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에서의 윤리적 고려사항
Ethical Consideration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earch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2, 2019년, pp.49 - 66  

윤가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기술 발달 및 경제개발 수준 상승 등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hospice & palliative care) 서비스를 받는 말기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 임상전문가들은 환자나 가족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하는 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정부의 연구대상자 보호 정책이 강화되면서 IRB(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연구계획서를 심의할 때 환자의 취약성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사안들을 더 엄밀하게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말기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유지를 위해서는 질적으로 보장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윤리적으로 안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시도가 지지되어야 한다. 이에 필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윤리지침을 종설 논문 형식으로 제안했다. 이는 윤리적으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연구계획서를 준비해야 하는 연구자 및 그 연구계획서를 심의하는 IRB가 적절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ong with th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more terminally ill patients are receivi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Moreove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linicians have been showing considerable interest in studies that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said c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화의료의 기본 목표는 무엇인가? 완화의료에서 다루는 환자의 고통과 증상 완화의 범위는 신체적인 뿐만이 아니라 정서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욕구의 평가 및 관리까지 포괄하며, 역시 환자의 가족들이 환자의 투병기간이나 환자와 사별한 이후에 겪는 아픔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행위도 완화의료에 해당된다. 곧 환자나 가족을 위해 제공되는 완화의료의 기본 목표는 질환의 치료라 하기보다도 삶의 질의 향상에 있다. 한편 호스피스(hospice)란 임종(end-of-life, EOL)이 임박한 환자 및 그 가족에 초점을 맞춘 돌봄 활동이므로 완화의료보다 시간적으로 더 제한된 개념이다(1-6).
완화의료는 어떠한 행위라고 볼 수 있는가? 완화의료(palliative care)란 진행성 질환의 완치 가능성이 희박한 말기 환자나 시한부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의 개선보다도 질환으로 인한 고통과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의료행위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죽음을 촉진시키거나 연기시키는 것보다도 죽음을 기다리는 과정을 정상으로 받아들이면서 환자가 남은 삶을 능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돌봄(care) 행위다. 완화의료에서 다루는 환자의 고통과 증상 완화의 범위는 신체적인 뿐만이 아니라 정서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욕구의 평가 및 관리까지 포괄하며, 역시 환자의 가족들이 환자의 투병기간이나 환자와 사별한 이후에 겪는 아픔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행위도 완화의료에 해당된다.
완화의료란?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정의할 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인지적 기능 관련 환자 개인의 증상에 대한 통찰이 포함된다. 완화의료(palliative care)란 진행성 질환의 완치 가능성이 희박한 말기 환자나 시한부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의 개선보다도 질환으로 인한 고통과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의료행위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죽음을 촉진시키거나 연기시키는 것보다도 죽음을 기다리는 과정을 정상으로 받아들이면서 환자가 남은 삶을 능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돌봄(care) 행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land J, Currow DC, Wilcock A, Tieman J, Hussain JA, Pitsillides C,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strategies used to increased recruitment of people with cancer or organ failure into clinical trials: Implications for palliative care research. J Pain Symptom Manage 2015;49:762-72. 

  2. Masso M, National Palliative Care Program (Australia); Australia.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Ethical research in palliative care: a guide through the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 process. Canberra:National Palliative Care Program;c2004. 

  3. Dy SM, Kiley KB, Ast K, Lupu D, Norton SA, McMillan SC, et al. Measuring what matters: Top-ranked quality indicator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and Hospice and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J Pain Symptom Manage 2015;49:773-81. 

  4. Park M, Yeom HA, Yong SJ. Hospice care education needs of nursing home staff in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BMC Palliat Care 2019;18:20. 

  5. Singer PA, Bowman KW. Quality end-of-life care: a global perspective. BMC Palliat Care 2002;1:4. 

  6. Yun YH, Kang EK, Lee J, Choo J, Ryu H, Yun H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quality care questionnaire-palliative care (QCQ-PC): patient-reported assessment of quality of palliative care. BMC Palliat Care 2018;17:40 

  7. Clark J, Gardiner C, Barnes A. International palliative care research in the context of global development: a systematic mapping review. BMJ Support Palliat Care 2018;8:7-18. 

  8. Takesaka J, Crowley R, Casarett D. What is the risk of distress in palliative care survey research? J Pain Symptom Manage 2004;28:593-8. 

  9. Currorw D, Allingham S, Yates P, Johnson C, Clark K, Eagar K. Improving national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symptom outcomes systematically through point-of-care data collection, structured feedback and benchmarking. Support Care Cancer 2015;23:307-15. 

  10. Terry W, Olson LG, Ravenscroft P, Wilss L, Boulton-Lewis G. Hospice patients’ views on research in palliative care. Intern Med J 2006;36:406-13. 

  11. Abernethy AP, Capell WH, Aziz NM, Ritchie C, Prince-Paul M, Bennett RE et al. Ethical conduct of palliative care research: Enhancing communication between investigators and institutional review boards. J Pain Symptom Manage 2014;48:1211-21. 

  12. Casarett D, Kassner CT, Kutner JS. Recruiting for research in hospice: feasibility of a research screening protocol. J Palliat Med 2004;7:854-60. 

  13. Casarett DJ, Knebel A, Helmers K. Ethical challenges of palliative care research. J Pain Symptom Manage 2003;25:S3-5. 

  14. Casarett DJ, Karlawish JH. Are special ethical guidelines needed for palliative care research? J Pain Symptom Manage 2000;20:130-9. 

  15. Sinclair S. Impact of death and dying on the personal lives and practices of palliative and hospice care professionals. CMAJ 2011;183:182-7. 

  16. Pereira SM, Fonseca AM, Carvalho AS. Burnout in palliative care: a systematic review. Nurs Ethics 2011;18:317-26. 

  17. Kassa H, Murugan R, Zewdu F, Hailu M, Woldeyohannes D. Assessment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nd associated factors towards palliative care among nurses working in selected hospitals, Addis Ababa, Ethiopia. BMC Palliat Care 2014;13:6. 

  18. Fine PG. Maximizing benefits and minimizing risks in palliative care research that involves patients near the end of life. J Pain Symptom Manage 2003:25:S53-62. 

  19.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Ethical principles: Guideline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linical and organizational conduct (Item #: 700270). Alexandria, VA: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c2006. 

  20. Friesen P, Kearns L, Redman B, Caplan AL. Rethinking the Belmont Report? Am J Bioethics 2017;17:15-21. 

  21. O'Mara AM, St Germain D, Ferrell B, Bornemann T. Challenges to and lessons learned from conducting palliative care research. J Pain Symptom Manage 2009;37:387-94. 

  22. Lee S, Kristjanson L.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 Issues in palliative care research. Int J Palliat Nurs 2003;9:13-8. 

  23. Agar M, Ko DN, Sheehan C, Chapman M, Currow DC. Informed consent in palliative care clinical trials: challenging but possible. J Palliat Med 2013;16:485-91. 

  24. Lutz KF, Shelton KC, Robrecht LC, Hatton DC, Beckett AK. Use of certificates of confidentiality in nursing research. J Nurs Scholarsh 2000;32:185-8. 

  25. Pino M, Parry R, Feathers L, Faull C. Is it acceptable to video-record palliative care consultations for research and training purposes?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exploring the views of hospice patients, carers and clinical staff. Palliative Med 2017;31:707-15.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