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4, 2012년, pp.363 - 371  

채정우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딱총나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딱총나무 잎과 줄기의 물추출물에는 6.6 mg/g과 2.0 mg/g의 phenolic compound가 함유되어 있었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 전자공여능은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99.5%, 89.7%,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92.2%, 94.3%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에서도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79.8%, 99.1%,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 90.8%, 97.2%의 매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에서는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1.1과 1.1 PF,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1.4와 1.0 PF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측정에서도 딱총나무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88.7%, 98.1%, 줄기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phenolic 200 ${\mu}g/mL$의 함량에서는 93.6%, 90.6%로 positive control인 BHT 및 vitamin C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딱총나무의 항산화 활성을 이용한 천연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al fo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s of S. williamsii var. coreana leave and stem extracts. Total phenolic content of S. williamsii var. coreana leaves and stem water extracts were 6.6 and 2.0 mg/m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딱총나무의 추출 조건별 phenol 성분 용출량의 최적 조건과 그에 따른 생리활성을 규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써 각각 다른 종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수율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살펴봄으로써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딱총나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딱총나무 잎과 줄기의 물추출물에는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딱총나무 잎의 외형적 특징은? 높이는 3 m 정도로 덩굴처럼 자라며 수피는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줄기의 속이 어두운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2~3쌍의 작은잎으로 우상복엽이며, 길이 5∼14 cm로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날카롭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돌기가 있으며 짧은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우리나라의 민간요법에서 딱총나무를 어떻게 사용해왔는가? 경남 산청 지방에서는 딱총나무를 구수한 맛이나 향이 난다고 하여 꾸순대 나물이라고 하여 식용하는데, 어린잎이나 순은 약간 쓴맛이 있기는 하지만 나물로 무쳐 먹거나 튀김을 해서 먹기도 한다. 전통한의학에서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쉽게 얻을 수 있는 식물들을 한약의 재료로 사용하여 왔으며, 딱총나무의 경우도 널리 이용되어 지고 있지는 않지만, 동물들이 그 열매를 식용으로 이용하며, 우리나라의 민간요법에서는 옛날부터 근골의 좌상 등의 치료약으로 사용되어왔으며, 민간요법으로 신장병, 수종 등의 이뇨약으로 사용되어 왔다(Lee, 1966; Park, 1993).
천연항산화제로 사용되는 폴리페놀성 화합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금까지 보고 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 등의 생리활성 물질은 식물 유래로서 주로 폴리페놀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Huang et al., 1992), 폴리페놀성 화합물인 flavonoid, tannin, anthocyanin, carotenoid류, glutathione 등의 천연항산화제는 생체 내에서 노화를 억제시키거나, 동맥경화증, 염증, 퇴행성 질환 및 암을 예방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Ali, et al., 2005; Elzaawel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i, K.A., M. Abdelhak, B. George and K. Panagiotis. 2005. Tea and herbal infusion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polis. Food. Chem. 89:27-36. 

  2. Andarwulan, N. and K. Shetty.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 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1776-1780. 

  3. Aoshima, H., H. Tsunoue, H. Koda and Y. Kiso.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5240-5244.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8-1199. 

  5. Bluege, J.A. and S.D. Aust.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105:302-310. 

  6. Boo, H.O., S.J. Hwang, C.S. Bae, S.H. Park and W.S. Song. 2011.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each kind of natural plant pigment. Korean J. Plant Res. 24:105-112 (in Korean). 

  7. Chae, J.W., B.S. Jo, S.H. Joo, D.H. Ahn, S.S. Chun and Y.J. Cho. 2012.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Vaccinium oldhami fruits. J. Appl. Biol. Chem. 54:238-243 (in Korean). 

  8. Chae, J.W., J.S. Kim, B.S. Jo, S.A. Kang, H.J. Park, S.H. Joo, S.S. Chun and Y.J. Cho. 2011.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Amelanchier asistica fruits. J. Appl. Biol. Chem. 54:238-243 (in Korean). 

