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천마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및 라디칼 소거능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4, 2012년, pp.379 - 386  

박미란 (무주군약초영농조합) ,  유철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장영남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안병용 (전북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모를 이용한 발효천마와 비발효천마의 폴리페놀 함량과과 지표성분인 p-hydroxybenzyl alcohol(HBA) 함량 변화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효 전과 발효 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8.65, 389.99 mg/mL으로 나타내었으며, 지표성분인 HBA 함량은 발효 전 2.46 mg/g에서 발효 후 7.94 mg/g로 증가되었다. 비발효천마추출물과 발효천마추출물의 DPPH, ABTS,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발효천마추출물보다 발효천마추출물의 활성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발효천마추출물에서 20배 이상의 활성능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건천마를 발효할 경우 전자공여능 및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항산화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 of content of polyphenol and p-hydroxybenzyl alcohol (HBA), which is an index-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non-fermented G. elata Blume. The polyphenol contents before and after the ferment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효모를 이용한 천마의 발효시 항산화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효 전과 후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지표성분인 p-hydroxybenzyl alcohol 함량 변화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식품소재로써 다양한 활용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비발효천마추출물과 발효천마추출물의 DPPH, ABTS,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발효천마추출물보다 발효천마추출물의 활성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superoxide 라 효모를 이용한 발효천마와 비발효천마의 폴리페놀 함량과과 지표성분인 p-hydroxybenzyl alcohol(HBA) 함량 변화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효 전과 발효 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8.
  • 효모를 이용한 발효천마와 비발효천마의 폴리페놀 함량과과 지표성분인 p-hydroxybenzyl alcohol(HBA) 함량 변화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효 전과 발효 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에 의한 손상은 어떤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 , 2009). 활성산소종은 정상적인 대사과정 중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부산물로 DNA손상, 암, 동맥경화, 심장질환 등 다양한 질병과 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졌다(Aruoma et al., 1991).
천마는 무엇과 공생하는가? 천마(天麻, Gastroia elata Blume)는 난초과(Orchidaceae) 식물에 속하는 다년초로써 담자균류인 뽕나무 버섯 속 (Armillaria mellea) 균사와 공생하며 땅속의 괴경을 가지며, 한방에서의 천마는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질환, 당뇨병, 간질, 어지럼증 등의 증상에 대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1990). 천마는 gastrodin, vanilly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erine, M.A. and C.S. Ough.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 Wiley. New York. USA. pp. 176-180. 

  2. Ahn Y.J., S.Y. Kim, J.H. Ok, H. Wang, C.H. Park, S.H. Kim, Y.S. Heo, Y.H. Jeon and S.N. Park.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35-241 (in Korean). 

  3. Aruoma, O.I., H. Karu, B. Halliwell. 1991. Oxygen free radicals and human disease. J. R. Soc. Health. 111:172-177. 

  4. Bios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4. 

  5. Chung, H.J. 1999.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of some tea materials on red prepper seed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16-1320 (in Korean). 

  6. Cha, J.Y. and Y.S. Cho.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n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131-1136 (in Korean). 

  7. Fontana, M., L. Mosca and M.A. Rosei. 2001. Interaction of enkephalins with oxyradicals. Biochem. Pharmacol. 61:1253-1257. 

  8. Ferreres, F., D. Gomes, P. Valentano, R. Goncalves, R. Pio, E.A. Chagas, R.M. Seabra and P.B. Andrade. 2009. Improved loquat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ive potential. Food Chem. 114:1109-1027. 

  9. Huang, J.H. 1989. Comparison studies on pharmacological propeties of injection Gastrodia elata, gastrodin free faction and gastrodin. Acta Aacademiae Medicinae Sinicae. 11:147-152. 

  10. Huang, M.T., S.T. Ho and C.Y.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p. 54-71. 

  11. Hu, J.F., G.Z. Li and M.J. Li. 2003. Protective effect of Gastrodia elata Blume and E-gelatin on lead-induced damage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rat hippocampus. Zhonghua Lao Dong Wei Sheng Zhi Ye Bing Za Zhi. 21:124-127. 

