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루베리·복분자와 오디 그리고 이들 부산물 주정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페놀화합물 함량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and Phenolic Compound for Ethanol Extract of Blueberry, Bokbunja and Mulberry and their Pomace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3, 2015년, pp.535 - 547  

강다래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  정이형 (전북생물산업진흥원) ,  심관섭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  신대근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베리와 그 부산물들의 영양학적 가치와 더불어 이들의 식품 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생산 베리 중 대표적 베리인 블루베리, 오디 그리고 복분자와 그들 부산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페놀화합물 함량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통 베리 시료가 그들 부산물의 함량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복분자와 그 부산물의 수분함량은 차이가 가장 컸다. pH는 오디와 오디 부산물에서 각각 4.03,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블루베리 부산물에서 24.81와 24.1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부산물에서 53.27 ug/g으로 가장 높았다. Cyanin chloride는 오디와 복분자 과일에서만 측정되었으며,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과 isorhamnetin은 블루베리에서만 측정되었다. Catechin (hydrate)과 epicatechin의 경우에는 블루베리를 제외한 오디와 복분자의 통 과일과 부산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gallic acid는 오디에서, quercetin 3-D-galactoside는 블루베리에서 통 과일과 부산물간 유의적인 차이가 조사되었다. Apigenin, luteolin은 오디류에서만 측정되었으며 특히 부산물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Naringenin은 각각의 베리 부산물에서 함량이 높았으나, rutin (trihydrate)과 quercetin은 블루베리를 제외한 오디와 복분자의 통 베리에서 부산물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Kaempferol 함량은 통 오디에서 15 ng/g으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에 이용된 베리들은 성숙도 및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날 수도 있겠으나, 본 연구결과는 각각의 통 베리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것 뿐 아니라 그들의 부산물까지도 가축 사료 첨가제 및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나타낸 연구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emical properties and phenolic compound of blueberry, bokbunja and mulberry and their pomace were determined to develop them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Water content of individual whole berry was ranged from 84.25-86.20%, and water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 in whole be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베리류의 품종, 성숙도 및 추출용매 등의 차이에 의한 베리류에 존재하는 페놀 성분의 함량차이를 분석한 연구들은 선행되어 왔다. 따라서, 추출 혹은 착즙 이후 버려지는 베리 부산물들을 재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는 블루베리, 오디 및 복분자의 부산물에 잔존하는 페놀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그 통 과일들의 함량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항산화능을 예측함과 동시에 부산물 내 잔존하는 페놀화합물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며, 향후 베리 부산물들이 가축 사료 첨가제 및 기능성 식품첨가물 등의 유기농 첨가제로 이용될 때 기초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 Kaempferol 함량은 통 오디에서 15 ng/g으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에 이용된 베리들은 성숙도 및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날 수도 있겠으나, 본 연구결과는 각각의 통 베리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것 뿐 아니라 그들의 부산물까지도 가축 사료 첨가제 및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나타낸 연구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베리와 그 부산물들의 영양학적 가치와 더불어 이들의 식품 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생산 베리 중 대표적 베리인 블루베리, 오디 그리고 복분자와 그들 부산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페놀화합물 함량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통 베리 시료가 그들 부산물의 함량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복분자와 그 부산물의 수분함량은 차이가 가장 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tkhup, L. and S. Samappito. 2011. Phenolic constituents of extract from mao luang seeds and skin-pulp residue and its antiradical and antimicrobial capacities. J. Food Biochem. 35: 1671-1679. 

  2. Donno, D., A. Cerutti, I. Prgomet, M. Mellano, and G. Beccaro. 2015. Foodomics for mulberry fruit (Morus spp.): Analytical fingerprint as antioxidants' and health properties' determination tool. Food Res. Int. 69: 179-188. 

  3. Ercisli, S. and E. Orhan. 2007. Chemical composition of white (Morus alba), red (Morus rubra) and black (Morus nigra) mulberry fruits. Food Chem. 103: 1380-1384. 

  4. Fazaeli, M., Z. Emam-Djomeh, A. K. Ashtari, and M. Omid. 2012. Effect of spray drying conditions and feed composi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black mulberry juice powder. Food Bioprod. process 90: 667-675. 

  5. Gunduz, K., S. Serce, and J. F. Hancock. 2015. Variation among highbush and rabbiteye cultivars of blueberry for fruit quality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J. Food Compos. Anal. 38: 69-79. 

  6. Heinrich, M., T. Dhanji, and I. Casselman. 2011. Acai (Euterpe oleracea Mart.)-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ssessment of the species' health claims. Phytochemistry Letters 4: 10-21. 

  7. Hogan, S., H. Chung, L. Zhang, J. Li, Y. Lee, Y. Dai, and K. Zhou. 2010.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thocyanin-rich extract from acai. Food Chem. 118: 208-214. 

  8. Choi, H. R., S. J. Lee, J. H. Lee, J. W. Kwon, H. K. Lee, J. T. Jeong, and T. B. Lee. 2013.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99-1914. 

  9. Juan, C., K. Jianquan, T. Junni, C. Zijian, and L. Ji. 2012. The Profile in Polyphenols and Volatile Compounds in Alcoholic Beverages from Different Cultivars of Mulberry. J. Food Sci. 77: C430-C436. 

