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화의료연구에서의 결과에 대한 검토: 삶의 질을 중심으로
A Review on Palliative Care Research Outcomes: Focus on the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5 no.3, 2012년, pp.141 - 146  

황인철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  안홍엽 (동국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수십 년에 걸쳐 '삶의 질'은 의학의 분야를 막론하고 임상과 연구 모두에서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완화의료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정의되며,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이 완화의료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하지만, 이질적인 정의, 세부항목의 불일치, 도구의 다양성 등으로 인해 연구간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동향과 문제점, 그리고 그 해결책에 대해 논의해 보았으며, 향후 완화의료분야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QoL) has increasingly played a prominent role in both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regardless of the medical field. Palliative care is defined as an approach that improves the QoL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optimizing thei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연구자의 의도와 방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어 연구간 비교를 어렵게 하고 있기에,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완화의료 연구에서 결과 평가(outcome assessment)에 대한 동향과 그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향후 ‘삶의 질’을 주요 결과물로 다룰 연구에 있어 고려할 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대상자의 특성: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대상자의 순응도 이다. 특히, 완화의료 연구에서 설문에 참여하지 못하는 환자는 우연히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나쁜 건강상태 혹은 가장 짧은 여명을 반영할 개연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선택 치우침(selection bias)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 그리고, 측정을 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삶의 질’의 세부항목 중 어떤 면을 측정할 것인지, 그리고 어떠한 기전에 의해 ‘삶의 질’이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가설을 세워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화의학과 다른 자연과학의 차이는 무엇인가? 하지만, 완화의료의 개념이 접목되면서 보다 광범위한 환자군이 포함되었고, 생존율이나 약물반응률 등 전통적인 종말점(endpoint) 못지 않게 그들의 삶의 질에 대한 측면이 폭발적으로 각광을 받으면서(1),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통섭(Consilience, 지식의 대통합)’의 개념에 가장 부합되는 영역이 되고 있다. 완화의학은 다른 자연과학과는 달리 대상자들의 주관적 만족도나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주요 목표로 하기 때문에(2), 이 분야의 연구들 상당부분에서 생존율이나 치료반응보다는 삶의 질, 만족도, 인식도, 심리적 부담 등과 같이 다소 주관적인 지표들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의 의도와 방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어 연구간 비교를 어렵게 하고 있기에,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완화의료 연구에서 결과 평가(outcome assessment)에 대한 동향과 그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향후 ‘삶의 질’을 주요 결과물로 다룰 연구에 있어 고려할 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초창기 호스피스의 목표는 무엇인가? 완화의학만큼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것이 또 있을까 의문이다. 초창기 호스피스는 임종 전ㆍ후의 집중적인 관리를 목표로 하여 인문사회학적인 측면이 상당히 강했다. 하지만, 완화의료의 개념이 접목되면서 보다 광범위한 환자군이 포함되었고, 생존율이나 약물반응률 등 전통적인 종말점(endpoint) 못지 않게 그들의 삶의 질에 대한 측면이 폭발적으로 각광을 받으면서(1),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통섭(Consilience, 지식의 대통합)’의 개념에 가장 부합되는 영역이 되고 있다.
완화의학과 관련된 연구가 서로 비교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완화의학은 다른 자연과학과는 달리 대상자들의 주관적 만족도나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주요 목표로 하기 때문에(2), 이 분야의 연구들 상당부분에서 생존율이나 치료반응보다는 삶의 질, 만족도, 인식도, 심리적 부담 등과 같이 다소 주관적인 지표들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의 의도와 방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어 연구간 비교를 어렵게 하고 있기에,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완화의료 연구에서 결과 평가(outcome assessment)에 대한 동향과 그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향후 ‘삶의 질’을 주요 결과물로 다룰 연구에 있어 고려할 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igginson IJ, Carr AJ. Measuring quality of life: Using quality of life measures in the clinical setting. BMJ 2001;322:1297-300.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2012. [cited 2012 May 2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ancer/palliative/definition/en/. 

  3.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Outcomes of cancer treatment for technology assessment and cancer treatment guidelines. J Clin Oncol 1996;14:671-9. 

  4. Buchanan DR, O'Mara AM, Kelaghan JW, Minasian LM. Quality-of-life assessment in the symptom management trials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upported Community Clinical Oncology Program. J Clin Oncol 2005;23:591-8. 

  5. Siddiqui F, Kachnic LA, Movsas B. Quality-of-life outcomes in oncology. Hematol Oncol Clin North Am 2006;20:165-85. 

  6. Hui D, Parsons HA, Damani S, Fulton S, Liu J, Evans A, et al. Quantity, design, and scope of the palliative oncology literature. Oncologist 2011;16:694-703. 

