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관절치환수술 노인의 섬망 발생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Arthroplast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4, 2012년, pp.348 - 357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임혜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  정은정 (인하대병원) ,  마희선 (인하대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trospective chart review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frequency of delirium,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arthroplas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receiv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공관절치환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의 발생률과 섬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섬망 발생 예방과 중재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공관절치환수술을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섬망 발생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진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섬망 발생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섬망의 조기 중재와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A 지역 내 대학병원에서 인공관절치환수술을 받은 60세 이상 391명 중 연구대상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3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수술 후 섬망의 발생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인공관절치환수술 후 노인 환자들의 섬망 발생군과 비발생군과의 특성을 비교를 통해 섬망 발생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섬망을 조기 중재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 2008) 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인공관절치환수술을 한 환자들의 수술 후 섬망의 발생률과 섬망 발생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수술 후 섬망 발생을 미리 예방하고, 수술 후 섬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환자에게 섬망 발생이 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이 중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 수술의 경우 7~14%의 섬망 발생률이 보고되고 있는 반면, 노인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대퇴골절 등의 정형외과적 수술 후 섬망 발생률은 26~61%로 일반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 발생률보다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Marcantonio, Goldman, Orav, Cook, & Lee, 1998; Contin, Perez-Jara, Alonso-Contin, Enguix, & Ramos, 2005). 그리고 이러한 노인 환자에서의 섬망 발생은 질병의 예후를 악화시키고 사망률을 높이는 한편(Kiely et al., 2009), 낙상 위험이 증가되고, 욕창발생 등 입원 생활에 영향을 주어 의료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Kiely et al., 2009; Milbrandt et al., 2004). 특히 정형외과에서 수술 후 섬망은 보행능력 및 기능회복에 심각한 저하를 초래하여 수술 후 합병증과 1년 내 사망률을 높인다(Schuurmans, Duursma, Shortidge-Baggett, Clevers, & Pel-Littel, 2003). 따라서 간호사는 섬망 발생 영향요인을 미리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섬망 발생을 예방하거나 조기 중재를 할 필요가 있다.
섬망이란 어떤 질환인가? 섬망은 다양한 질병상태에서 나타나는 증후군이며, 인지기능의 전반적인 손상, 의식 수준의 저하, 주의력의 이상, 정신 운동성 활동의 증가나 감소, 수면과 각성주기의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발병의 일과성 증후군이다(Kim et al., 2008).
CAM 도구 사용 시 섬망 양성을 판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CAM은 섬망 상태를 진단하는 도구로 외래와 급성기 병동에서 모두 민감도와 특이도가 90% 이상으로 보고되었다(Inouye, 2006). 도구는 정신상태의 급성적 변화, 주의력 장애, 비체계화된 사고, 의식수준의 변화 4가지로 구성되며, 정신상태의 급성적 변화와 주의력 장애가 존재하고, 비체계화된 사고 혹은 의식수준의 변화 둘 중의 하나가 존재할 때 섬망 양성으로 판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las, M. C., Happ, M. B., Yang, W., Chelluri, I., & Richmond, T. (2009). Outcomes associated with delirium in older patients in surgical ICUs. Chest, 135 (1), 18-25. 

  2. Cho, O. H., Yoo, Y. S., Choi, J. E., & Kim, N. H. (2009).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3), 290-299. 

  3. Cho, W. S., Ahn, H. S., Kim, M. Y., Seol, E. S., Lee, S. W., & Choi, J. W. (2006). Pai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41 (1), 129-133. 

  4. Chung, M. H., Yun, S. O., Park, J. H., Chu, S. O., Oh, S. Y., & Kim, M. Y. (2011). Predictors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orthopedic surger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3), 443-454. 

  5. Contin, A. M., Perez-Jara, J., Alonso-Contin, A., Enguix, A., & Ramos, F. (2005).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elective orthopedic sur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 (6), 595-597. 

  6. Dubois, M. J., Bergeron, N., Dumont, M., Dial, S., & Skrobik, Y. (2001). Delirium in an intensive care unit: A study of risk factors. Intensive Care Medicine, 27 (8), 1297-1304. 

