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m Frui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4, 2012년, pp.586 - 593  

조분성 (경북대학교 식품과학부)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가피열매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오가피열매 추출물의 페놀성물질 함량은 열수 추출물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1.4, 15.8 mg/g으로 측정되었으며, 항산화효과 측정에서는 200 ${\mu}g/mL$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이 첨가되었을 때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열수 추출물에서는 $92.4{\pm}0.1%$,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89.2{\pm}1.1%$로 측정되었다.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에서는 열수 추출물은 $98.3{\pm}1.1%$, 60% ethanol 추출물은 $96.5{\pm}3.5%$로 측정되었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측정 결과, 열수 추출물은 $2.0{\pm}0.6$ PF, 60% ethanol 추출물은 $1.2{\pm}2.8$ PF로 측정되었다. TBARs 측정에서는 열수 추출물이 $66.3{\pm}0.8%$, 60% ethanol 추출물이 $61.4{\pm}2.3%$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과 xanthine oxidase (XOase) 저해능은 200 ${\mu}g/mL$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이 첨가 되었을 때 열수 추출물에서 ACE가 $59.3{\pm}1.5%$의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 ACE가 $85.1{\pm}3.2%$, XOase$9.52{\pm}0.8%$의 저해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가피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효과는 열수 추출물에서 $56.6{\pm}1.8%$, 60% ethanol 추출물에서 $33.7{\pm}2.2%$의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elastase의 경우 열수 추출물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53.1{\pm}1.1%$$22.4{\pm}3.1%$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Astringent 효과는 열수 추출물에서 $50.5{\pm}0.9%$, 60% ethanol 추출물에서 $11.5{\pm}4.1%$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iological activity of Acanthopanax sessiliflorum fruit extracts.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21.4 and 15.8 mg/g in hot water and 60% ethanol extracts.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water and the 60% ethanol extracts at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한약재로 사용되는 오가피열매의 성인병 예방 등 생리활성을 검토하여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고혈압, 당뇨, 관절염 억제 등의 기능성 식품활성과 미백, 주름개선, 항염증 등의 기능성 미용식품활성 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오가피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시베리아 인삼이라고 불리는 가시오가피는 강장제로서 기관지 천식 치료, 체력 증진, 근골격 증진, 항암, 항노화, 피로회복, 신진대사 작용(adaptogenic activity)이 있는 귀중한 약용식물자원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8). 오가피 성분에 관한 연구는 Ovodov(9)가 오가피의 근피 추출물에서 eleutheroside A, B, B-1, C, D, E, G, I, K, M 등의 saponin을 분리하여 보고한 이후로, lignan, coumarin, diterpene, triterpenoid, phenolic compound 등의 천연물질들이 잎 또는 열매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주목받고 있는 약재이다(10). 특히 열매(오가자)는 뿌리나 줄기의 유효성분인 eleutheroside E와 B, sterol, chiisanoside 등의 존재가 확인되어 있으나(9), 오가피 열매에 대한 생리적 효능에 대한 연구가 별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가시오가피 꽃의 색상은?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는 낙엽관목으로서 잎은 장상복엽이며 꽃은 자획색이며, 열매는 둥글며 털이 없고 10월에 익는다(7). 시베리아 인삼이라고 불리는 가시오가피는 강장제로서 기관지 천식 치료, 체력 증진, 근골격 증진, 항암, 항노화, 피로회복, 신진대사 작용(adaptogenic activity)이 있는 귀중한 약용식물자원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8).
가시오가피의 이명은?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는 낙엽관목으로서 잎은 장상복엽이며 꽃은 자획색이며, 열매는 둥글며 털이 없고 10월에 익는다(7). 시베리아 인삼이라고 불리는 가시오가피는 강장제로서 기관지 천식 치료, 체력 증진, 근골격 증진, 항암, 항노화, 피로회복, 신진대사 작용(adaptogenic activity)이 있는 귀중한 약용식물자원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8). 오가피 성분에 관한 연구는 Ovodov(9)가 오가피의 근피 추출물에서 eleutheroside A, B, B-1, C, D, E, G, I, K, M 등의 saponin을 분리하여 보고한 이후로, lignan, coumarin, diterpene, triterpenoid, phenolic compound 등의 천연물질들이 잎 또는 열매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주목받고 있는 약재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Frankel EN (1996) Antioxidants in lipid foods and their on food quality. Food Chem, 57, 51-54 