  7. Pastrana T, Junger S, Ostgathe C, Elsner F, Radbruch L. A matter of definition--key elements identified in a discourse analysis of definitions of palliative care. Palliat Med 2008;22:222-32. 

  8. American Academy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Center to Advance Palliative Care, Hospice and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Last Acts Partnership,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National Consensus Project for Quality Palliative Ca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quality palliative care, executive summary. J Palliat Med 2004;7:611-27. 

  9. Mularski RA, Curtis JR, Billings JA, Burt R, Byock I, Fuhrman C, et al. Proposed quality measures for palliative care in the critically ill: a consensus from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Critical Care Workgroup. Crit Care Med 2006;34(11 Suppl):S404-11. 

  10. Miyashita M, Nakamura A, Morita T, Bito S. Identification of quality indicators of end-of-life cancer care from medical chart review using a modified Delphi method in Japan. Am J Hosp Palliat Care 2008;25:33-8. 

  11. Seow H, Snyder CF, Shugarman LR, Mularski RA, Kutner JS, Lorenz KA, et al. Developing quality indicators for cancer end-of-life care: proceedings from a national symposium. Cancer 2009;115:3820-9. 

  12. Pastrana T, Radbruch L, Nauck F, Hover G, Fegg M, Pestinger M, et al. Outcome indicators in palliative care--how to assess quality and success. Focus group and nominal group technique in Germany. Support Care Cancer 2010;18:859-68. 

  13. Stiel S, Pastrana T, Balzer C, Elsner F, Ostgathe C, Radbruch L. Outcome assessment instruments in palliative and hospice care-a review of the literature. Support Care Cancer 2012. Epub 2012 Mar 13. 

  14. Beller E, Tattersall M, Lumley T, Levi J, Dalley D, Olver I, et al. Improved quality of life with megestrol acetate in patients with endocrine-insensitive advanced cancer: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Australasian Megestrol Acetate Cooperative Study Group. Ann Oncol 1997;8:277-83. 

  15. Detmar SB, Aaronson NK, Wever LD, Muller M, Schornagel JH. How are you feeling? Who wants to know? Patients' and oncologists' preferences for discussing health-related quality-of-life issues. J Clin Oncol 2000;18:3295-301. 

  16. Detmar SB, Muller MJ, Schornagel JH, Wever LD, Aaronson NK. Health-related quality-of-life assessments and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2;288:3027-34. 

  17. Velikova G, Booth L, Smith AB, Brown PM, Lynch P, Brown JM, et al.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routine oncology practice improves communication and patient well-be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Oncol 2004;22:714-24. 

  18. Mularski RA, Rosenfeld K, Coons SJ, Dueck A, Cella D, Feuer DJ, et al. Measuring outcomes in randomized prospective trials in palliative care. J Pain Symptom Manage 2007;34(1 Suppl):S7-S19. 

  19. Aktas A, Walsh D, Rybicki L. Symptom clusters: myth or reality? Palliat Med 2010;24:373-85. 

  20. Ganz PA. Quality of life across the continuum of breast cancer care. Breast J 2000;6:324-30. 

  21. Medvec VH, Madey SF, Gilovich T. When less is more: counterfactual thinking and satisfaction among Olympic medalists. J Pers Soc Psychol 1995;69:603-10. 

  22. Calman KC.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an hypothesis. J Med Ethics 1984;10:124-7. 

  23. Postulart D, Adang EM. Response shift and adaptation in chronically ill patients. Med Decis Making 2000;20:186-93. 

  24. Schwartz CE, Sprangers MA.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assessing response shift in longitudinal health-related quality-of-life research. Soc Sci Med 1999;48:1531-48. 

  25. Norman G. Hi! How are you? Response shift, implicit theories and differing epistemologies. Qual Life Res 2003;12:239-49. 

  26. Sales AE, Plomondon ME, Magid DJ, Spertus JA, Rumsfeld JS. Assessing response bias from missing quality of life data: the Heckman method.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4;2:49. 

  27. Rubin DB. Multiple imputation after 18+ years. J Am Stat Assoc 1996;91:473-89. 

  28. Hambleton RK, Swaminathan H, Rogers HJ. Fundamentals of item response theory. Newbury Park:Sage publications;1991. 

  29. Wyrwich KW, Bullinger M, Aaronson N, Hays RD, Patrick DL, Symonds T, et al. Estimating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outcomes. Qual Life Res 2005;14:285-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