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헛개열매 추출물의 산 가수분해에 의한 알코올 분해 효능 증대
Method of Using Acid Hydrolysis to Increase the Efficacy of Decreasing Alcohol Concentration from Hovenia dulcis Extract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0 no.2 = no.91, 2005년, pp.129 - 132  

강성희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  김성문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  김진현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헛개열매 추출물의 pH를 산성으로 조절한 산 가수분해 방법에 의하여 헛개열매 추출물에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는 알코올분해 효능을 가진 생리활성물질 ((+)-dihydromyricetin)의 양을 증가시켰다. 반응온도 $80^{\circ}C$, 반응시간 4hr, 반응 pH 2.0에서 $124\%$의 알코올분해 효능이 증가하여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산 가수분해 전 후에 생리활성물질인 (+)-dihydromyricetin의 양이 $30\%$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헛개열매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분자 물질이 분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was a method that used an acid hydrolysis for increasing the efficacy of decreasing alcohol concentration from Hovenia dulcis extract. For acid hydrolysis, the best pH was 2.0 to obtain a maximum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t fixed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At pH 2.0, reaction 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HPLC (Waters, USA) 분석방법에 의해 생리활성물질인 (+)-dihydromyricetin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헛개열매를 열수 추출하고 ethyl ether를 가하여 상 분리후 상층액 (ethylether 층)만을 회수하여 농축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 HPLC (Waters, USA)를 이용하여 산 가수분해 전 후에 당 성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HPLC 분석은 CHO 820 column (7.
  • pH 2.0, 반응온도 80°C, 반응시간 4 hr 조건에서 산 가수분해 한 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산 가수분해 전 후의 당 성분 변화를 확인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헛개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산 가수분해 전후의 당 분석 결과를 Fig.
  • 5 ml/min, column 온도는 90°C, 시료 주입량은 10 迎이며 RI detecter 를 사용하였다. 또한 산 가수분해 전후의 미지 성분만을분취, 농축하고, MALDI-TOF-MS (ABI Voyager DE-STR, USA) 분석을 통하여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장치는 300 nm nitrogen laser 및 1.
  • 2에 나타내었다.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인 (+)-dihydromyricetin을 산 가수분해에 의해 배당체에 결합되어있는 당과 생리활성물질인 (+)-dihydromyricetin을 분리하여 생리 활성 물질의 생산량을 증대시켰다.
  • 본 연구는 헛개열매 추출물의 pH를 산성으로 조절한 산 가수분해 방법에 의하여 헛개열매 추출물에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는 알코올분해 효능을 가진 생리 활성물질 ((+)- dihydromyricetin)의 양을 증가시켰다. 반응온도 80°C, 반응시간 4 hr, 반응 pH 2.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의 열매 속에 포함되어 있는 배당체 (glycoside)를 산 가수분해 방법으로 분해하여 알코올분해 및 간기능 회복에 효능이 있는 생리활성물질 ((+)-dihydromyricetin)5] 생산성을 증대시켰다. 산 가수분해조건을 최적화하였으며, 또한 생산성 증대 기작 (mechanism) 을 규명하였다.
  • 69 정도이며, 이를 2 N HC1 용액으로 산 처리하여 산 가수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수분해 온도는 70°C, 80°C, 90°C이며 water bath에서 온도 조절하여 10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온도변화, 반응시간, pH 등의 산 처리 조건 변화에 따른 효능을 알코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생산성을 증대시켰다. 가수분해조건을 최적화하였으며, 또한 생산성 증대 기작 (mechanism) 을 규명하였다.
  •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 측정은 50 mM sodium pyrophosphate, 95% (v/v) ethanol, 15 mM NAD에 효소액을 가하고, 효소작용으로 생성된 NADH 를 UV/Visible spectrophotometer (Jenway 6505, Japan)를 사용하여 3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8). 헛개열매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control로 사용하였다.
  • 상층액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열수 추출 후 헛개열매추출물의 pH는 4.65-4.69 정도이며, 이를 2 N HC1 용액으로 산 처리하여 산 가수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 가수분해 온도는 70°C, 80°C, 90°C이며 water bath에서 온도 조절하여 10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 가수분해 온도는 70°C, 80°C, 90°C이며 water bath에서 온도 조절하여 10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온도변화, 반응시간, pH 등의 산 처리 조건 변화에 따른 효능을 알코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헛개나무를 열매, 잎, 줄기로 나누어 채집하고 건조시킨 뒤 분쇄 (1 mtn)하여 시료 중량에 대해 각각 10배의 증류수로 10시간 동안 100°C에서 hot plate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Whatman 0.
  • 함량을 분석하였다. 헛개열매를 열수 추출하고 ethyl ether를 가하여 상 분리후 상층액 (ethylether 층)만을 회수하여 농축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HPLC 분석은 C18 column (4.

