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호박된장소스 제조조건의 최적화 및 품질 특성
Optimization of the Preparation Conditio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umpkin-Doenjang Sau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4, 2012년, pp.492 - 500  

장경호 (중부대학교 호텔외식산업학과) ,  조경훈 (중부대학교 호텔외식산업학과) ,  강민경 (중부대학교 호텔외식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능 등의 기능성이 우수한 단호박과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조미료인 된장을 이용하여 생선요리나 야채샐러드에 활용할 수 있는 소스를 개발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소스 제조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스톡, 농후제 및 된장의 첨가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소스의 향미, 맛, 색상 및 종합적기호도의 관능적 특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실험설계 및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단호박된장소스 제조의 최적 제조조건을 구명하고, 최적조건에서 제조한 단호박된장소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단호박된장소스의 최적 제조조건은 단호박스톡의 첨가량 448.5 g, 농후제의 첨가량 331.5 g 및 전통된장의 첨가량 20.0 g이었다. 최적 제조조건에서 제조한 단호박된장소스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89.55%, 조단백질 0.70%, 조지방 0.10%, 조회분 0.71%이었다. 단호박된장소스의 pH는 5.96, 산도는 0.08%, 당도는 6.80 $^{\circ}Brix$이었으며, 색도 특성은 $L^*$값 50.02, $a^*$값 2.58 및 $b^*$값 29.74이었다. 또한 항산화능을 조사한 결과, 단호박된장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5.70 mg/L, 전자공여능은 14.24%, 환원력은 1.64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auce prepared with sweet pumpkin and Korea Doenjang.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sweet pumpkin-doenjang sauc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sed on the central composition design. The amount of stock added, the thick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의 소스 트렌드는 진한 소스보다는 연한소스가, 여러 가지 재료를 넣는 것보다는 단순하게 한 가지 재료로 만드는 소재 중심의 소스가 인기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4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호박과 된장만으로도기호도가 높은 소스를 제조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단호박스톡과 농후제(단호박) 및 된장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설계한 20개의 실험조건에서 제조한 단호박된장소스의 향미, 색상, 맛 및 종합적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Table 3), 이 결과로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종속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얻었다(Table 4). 또한 각 요인간의 교호작용을 나타내는 3차원그래프를 Fig 1~4에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능 등의 기능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단호박과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조미료인 된장을 이용하여 생선요리나 채소샐러드에 활용할 수 있는 소스를 개발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소스 제조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스톡, 농후제 및 된장의 첨가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소스의 향미, 맛, 색상 및 종합적기호도의 관능적 특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실험설계 및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단호박된장소스 제조의 최적 제조조건을 구명하고, 최적조건에서 제조한 단호박된장소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of 50 panel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식으로 소비를 증가시키는 단호박의 특성은 무엇인가? 호박은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회복기의 환자, 위장이 약한 사람, 노인과 산모 등에게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왔다(27).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국내 재배가 급증한 단호박은 섬유질이 풍부하면서도 비타민과 P, Ca, Na 등의 영양소도 다량 함유한 특성을 지녀 건강식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28). 뿐만 아니라 항산화활성 관련물질인 총 carotene의 함량은 늙은 호박에 비해 10배 이상 높으며,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도 늙은 호박보다 더 우수하고 전자공여에 의한 radical 소거능도 큰 것으로 보고(28)되고 있다.
소스란? 소스는 서양요리에서 맛이나 색을 내기 위해 생선, 고기, 달걀, 채소 등 각종 요리의 용도에 적합하게 첨가하는 액상 또는 반유동상태의 배합형 액상 조미액이다(1). 이러한 소스는 주재료에서 추출한 스톡(stock)과 소스의 농도 조절을 위한 농후제(thickening agents)로 구성된 모체소스에 각종 부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여러 종의 파생소스가 만들어지며, 스톡과 농후제, 부재료 등의 구성요소들이 최적의 양과 방법에 의해서 잘 결합되었을 때 독특한 맛을 내는 좋은 소스가 창출된다(2).
소스는 나라마다 사회적, 지리적 조건에 따라 다른데 일본에서는 어떻게 활용하는가? 소스는 나라마다 사회적, 지리적 조건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여러 가지 소스가 만들어져 그 종류는 수백 종이 넘으며, 서양음식에서는 브라운소스가 가장 중요한 소스로 취급된다(3). 생선요리가 발달한 일본에서는 ‘타레(Tare)'라고도 하는 데리야끼 소스(Teriyaki sauce)를 개발하여 갯장어, 방어, 참치 등 지방이 많고 살이 두꺼운 생선이나 닭고기와 같은 가금류를 요리할때, 소스를 바르면서 구워 광택이 나도록 조리하기도 한다 (4). 또한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로 만든 미국의 오렌지소스나 피망을 사용한 스페인의 안달루즈소스 및 헝가리의 파프리카소스 등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소스인데(5), 이들 소스 들은 각각 그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소스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Choi SK, Jo WH, Kim DS (2009) The sauce. Baeksan Press, Seoul, Korea, p 19 

  2. Hotel Lotte Pusan Company (1997) The cooking manuals. Moonhak Publishing Co, Pusan, Korea, p 98 

  3. Lee JA, Shin YJ, Park G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with added aprico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77-883 

