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및 블루베리 추출물을 이용한 과립제조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4, 2012년, pp.375 - 382  

박혜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  양수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  강은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  이대훈 ((주)소리소) ,  김대익 ((재)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디 및 블루베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였으며 다양한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오디, 블루베리 추출물의 추출조건에 따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함량은 물 추출물보다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오디 추출물이 블루베리 추출물보다 높았다. 추출조건에 따른 총 안토시아닌함량은 오디 50% 에탄올 추출물이 470.91 m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은 오디 추출물이 우수하였고 전반적으로 물 추출물보다는 50% 에탄올 추출물이 높았으며 ORAC값은 50% 에탄올 추출조건에서 오디, 블루베리 각각 335.37 ${\mu}moles\;TE/g$와 238.14 ${\mu}moles\;TE/g$로 분석되어 오디 추출물이 블루베리 추출물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추출물의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오디 추출물 과립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83 mg/mL와 3.49 mg/mL로 분석되어 블루베리 과립보다 함량이 높았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과립이 76.26 mg/100 g이었고 블루베리 과립이 75.26 mg/100 g으로 유사하였다. 오디 및 블루베리 과립의 전자공여능은 오디가 45.09%로 블루베리 24.10%보다 우수하였으며 ORAC 값의 경우도 오디가 87.65 ${\mu}moles\;TE/g$였고 블루베리는 57.59 ${\mu}moles\;TE/g$값을 보여주어 오디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오디 및 블루베리 과립은 저장기간에 따른 뚜렷한 색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안토시아닌 함량도 미비하게 감소하여 과립의 주요 유용성분인 안토시아닌색소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s prepared from water and 50% ethanol extracts of mulberry and blueberry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mulberry and blueberry were higher in the 50% ethanol extract than those in the water extract. Total anthocyanin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오디 및 블루베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였고 과립의 품질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은? 인체는 산화촉진물질(prooxidant)과 산화억제물질(antioxidant)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산화촉진 쪽으로 기울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잠재적인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Halliwell B와 Aruoma OJ 1991, Koh YJ 등 2008).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여러 생체 물질과 쉽게 반응하고,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발암 등을 초래하게 된다. 이런 관계로 활성산소를 소거하기 위한 항산화성 물질을 과일, 채소, 자생식물 등 천연물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Fridovich I 1989).
활성산소가 인체에 초래하는 부작용은? 인체는 산화촉진물질(prooxidant)과 산화억제물질(antioxidant)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산화촉진 쪽으로 기울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잠재적인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Halliwell B와 Aruoma OJ 1991, Koh YJ 등 2008).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여러 생체 물질과 쉽게 반응하고,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발암 등을 초래하게 된다. 이런 관계로 활성산소를 소거하기 위한 항산화성 물질을 과일, 채소, 자생식물 등 천연물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Fridovich I 1989).
인체에 존재하는 균형적 요소는? 인체는 산화촉진물질(prooxidant)과 산화억제물질(antioxidant)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산화촉진 쪽으로 기울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잠재적인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Halliwell B와 Aruoma OJ 1991, Koh YJ 등 2008).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여러 생체 물질과 쉽게 반응하고,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발암 등을 초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3): 383-387 

  2. Chung HS, Hong JH, Youn K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 b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gricus blazei and selected forming agents. Korean J Food Preserv 12(3): 247-251 

  3. Davis WB. 1947. Determination of flavo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 476 

  4.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paramagneticgas. J Biol Chem 264: 7761-7762 

  5. Halliwell B, Aruoma OJ. 1991. DNA damage by oxygen-derived species. FEBS Lett 281: 9-19 

  6. Hwang SH, Kim SJ, Shin SR, Kim NW, Youn KS. 2005. Effect of binding agents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 by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Preserv 12(6): 572-577 

  7. Hwang SH, Ko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domestic blueberry (V.corymbosu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5): 727-734 

  8.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 1375-1381 

  9. Jimenez-Aguilar DM, Ortega-Regules AE, Lozada-Ramirez JD, Perez MCI, Vernon-Carter EJ, Welti-Chanes J. 2011. Color and chemical stability of spray-dried blueberry extract using mesquite gum as wall material. J Food Comp Anal 24: 889-894 

  10.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3): 442-448 

  11.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1467-1475. 

  12. Koh YJ, Cha DS, Choi HD, Park YK, Choi IW. 2008. Hot water extraction optimization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 283-289 

  13.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Nutr 24(2): 204-209 

  14.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3): 445-449 

  15. Lee HW, Shin DH, Lee WC. 1998.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fruit with varieties. Korean J Seric Sci 40: 1-7 

  16. Lee J, Dutst RW, Wrolstad RE. 2005.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5): 1269-1278 

  17. Naczk M, Shahidi F. 2003. Phenolic compounds in plant foods: chemistry and health benefits. Nutraceutical and Food 8: 200-218 

  18. Nikkhah E, Khayamy M, Heidari R, Jamee R. 2007. Effect of sugar treatment on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in berries. J Biol Sci 7(8): 1412-1417 

  19. Nishikimi M, Rao NA, Yagi K.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un 46: 849-854. 

  20. Prior R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rb R. 2003.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 Food Chem 51:3273-3279 

  21. Qi Y, Baowu W, Feng C, Zhiliang H, Xi W, Pengju GL. 2011. Comparison of anthocyanins and phenolics in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blueberry in selected cultivars. Food Chem 125: 201-208 

  22. Rhim TJ, Jeong HS, Kim YJ, Kim DY, Han YJ, Kwon HY, Kwon KR. 2009.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among cultivated ginseng, and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s. -Using the measurement of superoxide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J Korean Institute Pharmacopuncture 12(2): 7-12 

  23.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 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24. Son JY, Kim TO. 2011.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t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5): 567-575 

  25. Talcott ST, Lee JH. 2002. Ellagic acid and flavonoid antioxidant content of mascadine wine and juice. J Agri Food Chem 50: 3186-3192 

  26. Yu OK, Kim JE, Cha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92-7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