 미디어 기업중심의 언론환경이 미디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하였다.
  •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과 뉴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거대 미디어 기업이 등장하면서 우리사회의 뉴스 소비형태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소비 형태와 뉴스 시장에서 포털 사이트의 영향력에 대해 분석 하였다([표 11] 참조).
  • 본 연구에서는 뉴스 소비시장에서 네이버의 영향력이 점차 증가하면서 거대 미디어 기업에 의해 뉴스 소비시장이 장악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해 냈다. 이러한 상황에서 뉴스 소비시장의 독과점 현상을 막아 여론의 다양성과 언론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뉴스 소비시장의 독과점을 규제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변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해 뉴스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행태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이명박 정부의 탈규제 언론정책으로 인해 소수의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 소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용자들이 어떻게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거대 미디어 기업에 의해 장악된 뉴스 시장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거대 미디어 기업 중심의 언론환경이 미디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에 미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들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 연구문제 2: 네이버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네이버 뉴스 서비스 이용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연구문제 3은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 이용 빈도와 포털 사이트를 언론으로 인식하는 빈도의 상관관계, 그리고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이용 빈도와 네이버를 언론으로 인식하는 빈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뉴스 서비스 이용 빈도와 언론으로의 인식의 빈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포털 r=.
  • 연구문제4는 포털 사이트 뉴스 서비스로 뉴스를 소비하는 이용자들이 기사의 출처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기사 출처에 대한 관심이 매체의 뉴스품질 평가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분석 결과, 포털 사이트를 이용해 뉴스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경우, 뉴스의 출처를 전혀 또는 거의 확인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8.
  • 설문조사 결과 많은 사람들이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은 포털 사이트를 언론매체로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 이 질문의 답을 얻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를 이용 하면서 포털 사이트가 언론의 기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조사 하였다. 조사 결과, 포털 사이트는 언론사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39.
  •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정부의 탈규제 방송정책으로 소수의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소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뉴스 소비시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아래의 연구 문제들을 통해 거대 미디어 기업중심의 언론환경이 미디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변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해 뉴스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행태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이명박 정부의 탈규제 언론정책으로 인해 소수의 거대 미디어 기업이 뉴스 소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용자들이 어떻게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거대 미디어 기업에 의해 장악된 뉴스 시장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거대 미디어 기업 중심의 언론환경이 미디어 수용자들의 뉴스 소비에 미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들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명박 정부가 통과시킨 미디어법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지난 2009년 이명박 정부는 야당과 시민단체, 언론노조, 그리고 언론학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미디어법을 날치기로 통과시켰다. 이명박 정부가 통과시킨 미디어법의 주요 내용은 그 동안 여론의 다양성 확보와 소수 그룹과 계층의 다양한 목소리와 의견이 사회여론에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 소수의 거대 미디어 그룹이 미디어 시장을 장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해 왔던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하는 것이 주 내용이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2009년 통과된 미디어법은 이명박 정부의 탄생과 유지에 공헌했던 조선, 중앙, 동아일보와 매일경제 등 보수신문사들에게 방송 사업이라는 특혜를 베푸는 도구로 활용 되었다.
이명박 정부가 통과시킨 미디어법은 어떻게 활용 되었는가? 이명박 정부가 통과시킨 미디어법의 주요 내용은 그 동안 여론의 다양성 확보와 소수 그룹과 계층의 다양한 목소리와 의견이 사회여론에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 소수의 거대 미디어 그룹이 미디어 시장을 장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해 왔던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하는 것이 주 내용이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2009년 통과된 미디어법은 이명박 정부의 탄생과 유지에 공헌했던 조선, 중앙, 동아일보와 매일경제 등 보수신문사들에게 방송 사업이라는 특혜를 베푸는 도구로 활용 되었다.
2013년 <시사저널>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가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로 선정한 언론사는 무엇인가? 시사 주간지 <시사저널>이 지난 2013년 실시한 언론매체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들이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로 선정한 언론사는 KBS, MBC, 조선일보 순이었다. 그런데,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결과 중 하나는 우리나라 대표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영향력 있는 언론매체 4위(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시사저널, "2013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언론매체/KBS 영향력, 신뢰도, 열독률 3관왕," 시사저널, 제1248호, 2013.9.16. 