대상 데이터

  • 0 ml/min, 시료 주입량은 20 迎, UV detecter (254 nm)를 사용하였다. (+)-Dihydromyricetin 표준물질은 Guilin Natural Ingredients Inc. (Guilin, China) 제품 (순도 > 80%)을 사용하였다(10).
  • 본 실험에서 사용한 헛개나무 (Hovenia 의 열매, 잎 및 줄기는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2004년에 채집하여 냉동 보관하면서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헛개나무를 열매, 잎, 줄기로 나누어 채집하고 건조시킨 뒤 분쇄 (1 mtn)하여 시료 중량에 대해 각각 10배의 증류수로 10시간 동안 100°C에서 hot plate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 또한 산 가수분해 전후의 미지 성분만을분취, 농축하고, MALDI-TOF-MS (ABI Voyager DE-STR, USA) 분석을 통하여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장치는 300 nm nitrogen laser 및 1.178 m flight tube가 장착되어 있으며 양이온 모드에서 측정되었다. 사용된 가속전압은 25 kV이며 delayed extraction mode를 이용한 linear 조건에서 측정하였으며 external calibration (matrix: 2, 5-dihydroxybenzoic acid, MW = 154.
  • 헛개열매 열수 추출물을 고속원심분리기 (high-speed centrifuge)를 이용하여 헛개열매 추출물의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열수 추출 후 헛개열매추출물의 pH는 4.
  • 헛개열매 추출물로부터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상등액을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헛개열매 추출물의 pH는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M. H., Y. T. Chung, J. H. Lee, Y. S. Park, M. K. Shin, H. S. Kim, D. H. Kim, and H. Y. Lee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_{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225-233 

  2. Jeong, C. H. and K. H. Shim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Hovenia dulcis $T_{HUNB}$ leaf and fruit stalk extracts, J. Inst. Agri. & Fishery Develop., Gyeongsang Nat'l. Univ. 18, 25-32 

  3. Lee, M. K., Y. G. Kim, S. W. An, M. H. Kim, J. H. Lee, and H. Y. Lee (1999), Biological activity of Hovenia dulcis $T_{HUNB}$ ,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185-192 

  4. Mssayuki Y. and T. Murakami (1996), Absolute stereostrutures of new dihydroflavonols, Hovenitins I, II and Ill, isolated from hovenia semen seu fructus of Hovenia dulcis $T_{HUNB}$ . Chem. Pharm.Bull. 117, 108-118 

  5. Hong, Y. L., M. H. Kim, C. AIm, H. Y. Lee, and J. D. Kim (2000),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Hovenia dulcis $T_{HUNB}$ , Inst. Agr. Sci., Kangwon Nat'l. Univ. 11, 1-11 

  6. Hase, K. and P. Basnet (1997), Effect of Hovenia dulcis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liver injury in chronic alcohol-fed rats, J.Trad. Med 14, 28-33 

  7. Sakai, K., T. Yamane, Y. Saitoh, C. Ikawa, and T. Nishihata (1987), Effect of water extracts of crude drugs in decreas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s in rats, Chem. Pharm. Bull. 35, 4597-4604 

  8. Kim, M. H. and O. H. Kown (1992), Relationship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by ethanol to activity of lipogenic enzymes in rat liver, Korea Biochem. J. 25, 499-503 

  9. Harvey, D. J. (1999),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 of carbohydrates, Mass Spectrom. Rev. 18, 349-451 

  10. Du, Q., W. Cai, M. Xia, and Y. Ito (2002), Purification of (+)-dihydromyrlcetin from leaves extract of Ampelopsis grossedentata using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 with scale-up triple columns, J. Chromatogr. A 973, 217-220 

  11. Lee, K. J. and K. H. Row (2004),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aglycone isoflavones from Korean Soybean, Korean J.Biotechonl. Bioeng. 19, 421-426 

  12. Guo, J., D. L. Yu, L. Xu, M. Zhu, and S. L. Yang (1998), Flavonol glycosides from Lysimachia congestiflora, Phytochemistry 48, 1445-1447 

  13. Kim, J. H., I. S. Kang and S. S. Hong (2000), Method of using hydolysis to increase pac1itaxel yeild from plant cell culture, Korean J. Biotechonl. Bioeng. 11, 402-4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