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기이식 대기자와 수혜자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Organ Transplant Candidates and Recip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3, 2012년, pp.284 - 293  

차지은 (서울대학교병원)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kidney or liver transplant candidates and recipi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tilized. The 160 subjects were recruited and assigned to three different cond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장 또는 간 이식 대기자와 수혜자를 대상으로 불안, 우울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이식 전 대기자와 이식 후 수혜자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장기이식 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이식 대기자와 수혜자의 불안, 우울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비교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장 및 간이식 대기자와 수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식 전후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기자와 수혜자들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해주고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적합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식대기자들은 심한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고 삶의 질도 저하되는 이유는? 말기 신부전으로 인한 이식대기자의 경우, 투석요법에도 불구하고 죽상동맥경화증, 혈관석회화 등에 의하여 심혈관 질환의 이환율이 높으며, 체내에 축적된 요독 및 지속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하여 면역력이 감소되어 각종 감염에 노출되기 쉬울 뿐 아니라 일반인에 비해 악성 종양의 발병이 더 높다(Bang et al., 2010). 특히 이식 외에는 다른 치료 대안이 없는 말기 간질환자들은 공여해줄 간의 공급 부족으로 대기기간 중 약 20%가 해마다 사망하고 있다. 결국 대기기간의 장기화는 환자의 사망을 높일 뿐 아니라 이식 후 환자의 예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하여 이식대기자들은 심한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고 삶의 질도 저하되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Bjo̸rk & Nåden, 2008; Moran, Scott, & Darbyshire, 2011).
우리나라는 말기 신부전과 만성 간질환의 증가로 고형 장기 이식 중에서 무엇이 가장 큰 비중은 차지하는가? 우리나라는 말기 신부전과 만성 간질환의 증가로 고형 장기 이식 중에서 신장과 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질병관리 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의 통계에 따르면 2011년 신장이식이 1,635례 그리고 간이식이 1,208례가 실시되었고, 2012년 6월 기준으로 신장이식 대기자는 11,633명이고 간이식 대기자는 5,289명에 이른다.
장기이식이란? 장기이식이란 장기가 질병 등의 사유로 더 이상 치료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타인의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로서, 불치의 병을 가진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최첨단의 의학적 치료방법이다. 1954년 Murray 등에 의해 신장이식이 처음으로 성공한 이래 장기이식은 이제 간을 비롯하여 심장, 췌장, 폐 등 다양한 장기의 이식이 시행되면서 말기질환자를 위한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kman, B., Ozdemir, F., Sezer, S., Micozkadioglu, H., & Haberal, M. (2004). Depression levels before and after renal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6, 111-113. http:// dx.doi.org/10.1016/j.transproceed.2003.11.021 

  2. Bang, K. T., Kim, M. G., Byeon, N. I., Kim, Y. J., Jeong, J. C., Ro, H., et al. (2010). Current management for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of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Transplantation Society, 24, 272-283. 

  3. Bjork, I., & Naaden, D. (2008). Patients' experiences of waiting for a liver transplantation. Nursing Inquiry, 15, 289-298. http:// dx.doi.org/10.1111/j.1440-1800.2008.00418.x 

  4. Corruble, E., Durrbach, A., Charpentier, B., Lang, P., Amidi, S., Dezamis, A., et al. (2010). Progressive increas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aiting for a kidney transplantation. Behavioral Medicine, 36, 32-36. http://dx.doi.org/ 10.1080/08964280903521339 

  5. DiMatteo, M., Lepper, H., & Croghan, T. (2000).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dical treatm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patient adherenc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0, 2101-2107. 

  6. Fallon, M., Gould, D., & Wainwright, S. P. (1997).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renal transplant patien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562-570.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7.1997025562.x 

  7. Ferrans, C., & Powers, M. (1985). Quality of life inde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15-24. 

  8. Goetzmann, L., Ruegg, L., Stamm, M., Ambuhl, P., Boehler, A., Halter, J., et al. (2008). Psychosocial profiles after transplantation: A 24-month follow-up of heart, lung, liver, kidney and allogeneic bone-marrow patients. Transplantation, 86, 662- 668. http://dx.doi.org/10.1097/TP.0b013e3181817dd7 

  9. Goetzmann, L., Wagner-Huber, R., Klaghofer, R., Muellhaupt, B., Clavien, P., Buddeberg, C., et al. (2006). Waiting for a liver transplant: Psychosocial well-being, spirituality, and need for counselling.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8, 2931-2936. http://dx.doi.org/10.1016/j.transproceed.2006.08.171 

  10. Ha, H. S., Jeong, J. S., Chae, Y. R., Hong, J. J., Kim, I. O., Yi, M. S., et al. (2007).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organ transplantation recipients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Transplantation Society, 21 , 269-281. 