  2. Shin DH (1997) The study course and movement of natural antioxidants. Korean Food Sci & Tech, 30, 14-18 

  3.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4. Shim KH, Young HS, Lee TW, Choi JS (1995)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lanum lyratum Thunb. Korean J Pharmacogn, 26, 130-138 

  5. Han YB, Kim MR, Han BH, Han YN (1987) Studies on anti-oxidant component of mustard leaf and seed. Korean J Pharmacogn, 18, 41-49 

  6. Kim JS, Kang SS, Choi JS, Lee MH, Lee TS (1998) Anti-oxidant components from Aralia continentalis. Korean J Pharmacogn, 29, 13-17 

  7. Lee CB (2003) A primary color Korea plant picture. Hymoonsa, Seoul, p 812 

  8. Kao KB (1981) Chinese Ciwujia Studies. Heilongjiang Institute of Traditional Chinese Medieinem Harbin Chins, p 2 

  9. Ovodov YS, Frolova GM, Nefedova MY, Elyakov GB (1996) The glycosid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I. Isolation and some properties of eleutherosides B and E. Khim prirodn soedin, 1, 3-7 (1996) 

  10. Brekhmann II, Dardymov IV (1969)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Ann Rev Pharmacol, 9, 419-430 

  1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et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2.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3. Pellegrin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at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in Enzymology 299, 379-389 

  14.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15. Bur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105, 302-310 

  16. Cushman DW, Ondetti MA (1980)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Biochem Pharmacol, 29, 1871-1877 

  17. Ju IS, Cho YJ (2009)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 compound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Flos extracts. Korean J Life Sci, 19, 1125-1131 

  18.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19.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Imokawa G (2001)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ytochem Phytobiol, 74, 283-290 

  20. Okuda K (1986) Astringent function of plant ingredient. Fragrance J, 6, 270-274 

  21.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22. Lim SY, Leem JY, Lee CS, Jang YJ, Pack JW, Yoon S (2007) Antioxidant and cell proliferation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Korean J Food Sci Tech, 39, 694-700 

  23. Torel J, Gillard J, G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5 

  24.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 36, 333-338 

  25.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26. Vermeirssena V, Campb JV, Verstraetea W (2002) Optimization and valid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ssay for the screening of bioactive peptides. J Biochem Biophys Methods, 51, 75-87 

  27. Erdos EG, Skidgel RA (1987) Th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Lab Invest, 56, 345-348 

  28. Petrillo EW, Ondetti MA (1982)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Medicinal chemistry and biological actions. Med Chem Biol Act Med Res Rev, 2, 1-6 

  29. Choi GP, Chung BH, Lee HY, Lee HJ, Kim DJ (2002)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i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399-402 

  30. Chae JW, Jo BS, Joo SH, Ahn DH, Chun SS, Cho YJ. (2012)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Vaccinium oldhami fruit. J Korean Soc Food Nutr, 41, 1-6 

  31. Kim IC, Hur SS (2009)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Astragali Radix, Atractylodis Rhizoma Alba and Acanthopanacis Cortex. J Korean Oil Chem Soc, 26, 110-116 

  32. Lee JT, Jeong YS, An BJ (2002)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 materials. Korean J Herbology, 17, 51-60 

  33. Kim SH, Jun DH, Jung MJ, Lee JT, Lee CE, Han JY, Kim JC, Lee DH (2010) Study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extracts. J Korean For Soc, 99, 836-842 

  34. Kwak YJ, Lee DH, Kim NM, Lee JS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hibitor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13-216 

  35. Kim MJ, Kim JY, Choi SW, Hong JT, Yoon KS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 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e Korean, 30, 15-22 

  36. Lodetti G, D'Abrosca F, Fontana P, Pavoni E, Gigola P (2004) Set up of in vitro methods able to detect the safety of astringent liquids. Minerva Stomatol, 53, 361-3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