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귀분말 첨가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add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4, 2012년, pp.463 - 471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  안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Angelica gigas Nakai powder were investigated. The pH of batter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ranged between 7.17 and 7.30 and that of the control was 7.34. The moisture content and pH of pound cak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케이크 제조 시 대표적인 반죽법인 크림법을 이용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를 제조한 후 케이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당귀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제품생산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귀는 무엇이며 어떻게 분류되는가?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으로 한국에서 생산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토당귀), 일본에서 생산되는 일본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 일당귀)와 중국에서 생산되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diels)로 분류하며, 그 성분과 약리적 효과는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 DS 1988). 우리나라 고랭지인 경북 봉화, 강원, 경기 지역의 산속 습윤한 계곡에 자생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뿌리가 굵고 강한 향기가 있으며 맛은 약간 쓰다(Shin GM 과 Kim DY 2008).
당귀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31%, 과실에는 0.69%를 함유하고 있어 생식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균작용, 조혈작용 및 설사작용이 있으며, 빈혈증, 비타민 E 결핍증, 진통, 강장 및 부인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Lee SL 1994). 일반 가정에서는 당귀 잎이나 연한 줄기는 생으로 먹고, 어린 순을 나물로 먹으며 건조하여 마쇄한 가루는 떡에 첨가하고 뿌리를 차로 마시거나 생 뿌리로 술을 담가 먹기도 한다(Kim HS과 Joung SW 2006).
당귀분말 첨가 파운드케이크 반죽의 pH는 당귀분말 첨가량에 따라 어떻게 변했는가? 001). 반죽의 pH는 대조군보다 당귀분말 첨가군이 낮았으며 당귀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반죽의 pH가 낮아졌다(p<0.001). 파운드케이크의 중량과 부피는 대조군보다 당귀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i EJ, Kim HS. 2006. Acceptance of Hondonbyung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leaf and root of angelicae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88-95 

  2. Choi S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5(2):309-321 

  3. Choi SH, Kim HJ.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nti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513-518 

  4. Choi SN, Chung N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vegetable oil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08-814 

  5. Choi SN, Chung N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addition of cashew nu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2):198-205 

  6. Chung NY, Choi SN.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chlorell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5):669-676 

  7. Chung NY, Choi SN.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olive oil.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222-228 

  8. Chung SH, Kang DK, Min GG. 1998. Development of granular tea using Dioscorea Rhizome, Korean Angelica and jujube. J Medicinal Crop Sci 6(3):176-180 

  9. Han DS. 1988. Pharmacognosy. Myung Pulishing Co., Seoul, pp. 201-203 

  10. Hwang JB, Yang MO. 1997. Comparison of chemical components of Angelica giganti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1113-1118 

  11. Jang KH, Kang WW, Kwak EJ.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prepared with rice bra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7(2):250-255 

  12. Kim HS, Joung SW. 2006.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957-965 

  13. Kim KH, Hwang HR, Yun MH, Jo JE, Kim MS, Yook HS. 2009a.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7):926-934 

  14. Kim KH, Lee JO, Park SH, Yook HS. 2009b.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aged garlic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2):238-246 

  15. Kim KJ. 2010. Craftsman confectionary, breads making. Sidaegosi, Seoul. pp. 164-167 

  16. Kim KY. 1990. Studies on the determination of decursin in Angelica gigantis radix and some umbel life rae plants. MS Thesis, Kyung Hee Univ. Korea 

  17. Kim N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added with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powder. J Korean Soc Sci Nutr 40(2):267-273 

  18. Kim YA, 2005. Effects of Lycium chinense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3):403-407 

  19. Lee SH, Park ML, Lee SH, Kim HR, Choi SK, Choi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easoning sauce prepared with Angelica gigantis Nakai extract and salted liquid of Prunus mume. Korean J Culinary Res 16(5):247-263 

  20. Lee SL. 1994. Phytology. Young lim Publishing Co., Seoul, pp. 578-580 

  21. Oh YJ, Lee SH, Jung SW, Noh WS. 2006. The effect of Angelica gigas water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J East Asian Dietary Life 16(3):344-348 

  22. Park HR, Yu YB, Lee ST, Jo SK. 1998.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by water extract of Angelica gigantis Nakai. J Life Resour Industry 3(1):80-88 

  23. Park ID. 2008. Effect of Cucurbita maxima duchesne pure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and sponge cake. Korean J Food Culture 23(6):748-754 

  24. Park YS, Shin S, Shin GM. 2008a.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prepared with mandari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5):662-668 

  25. Park YS, Shin S, Shin GM. 2008b.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Citrus mandarin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6):1022-1031 

  26.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p. 891 

  27. Ryu KS, Hong ND, Kim NJ, Kong YY. 1990. Studies on the coumarin constituents of the root of Angelica gigantis nakai. Korea J Pharmacogn 21(1):64-68 

  28. Shin GM, Kim DY. 2008a.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nti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4):497-504 

  29. Shin GM, Kim DY. 2008b.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4):542-549 

  30. Shin YM, Yang YH, Kim MK, Cho HY,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added to $\beta$ -glucan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950-958 

  31. Woo NRY, Ahn MS. 2004. The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ke prepared with fat substitute. Korean J Food Culture 19(5):506-5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