  11. Jarrett, M. (2009). Us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promote best practice when managing clinical interventions for liver transplant candidates. Progress in Transplantation, 19, 132- 141. 

  12. Karaminia, R., Tavallaii, S., Lorgard-Dezfuli-Nejad, M., Moghani Lankarani, M., Hadavand Mirzaie, H., Einollahi, B., et al. (2007). Anxiety and depression: A comparison betwee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and hemodialysis patients.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9, 1082-1084. http://dx.doi.org/ 10.1016/j.transproceed.2007.03.088 

  13. Kim, E. M., & Kim, K. S. (2007). A structural model on quality of life for recipients of liver transpla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340-350. 

  14. Kim, G. H. (2004).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organ transplantation candidates and recip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Kim, K. S., Kang, J. E., & Jeong, I. S. (2003).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rgan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365-375. 

  16. Krasnoff, J. B., Vintro, A. Q., Ascher, N. L., Bass, N. M., Dodd, M. J., & Painter, P. L. (2005). Objective measure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ver 24 months post liver transplantation. Clinical Transplantation, 19, 1-9. http://dx.doi.org/ 10.1111/j.1399-0012.2004.00306.x 

  17. Lee, C., Park, I. H., Yu, H. J., Kim, C. Y., Han, O. S., & Han, D. J. (1993). Changes of psychosocial adjustment, coping behaviors, emotions and sickness impact following kidney transplantation of kidney recipi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2, 142-151. 

  18. Merz, D. (1998). Nursing issues related to post-transplant patients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36, 32-36. 

  19. Moran, A., Scott, A., & Darbyshire, P. (2011). Waiting for a kidney transplant: Patients' experiences of haemodialysis therap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 501-509. http://dx.doi. org/10.1111/j.1365-2648.2010.05460.x 

  20. Muehrer, R., & Becker, B. (2005). Life after transplantation: New transitions in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distress. Seminar in Dialysis, 18, 124-131. http://dx.doi.org/10.1111/j.1525-139X.2005.18214.x 

  21. Niu, S. F., & Li, I. C. (2005). Quality of life of patients having renal replacement therap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 15- 2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455.x 

  22. Oh, S. M., Min, K. J., & Park, D. B.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ed scale for Korean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 289-296. 

  23. Park, C. K., Park, S. Y., Kim, E. S., Park, J. H., Hyun, D. W., Yoon, Y. M., et al. (2003).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hronic viral liver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9, 212-221. 

  24. Szeifert, L., Molnar, M. Z., Ambrus, C., Koczy, A. B., Kovacs, A. Z., Vamos, E. P., et al. (2010). Symptoms of depression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A cross-sectio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55, 132-140. http://dx.doi. org/10.1053/j.ajkd.2009.09.022 

  25. Teran-Escandon, D. Ruiz-Ornelas, J., Estrada-Castillo, J. G., Barajas- Juarez, L., & Diaz-Martinez, A. (2001).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renal transplantation candidates: Impact of donor availability. Actas Esp Psiquiatr, 29, 91- 94. 

  26. Yun, J. H., Kang, J. M., Kim, K. S., Kim, S. H., Kim, T. H., Park, Y. W., et al.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11, 263-274. 

  27. Ware, J. E., Kosinski, M., Bjorner, J. B., Turner-Bowker, D. M., Gandek, B., & Maruish, M. E. (2008). SF-36 v2 health survey: Administration guide for clinical trial investigators.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8. Ware, J., Kosinski, M., & Dewey, J. (2000). How to score version two of the SF-36 health survey. Lincoln, RI: Quality Metric Incorporated. 

  29. Zigmond, A., & Snaith, R.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ac Scandinavica, 67, 361-370. http://dx.doi.org/10.1111/j.1600-0447.1983.tb0971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