  4. Cho EH, Kim KM, Lee YB (2011) Quality evaluation of Teriyaki sauce processed with shrimp remnant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 184-196 

  5. Choi SK, Lee EJ (2009) Secret of sauce. Hyungseol Press, Seoul, Korea, p 251 

  6. Kwon DJ, Lee S, Yoon KD, Han NS, Yoo JY, Jung KS (1996) Technical development of Korean type hot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14-1020 

  7. Oh HS, Park WB (2003) Studies on the making of Teriyaki sauce using Korean soy sauce. Korean J Culinary Research, 9, 102-113 

  8. Hong SP, Kim EM, Jo GH (2004) Preparation of Gochujang sauce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239-249 

  9. Cho YB, Park WP, Jung EJ, Lee MJ, Lee YB (2002)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Kimch-flavored steak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51-355 

  10. Yoo KM, Seo WY, Seo HS, Kim WS, Park JB, Hwang I (200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ies of sauces with added Yuza (Citrus junos)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03-408 

  11. Lee JA, An SH, Park G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with added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531-543 

  12. Kim HD (2004) The total acid, free amino acids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based on Omija added quantity. Korean J Food Culture, 19, 348-358 

  13. Kim SG, Kim C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with different amounts and preparation methods of Artemisia princep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 1-12 

  14. Kwon DJ, Kim YJ, Lee S, Yoo JY (1998) Technical development of hot sauce with red pepp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91-396 

  15. Choi S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with pine mushroom and mushroom powder adde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3, 119-127 

  16. Han KS, Seo KM (2007) The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paste & various ginseng sauce using ginseng paste.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10, 137-153 

  17. Lee KI (2004)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ce made with shrimp or crab.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164-169 

  18. Lee SH, Park ML, Lee SH, Kim HR, Choi SK, Choi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easoning sauce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and salted liquid of prunus mum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 247-263 

  19. Kwak EJ, Lee YS (2002) Effect of the extracts of various food and medicinal herb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jube-Omija herbal sau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433-439 

  20. Kwak EJ, An JH, Lee HG, Shin MJ, Lee YS (2002)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of herbal sauce of Jujube and Omij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11 

  21. Lee KH, Lee KI, Lee YN, Park HH (2002)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7-643 

  22. Oh C (2000) Sensory properties and viscosity of bechamel sauce by cooking methods and ratio of raw materials. Korean J Food & Nutr, 13, 307-311 

  23. Lee JP, Kim DS, Choi SK, Youn KS, Jung MH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sauce according to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5-83 

  24. Lee KI, Lee KH, Lee YS, Shin MJ (200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brown sauce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98-703 

  25. Kwon DJ, Lee S, Kim YJ, Yoo JY, Kim HK, Chung KS (1999) Quality changes in hot sauce with red pepper powder and/or Kochujang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433-440 

  26. Park KH, Lee JS, Shin JH, Lee JH, Jo MR, Jeon YJ, Kim JS (2011) Processing optimization of Ecklonia cava extract-added seasoning sauce for instant noodles. Kor J Fish Aquat Sci, 44, 197-206 

  27. Moon HK, Han JH, Kim JH, Kim JK, Kang WW, Kim G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s added with freeze dried old pumpkin powder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26-132 

  28. Kim SR, Ha TY, Song HN, Kim YS, Park Y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1-177 

  29. Park HK, Yim SK, Sohn KH, Kim HJ (2001) Preparation of semi-solid infant foods using sweet-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08-1114 

  30. Kim JM, Rho YH, Yoo YJ (2004) Quality properties of cream soup added with chungdong pumpkin and sweet 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28-1033 

  31. Lee SM, Ko YJ, Jung HA, Paik JE, Joo NM (2005) Optimization of iced cookie with the addition of dried sweet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0, 516-524 

  32. Bae JH, Woo HS,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311-318 

  33. Lee MH, Lee SY, Lee SA, Choi Y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pumpkin flour. Korean J Food & Nutr, 23, 162-170 

  34. Jung HA, Kim AN, Ahn EM, Kim YJ, Park SH, Lee JE, Lee S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with sweet pumpkin. Korean J Food Preserv, 18, 714-720 

  35. Han CW, Park WJ, Seung SK (2008) Optimization of preparation conditio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umpkin stock. Korean J Food Preserv, 15, 832-839 

  36. Meyers RH (1971) I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llyn and Bacon Inc, Boston, USA, p 127-139 

  37. Martha LA, James PB (1992) In The mathematica handbook, Compatible with mathematica version 2.0. Academic press, Inc, Harcourt Brace & Co, Massachusetts, USA, p 15-511 

  38.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8th ed, AOAC international, Washington DC, USA 

  39. Lim TK, Park HW, Hwang YS, Choi JE (2007) Potential role of polyphenolics and polyphenol oxidase on the induction of browning in ginseng roots. Korean J Crop Sci, 52, 289-295 

  4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41. Saeedeh AD, Urooj 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istry, 102, 1233-1240 

  42. Meilgaard M, Civille GV, Carr BT (1987)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USA, p 39-112 

  43. Choi SK, Jo WH, Kim DS (2009) The sauce. Baeksan Press, Seoul, Korea, p 4 

  44. Aoshima H, Tsun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45.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0-85 

  46.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