  2. 한국인터넷진흥원, 20011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 서울:한국안터넷진흥원, 2012. 

  3. DMC 미디어, 포털 서비스 이용실태 및 광고효과 보고서, 서울:DMC 미디어, 2013. 

  4. 시사저널, "뉴스의 바다 흔드는 디지털 권력," 시사저널, 제940호, 2007.10.22. 

  5. 임종수, "포털 미디어 재 매개에서의 뉴스 소비: 하나의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8-46, 2005. 

  6. 최정훈, "포털의 뉴스 서비스 과거와 현재, 미래, 포털의 뉴스서비스, 어떻게 볼 것인가?," 전문가 초청 토론회 발표문, 2005. 

  7. 안종묵, 박광순, "인터넷 미디어의 뉴스서비스에 관한 비교연구: 포털사이트와 신문사 닷컴의 관련뉴스, 하이퍼링크, 댓글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2호, pp.335-372, 2007. 

  8. 반현, 권영순, "포털 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의 이용행위에 대한 상관관계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399-426, 2007. 

  9. 박광순, "포털 뉴스섹션의 편집요인이 뉴스 이용자의 기사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087-2095, 2012. 

  10. 조화순, 장우영, 오소현, "포털뉴스의 연성화와 의제설정의 탐색," 정보화정책, 제19권, 제3호, pp.19-35, 2012. 

  11. 김위근, 김성해, "뉴스의 대중화 혹은 저널리즘의 게토화: 저널리즘 관점에서 본 네이버 '뉴스캐스트'사례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2호, pp.33-72, 2013. 

  12. 안종묵, "포털 저널리즘의 역할과 평가: 포털미디어에 대한 기존 연구 및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2호, pp.57-76, 2010. 

  13. 박광순, 안종묵, "포털사이트 프론트 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경성/연성뉴스, 소제목, 하이퍼링크, 뉴스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6호, pp.199-226, 2006. 

  14. 정동훈, "포털뉴스 피해 사례 및 현황 연구," 한국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15. 황성기, "뉴스매개자로서의 포털 뉴스서비스의 언론성 및 법적 책임범위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1호, pp.197-232, 2007. 

  16. 양삼승, "포털사이트의 뉴스서비스를 둘러싼 법제적 쟁점과 언론중재제도," 언론중재, 제25권, 제4호(통권 97호), 언론중재위원회, 2005. 

  17. 양재규, "포털뉴스의 피해구제방안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언론중재, 제26권, 제4호(통권 101호), 언론중재위원회, 2006. 

  18. 이희완, "포털사이트의 뉴스편집권: 제목 바꾸기로 뉴스의 진정성 하락," 신문과방송, 통권 422호, 한국언론재단, 2006. 

  19. 유승현, 황상재, "포털미디어의 뉴스 프레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0호, pp.197-232, 2006. 

  20. 최민재, 김재영, "포털의 17대 대선 관련 뉴스서비스 공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4호, pp.667-701, 2008. 

  21. 이창호, 이호영, "포털 이용자들의 포털 뉴스 이용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46호, pp.177-210, 2009. 

  22. 임종수, "포털미디어에 의한 뉴스 미디어의 기능적 대체와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포털미디어 이용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pp.437-465, 2007. 

  23. 황순구, 포털미디어 내비게이터, 서울:황금분할, 2008. 

  24. W. Gormly Jr., The effect of newspapertelevision cross-ownership on news homogeneity, Chapel Hill, N.C.: Institute for Research in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976. 

  25. E. C. Baker, Media concentration and democracy: why Ownership matters, 2007. 

  26. R. D. McChesney, The problem of the media: US communication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NYU Press, 2004. 

  27. 김정섭, "허황된 미디어 산업 일자리 창출," 경향신문, 2009.1.6. 

  28. 최진봉, "거대 미디어그룹의 정크 저널리즘에 공중파 오염," 언론노보,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