  9. Elzaawely, A.A., T.D. Xuan and S. Tawata. 2005.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Rumex japonicus houtt. aerial parts. Biol. Pharm. Bull. 28:2225-2230. 

  10.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et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9. 

  11. Huang, M.T., C.T. Ho and C.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CS symp. series 50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p. 54-71. 

  12. Irwin, B.Y. and A. Pearl. 1946. Reactions of vaillin and its derived compounds. The Caustic fusion of vaillin. J. Am. Chem. Soc. 68:2180-2184. 

  13. Jung, M.S., G.S. Lee and H.J. Chae.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67-71 (in Korean). 

  14. Kang, J.M., I.H. Cha, Y.K. Lee and H.S. Ryu. 1997. Identification of volatile essential oil, and flavor characterization an antimicrobial effect of fractions from Houttuynia cordata thumb.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209-213 (in Korean). 

  15. Kim, H.K., Y.E. Kim, J.R. Do, Y.C. Lee and B.Y. Lee.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80-85 (in Korean). 

  16. Kim, S.Y., J.H. Kim, S.K. Ki, M.J. Oh and M.Y. Jung. 1994. Antioxidant activities of selected oriental herb extracts. J. Am. Oil Chem. Soc. 71:633-640. 

  17. Lee, H. 2011. Effects of Lxeris dentata ext. on lowering lipidand antioxidation. Korean J. Plant Res. 24:55-60 (in Korean). 

  18. Lee, S.J. 1966. Korean folk medicine. Publishing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 133. 

  19. Moon, J.S., S.J. Kim, Y.M. Park, I.S. Hwang and E.H. Kim.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Pre. 11:207-213 (in Korean). 

  20. Ong, T.M., W.Z. Whong, S. Stewart and H.E. Brockman. 1986. Chlorophyllin; a potent antimutagen against enviromental and dietary complex mixture. Mutat. Res. 173:111-115. 

  21. Park, B.J., H.S. Suk, G.S. Chung and J.K. Sohn. 1987. Studies on protoplast culture and fusion in cruciferae. Korean J. Breed. 19:223-234 (in Korean). 

  22. Park, J.H. 1993. Search of origin of Korean common medicine. Korean J. Pharm. 24:322-327 (in Korean). 

  23. Pellegrin, N.R., M. Yang and C. Rice-Evans.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es apply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379-389. 

  24. Sharman, S., D.S. Jill, G.J. Kelloff and E.S. Vernon. 1994. Screening of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s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Cancer Res. 54:5848-5855. 

  25. Xu, M.L., L. Wang and M.H. Wang. 2011.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MeOH extract of Liriodendron tulipifera. Korean J. Plant Res. 24:23-29 (in Korean). 

  26. Yang, X.J., M.S. Wong, N.L. Wang, S.C. Chan and X.S. Yao. 2007. Lignans from the stems of Sambucus williamsii and their effects on osteoblastic UMR106 cells. J. Asian Natural Prod. Res. 9:583-591. 

  27. Yang, X.J., M.S. Wong, N.L. Wang, S.C. Chan and X.S. Yao. 2005. Effect of phenolic acids isolated from Sambucus Williamsii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at osteoblastic UMR106 cells. Chinese Trad. and Herb. Drugs 36:1604-1607. 

  28. Yang, X.J., N.L. Wang, M.S. Wong, S.C. Chan and X.S. Yao. 2005. Studies of trirepenoids isolated from Sambucus williamsii hance and their effects on UMR106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Journal of Shenyang Pharmaceutical University 22:449-457. 

  29. Yang, Y.J., H.J. Kim, S.H. Kang and S.C. Kang. 2011. Screening of natural herb resources for antioxidative effect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4:1-9 (in Korean). 

  30. Yoo, J.H., J.Y. Cha, Y.K. Jeong, K.T. Chung and Y.S. Cho.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flora) needle extract. J. Life Sci. 14:863-867 (in Korean). 

  31. Zielinski, H. and H. Kozlowska.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cereal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2008-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