  12. Heo, J.H., J.Y. Park, S.M. An, J.M. Lee, C.Y. Yun, H.M. Shin, T.K. Kwon and S.H. Lee.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83-87 (in Korean). 

  13. Han, E.U., E.J. Jung, J.Y. Lee, Y.X. Jin and C.K. Chung.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56-62 (in Korean). 

  14. Ha, J.H., D.U. Lee, J.T. Lee, J.S. Kim, C.S. Yong, J.A. Kim, J.S. Ha and K. H. 2000. 4-Hydroxybenzaldehyde from Gastrodia elata B1. is active in the antioxidation and GABAergic neuromodulation of the rat brain. J. Ethnopharmacol. 73: 329-33. 

  15. Jeng, J.W., Y.C. Lee, S.W. Jung and K.M. Lee. 1994.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c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709-712 (in Korean). 

  16. Jeon, J.M., S.K. Choi, Y.J. Kim, S.J. Jang, J.W. Cheon and H.S. Lee. 2011.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75-81 (in Korean). 

  17. Jung, T.Y., S.I. Suh, H. Lee, I.S. Kim, H.J. Kim, H.S. Yoo and S.R. Lee. 2007. Protective effects of sever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on lipid peroxidation in gerbil brain homogenates. Phytother Res. 21:960-4. 

  18. Kang, Y.H., Y.K. Park, S.R. Oh and K.D. Moon.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l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978-984 (in Korean). 

  19. Kang, D.H., J.W. Kim and K.S. Youn.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18:238-243 (in Korean). 

  20. Kim, J.K., W.S. Cha, J.H. Park, S.L. Oh, S.H. Cheon and S.K. Chung. 1997. Studies on the miner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4:317-321 (in Korean). 

  21. Lee, Y.B. 1990.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Sam moon dang. p. 814. 

  22. Lee, J.M., Y.H. Kim and S.H. Kim. 2003. Optimal steaming condition of Gastrodia elate Blume (Chunm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107-112 (in Korean). 

  23. Lee, S.G., H.J. Jeong, E.J. Lee, J.B. Kim and S.W. Choi. 201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edi cinal herb mix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00-205 (in Korean). 

  24. Liu, J. and A. Mori. 1992.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 ties of Gastrodia elata Blume. Neuropharmacol. 31:1287-1298. 

  25. Liu, J. and A. Mori. 1993.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p-hydroxybenzyl alcohol and vanillin: effects on free radicals, brain peroxidantion and degradat ion of benzoate, deoxyribose, amino acids and DNA. Neuropharmacology. 32:659-669. 

  26. Maski, H., S. Skai, T. Astsumi and H. Sakurai. 1995.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162-166. 

  27. Moon, J.S., S.J. Kim, Y.M. Park, I.S. Hwang, E.Y. Kim, J.W. Park, E.Y. Kim, J.W. Park, I.B. Park, S.W. Kim, W.G. Kang, Y.K. Park and S.T. Jung.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Preserv. 11:207-213 (in Korean). 

  28. Park, S.J., S.W. Song, D.H. Seong, D.S. Park and S.S. Kim. 2009.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83-988 (in Korean). 

  29.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30. Taguchi, H., L. Yosioka, K. Yamasaki and I.H. Kim.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Gastrodia elata Blume. Chem. Pharm. Bull. 29:55-62. 

  31. Valko, M., D. Leibfritz, J. Moncol, M.T. Cronin, M. Mazur and J. Telser.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44-84. 

  32. Yu, S.J., J.R. Kim, C.K. Lee, J.E. Han, J.H. Lee, H.S. Kim, J.H. Hong and S.G. Kang. 2005. Gastrodia elata Blume and an active component, p-hydroxybenzyl alcohol reduce focal ischemic brain injury through antioxidant related gene expressions. Biol. Pharm. Bull. 28:1016-1020 (in Korean). 

  33. Zhou, J., X.Y. Pu and Y.B. Yang. 1980. Phenolic compounds of fresh Gastrodia elata. Acta botanica Yunnanica. 2:370-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