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mily and Medical Staff Support and Hope on Organ Transplant Recipients' Psychosocial Adjustment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1, 2016년, pp.78 - 87  

김옥수 (서울대학교병원) ,  최경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organ transplant recipi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32 organ transplant recipients who received follow-up more than 3 months after the organ transplantation at one general hospital in Seo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환자 자신의 희망을 다룬 연구가 대부분 암 환자,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와 뇌척수 손상 환자 등이고 장기이식분야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기이식 수혜자가 이식 후 느끼는 사회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잘 적응하는데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서 가족 지지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이식이란 무엇인가? 장기이식은 기존의 치료법으로 회복하기 힘든 각종 말기질환자의 장기를 뇌사자 및 생체에서 기증된 건강한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을 말하며, 1954년 미국에서 신장이식이 처음으로 성공한 이래 간이식을 비롯하여 췌장, 심장, 폐장, 소장이식 등이 시행되어 말기 장기부전 환자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침으로 확립되었다[1].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장기이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2014년 29,532예의 이식수술이 시행되었고[2].
장기이식을 받은 수혜자들이 겪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장기이식은 수술이후 일정기간의 회복기간을 거치면 이식 장기의 기능이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수혜자들은 이식된 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하여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부작용과 합병증을 경험한다. 그러므로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장기 생존율 향상을 위해 중요하므로 규칙적인 외래방문과 약물요법이 필요하고 동시에 식사나 운동요법 등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4].
장기이식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장기이식은 수술이후 일정기간의 회복기간을 거치면 이식 장기의 기능이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수혜자들은 이식된 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하여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부작용과 합병증을 경험한다. 그러므로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장기 생존율 향상을 위해 중요하므로 규칙적인 외래방문과 약물요법이 필요하고 동시에 식사나 운동요법 등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4]. 그러나 이식 후에는 이식 전과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는데, 원인질환의 재발과 이식 장기의 거부반응에 대한 두려움,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스트레스, 이로 인하여 정서적으로 우울, 불안, 좌절과 더불어 무력감을 경험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SJ.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organ transplant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1996;39(1):6-11. 

  2.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UNOS). Organ transplant statistics [Internet]. Washington: UNOS; 2014 [cited 2015 Aug 30]. Available from: http://www.unos.org/about/annual-report/. 

  3.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KONOS). Organ transplant statistics [Internet]. Seoul: KONOS; 2014 [cited 2015 Aug 30]. Available from: http://www.konos.go.kr 

  4. Lee JL, Park H. A study on self-efficacy, coping,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1):11-20. http://dx.doi.org/10.7475/kjan.2015.27.1.11 

  5. De Pasquale C, Veroux M, Indelicato L, Sinagra N, Giaquinta A, Fornaro M, et al. Psychopathological aspects of kidney transplantation: Efficacy of a multidisciplinary team. World Journal of Transplantation. 2014;24;4(4):267-275. http://dx.doi.org/10.5500/wjt.v4.i4.267 

  6. Rainer JP, Thompson CH, Lambros H. Psychological and psychosocial aspects of the solid organ transplant experience - A Practice review.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0;47(3):403-412. http://dx.doi.org/10.1037/a0021167 

  7. Yi M. Psychosocial Adjustment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2):291-302. 

  8. Conway A, Schadewaldt V, Clark R, Ski C, Thompson DR, Doering L.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adult heart transplant recip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summary of qualitative findings. Heart & Lung: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2013;42(6):449-455. http://dx.doi.org/10.1016/j.hrtlng.2013.08.003 

  9. Ha HS, Jeong JS, Chae YR, Hong JJ, Kim IO, Yi M, et al.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Organ Transplantation Recipients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007;21(2):269-281. 

  10. Gill P, Lowes L. The kidney transplant failure experience: a longitudinal case study. Progress in Transplantation. 2009;19(2):114-121. 

  11. Choi HY. Hope, the emotion bordering positivity and negativity. Journal of Human Studies. 2014;27:7-35. 

  12. Kim MJ, Cho HI.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adjustment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5;29(2):331-360. http://dx.doi.org/10.17286/KJEP.2015.29.2.08 

  13. Lee EH. Mediation effect of hope between fatigue and psychosoical adjustment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4):857-868. 

  14. Livneh H, Martz E. Coping strategies and resources as predictors of psychosocial adaptation among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4;59(3):329-339. http://dx.doi.org/10.1037/a0036733 

  15. Blanch J, Sureda B, Flavia M, Marcos V, de Pablo J, De Lazzari E, et al. Psychosocial adjustment to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in 266 recipients. Liver transplantation. 2004;10(2):228-234. http://dx.doi.org/10.1002/lt.20076 

  16. Maikranz JM, Steele RG, Dreyer ML, Stratman AC, Bovaird JA. The relationship of hope and illness-related uncertainty to emotional adjustment and adherence among pediatric renal and liver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07;32(5):571-581. http://dx.doi.org/10.1093/jpepsy/jsl04628 

  17. Kim O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3. p. 1-73. 

  18. Snyder CR, Harris C, Anderson JR, Holleran SA, Irving LM, Sigmon ST, et al.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1;60(4):570-585. http://dx.doi.org/10.1037/0022-3514.60.4.570 

  19. Choi YH, Lee HK, Lee D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nyder's dispositional hope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08; 22(2):1-16. 

  20. Yoon SH. A study on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dialytic period of hemodialysis cases [master's thesis]. Seoul: Sahmyook University; 2008. p. 1-74. 

  21.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22. Suh SR, Cho IH. Influence of hemodialysis patient's stress and acceptance on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4;14(11):829-837.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1.829 

  23. Rosselli D, Rueda JD, Diaz CE. Cost - effectiveness of kidney transplantation compared with chronic dialysis in end stage renal disease. Saudi Journal of Kidney Diseases and Transplantation. 2015;26(4):733-738. http://dx.doi.org/10.4103/1319-2442.160175 

  24. Radic J, Ljutic D, Radic M, Kovacic V, Dodig-Curkovic K, Sain M. Kidney transplantation improves cognitive and psychomotor functions in adult hemodialysis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Nephrology. 2011;34(5):399-406. http://dx.doi.org/10.1159/000330849 

  25. Liu H, Feurer ID, Dwyer K, Shaffer D, Pinson CW. Effects of clinical factors on psychosocial variables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2):2585-259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111.x 

  26. Bohachick P, Taylor MV, Sereika S, Reeder S, Anton BB. Social support, personal control, and psychosocial recovery following heart transplanta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2;11(1):34-51. http://dx.doi.org/10.1177/105477380201100104 

  27. Scholz U, Klaghofer R, Dux R, Roellin M, Boehler A, Muellhaupt B, et al. Predicting intentions and adherence behavior in the context of organ transplantation: Gender differences of provid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2;72(3):214-219.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11.10.008 

  28. Frazier PA, Tix AP, Barnett CL. The relational context of social support: relationship satisfaction moderates the relations between enacted support and distr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03;29(9):1133-1146. http://dx.doi.org/10.1177/0146167203254545 

  29. Han KH, Kim M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self-care agency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1;4(2);137-145. 

  30. Shin AM, Park JS.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hope and depression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994-100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