  7. Edelstein, D. M., Aharonoff, G. B., Karp, A., Capla, E. L., Zuckerman, J. D., & Koval, K. J. (2004). Effect of postoperative delirium on outcome after hip fracture.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22, 195-200. 

  8. Hwang, S. K., & Lee, C. H. (2010).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arthroplasty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ip Society, 22 (2), 151-158. 

  9. Inouye, S. K. (2006). Delirium in older person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4, 1157-1165. 

  10. Jung, S. W., Park, S. C., & Rim, J. S. (2006). The risk factor of delirium after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Korean Journal of Urology, 47 (9), 953-957. 

  11. Kiely, D. K., Marcantonio, E. R., Inouye, S. K., Shaffer, M. L., Bergmann, M. A., Yang, F. M., et al. (2009). Persistent delirium predicts greater mort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7 (1), 55-61. 

  12. Kim, A. R. (2010). Delirium among elderl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Nursing Science, 22 (1), 11-19. 

  13. Kim, K. H., Kho, D. H., Shin, J. Y., Choi, J. Y., Kim, E. S., & Kim, D. H. (2008).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1 (3), 189-194. 

  14. Lawlor, P. G., Gagnon, B., Mancini, I. L., Pereira, J. L., Hanson, J., Suarez-Almazor, M. E., et al. (2000). Occurrence, cause, and outcome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0 (6), 786-794. 

  15. Lee, E. J., Shim, M. Y., Song, S. H., Lee, M., Kim, H. M., Kang, B. S., et al. (2010). Risk factors related to delirium development in patient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3 (2), 37-48. 

  16. Lee, J. K., & Park, Y. S. (2010). Delirium after spinal surgery in Korean population. Spine, 35 (18), 1729-1732. 

  17. Litaker, D., Locala, J., Franco, K., Bronson, D. L., & Tannous, Z. (2001). Preoperative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delirium.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3 (2), 84-89. 

  18. Marcantonio, E. R., Goldman, L., Orav, E. J., Cook, E. F., & Lee, T. H. (1998). The association of intraoperative factors with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delirium.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05 (5), 380-384. 

  19. McCarthy, M. C. (2003). Detecting acute confusion in older adults: Comparing clinical reasoning of nurses working in acute, longterm, and community health care environmen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6 (3), 203-212. 

  20. Milbrandt, E. B., Deppen, S., Harrison, P. L., Shintani, A. K., Speroff, T., Stiles, R. A., et al. (2004). Costs associated with delirium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32 (4), 955-962.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Press release information about arthroplasty(Nov. 2011). Retrieved May 14, 2012, from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eb site: http://www.mw.go.kr/front/mw_sch/index.jsp 

  22. Potter, J. F. (2004). The older orthopaedic patient: General considerations.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25, 44-49. 

  23. Robertson, B. D., & Robertson, T. J. (2006).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fracture.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88 (9), 2060-2068. 

  24. Schuurmans, M. J., Duursma, S. A., Shortridge-Baggett, L. M., Clevers, G. J., & Pel-Littel, R. (2003). Elderly patients with a hip fracture: The risk for delirium. Applied Nursing Research, 16 (2), 75-84. 

  25. Speed, G., Wynaden, D., McGowan, S., Hare, M., & Landsborough, I. (2007). Prevalence rate of delirium at two hospitals in Western Australia.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1), 38-43. 

  26. Williams-Russo, P., Urquhart, B. L., Sharrock, N. E., & Charlson, M. E. (1992). Post-operative delirium: predictors and prognosis in elderly orthopedic patien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0 (8), 759-767. 

  27. Yang, Y. H. (2010). Prevalence and precipitating factors for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long-term care hospitals or to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1), 26-34. 

  28. Yildizeli, B., Oguzhan, M. O., Batirel, H. F., Kuscu, K., Bekiroglu, N., & Yuksel, M.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thoracic surgery. The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79 (3), 1004-1009. 

  29. Yu, K. D., Lee, T. J., Suh, Y. W., Chung, S. H., Kim, E. Y., Kim, H. Y., et al. (2005). Delirium in acute elderly care unit: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and prognostic significanc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9 (3), 182-189. 

  30. Yu, M. Y., Park, J. W., Hyun, M. S., & Lee, Y. J. (2008).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among the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1), 151-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