  10. Kaewkaen, P., T. Tong-un, J. Wattanathorn, S. Muchimapura, W. Kaewrueng, and S. Wongcharoenwanakit. 2012. Mulberry Fruit Extract Protects against Memory Impairment and Hippocampal Damage in Animal Model of Vascular Dementia. Evidence-base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eCAM) 2012: 1-9. 

  11. Kang, T. H., J. Y. Hur, H. B. Kim, J. H. Ryu, and S. Y. Kim. 2006.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cyanidin-3-O- ${\beta}$ -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mulberry fruit against cerebral ischemia. Neuroscience Letters 391: 122-126. 

  12. Kim, S., C. K. Kim, K. S. Lee, J. H. Kim, H. Hwang, D. Jeoung, J. Choe, M. H. Won, H. Lee, K. S. Ha, Y. G. Kwon, and Y. M. Kim. 2013. Aqueous extract of unripe Rubus coreanus fruit attenuates atherosclerosis by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 and inhibiting NF- ${\kappa}B$ activation via phase II gene expression. J. Ethnopharmacol. 146: 515-524. 

  13. Kitchen, K. 2013. Polyphenolic-rich Products Made with Georgia-grown Rabbiteye Blueberries, University of Georgia. 

  14. Konic-Ristic, A., K. Savikin, G. Zdunic, T. Jankovic, Z. Juranic, N. Menkovic, and I. Stankovic.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ifferent berry juices. Food Chem. 125: 1412-1417. 

  15. Ku, C. S., and S. P. Mun.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seeds in fresh Bokbunja (Rubus coreanus Miq.) and wine processing waste. Bioresource Technol. 99: 4503-4509. 

  16. Lee, J. and R. Wrolstad. 2004. Extraction of anthocyanins and polyphenolics from blueberry processing waste. J. Food Sci. 69: 564-573. 

  17. Lee, S. J.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fruits (Bokbunja) and win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51-459. 

  18. Li, C., J. Feng, W. Y. Huang, and X. T. An. 2013. Composition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in Nanjing. J. Arg. Food Chem. 61.3: 523-531. 

  19. Martineau, L. C., A. Couture, D. Spoor, A. Benhaddou-Andaloussi, C. Haris, B. Meddah, C. Leduc, A. Burt, T. Vuong, P. M. Le, M. Prentki, S. A. Bennett, J. T. Arnason, and P. S, Haddad. 2006. Anti-diabetic properties of the Canadian lowbush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Ait. Phytomedicine 13: 612-623. 

  20. Moze, S., T. Polak, L. Gasperlin, D. Koron, A. Vanzo, N. Poklar Ulrih, and V. Abram. 2011. Phenolics in Slovenian bilberries (Vaccinium myrtillus L.) and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L.). J. Arg. Food Chem. 59: 6998-7004. 

  21. Park, J. H., S. I. Hong, M. C. Jeong, and D. M. Ki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mulberry (morus alba L.) depending on their maturity during distribution. Korea Food Res. Inst. 20: 304-316. 

  22. Park, J. H., S. M. Oh, S. S. Lim, Y. S. Lee, H. K. Shin, Y. S. Oh, N. H. Choe, J, H. Y. Park, and J. K. Kim. 2006.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media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Rubus coreanus in murine macrophages. Biochem. Bioph. Res. Co. 351: 146-152. 

  23. Remberg, S. F., A.-B. Wold, K. Kvaal, M. Appelgren, and K. Haffner. 2006. An approach towards rapid optical measurements of antioxidant activity in blueberry cultivars. J. Appl. Bot. Food Qual. 80: 36-39. 

  24. Samak, G., R. P. Shenoy, S. Manjunatha, and K. Vinayak. 2009.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ons of botanical extracts of Wagatea spicata. Food Chem. 115: 631-634. 

  25. Seeram, N. P., L. S. Adams, Y. Zhang, R. Lee, D. Sand, H. S. Scheuller, and D. Heber. 2006. Blackberry, black raspberry, blueberry, cranberry, red raspberry, and strawberry extracts inhibit growth and stimulate apoptosis of human cancer cells in vitro. J. Agr. Food Chem. 54: 9329-9339. 

  26. Shin, T. Y., S. H. Kim, E. S. Lee, D. O. Eom, and H. M. Kim. 2002. Action of Rubus coreanus extract on systemic and local anaphylaxis. Phytotherapy Res. 16: 508-513. 

  27. Song, Y. J. 2004. A study to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korean wild-berry wine industry. 4: 119-146. 

  28. Sung, J. M. and H. Y. Choi. 2014. Effect of mulberry powder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90-697. 

  29. Threlfall, R. T., J. R. Morris, L. R. Howard, C. R. Brownmiller, and T. L. Walker. 2005. Pressing effects on yield, quality, and nutraceutical content of juice, seeds, and skins from Black Beauty and Sunbelt grapes. J. Food Sci. 70: S167-S171. 

  30. Wang, S. Y., C.-T. Chen, and C. Y. Wang. 2009. The influence of light and maturity on fruit quality and flavonoid content of red raspberries. Food Chem. 112: 676-6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