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활동관찰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on Gait in Hemiparesis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8, 2012년, pp.3610 - 3617  

김진섭 (안동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활동관찰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자는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두 그룹 모두 중추신경계 발달 치료를 6주 동안 1회당 1시간씩 주당 6회 훈련을 받았다. 실험군은 활동 관찰훈련을 6주 동안 1회당 10분씩 주당 3회를 중추신경계 발달치료와 병행하여 훈련받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보행속도, 마비측 보장, 비마비측 보장, 마비측 활보장, 비마비측 활보장, 두발지지기, 분속수,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를 평가하였다. 활동관찰 훈련을 실시한 그룹에서 편마비 환자의 보행속도, 마비측 보폭, 마비측 활보장, 분속수,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활동관찰 훈련은 편마비 환자의 보행 능력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활동관찰 훈련 결과는 편마비 환자들에게 유용하고 적절한 훈련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action observation to improve on gait in stroke patient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n=10) and control (n=10). Both groups were trained for 60 minutes, 6 times a week during 6 weeks by neuro-development treatment.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때문인 편마비 환자들의 일차운동영역은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영역이므로 뇌졸중환자의 재활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게 된다[28].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활동관찰 훈련을 통하여 뇌졸중환자가 보행 장면을 비디오를 통하여 관찰하면서 손상 받기 이전의 수행하였던 동작을 모방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일차운동영역을 활성화 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Stevens와 Stoykov[29]의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마비되지 않은 사지의 움직임을 거울을 통해 관찰하게 하면 마비된 사지의 기능이 향상된다는 연구와 일맥상통한다.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하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활동관찰 훈련을 통하여 뇌졸중 때문인 편마비 환자의 보행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규명을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활동관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활동관찰 훈련을 하기 전보다 활동관찰 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보행 지수가 증가하였다.
  • 본 연구는 활동관찰을 통한 보행 훈련이 뇌졸중 때문인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활동관찰 훈련을 통한 보행 훈련은 대조군보다 편마비 환자의 마비측 보장, 마비측 활보장, 보행속도를 향상시켰고, 또한 동적 균형 능력도 향상되었다.
  • 또한, Sütbeyaz 등[32]은 뇌졸중환자의 운동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거울을 통해 비 마비 측의 배측굴곡 훈련을 시킨 후 보행 능력을 평가한 결과 마비 측의 보행기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활동관찰과 거울치료는 거울 신경(mirror neuron)에 근거한 치료법이므로 본 연구에서 정상적인 보행 동영상을 관찰하면서 편측 뇌의 마비된 영역에서 신경가소성이 발생하여 보행능력이 더욱 향상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들의 대표적인 신체적 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은 뇌혈관 손상으로 발생한다[1]. 뇌졸중 환자들의 대표적인 신체적 문제로는 뇌 손상 부위의 반대편상 하지의 근 약화와 반응시간의 지연이 나타나게 되고 이 때문에 기능적인 활동이 감소하게 된다[2-3].
뇌졸중은 왜 발생하는가? 뇌졸중은 뇌혈관 손상으로 발생한다[1]. 뇌졸중 환자들의 대표적인 신체적 문제로는 뇌 손상 부위의 반대편상 하지의 근 약화와 반응시간의 지연이 나타나게 되고 이 때문에 기능적인 활동이 감소하게 된다[2-3].
최근에는 재활프로그램의 효과와 기능을 증진하기 위하여 인지 훈련인 심상 훈련을 적용하고 있는 까닭은? 하지만 뇌졸중 환자는 뇌 손상으로 손상 부위를 사용하는 것이 제한을 받기 때문에 빨리 보행 훈련을 직접 적용하는 훈련은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훈련이 기능적인 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기능의 지각-인지적인 측면은 무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7]. 선행 연구에 의하면 실제로 환자의 신체적인 기능과 함께 정신적인 기능을 자극하는 것은 손상 후 뇌의 재조직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Radanovic. "Characteristics of care to patients with stroke in a secondary hospital",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58, (1), 99-106, 2000. 

  2. A. W. Andrews, R. W. Bohannon. "Distribution of muscle strength impairments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4(1), 79-87, 2000. 

  3. A. M. Horstman, M. J. Beltman, K. H. Gerrits et al. "Intrinsic muscle strength and voluntary activation of both lower limbs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Clinical Physiology and Functional Imaging, 28(4), 251-261, 2008. 

  4. S. Hesse. "Rehabilitation of gait after stroke: evaluation, principles of therapy, novel treatment approaches, and assistive devices",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19(2), 109-126, 2003. 

  5. M. W. Rogers, L. D. Hedman, Y. C. Pai. "Kinetic analysis of dynamic transitions in stance support accompanying voluntary leg flexion movements in hemiparetic adults", Archives Physical of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1), 19-25, 1993. 

  6. C. L. Richards, S. J. Olney. "Hemiparet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I: Recovery and physical therapy", Gait Posture, 4(2), 149-162, 1996. 

  7. T. Mulder. "A process-oriented model of human motor behavior: toward a theory-based rehabilitation approach", Physical Therapy, 71(2), 157-164, 1991. 

  8. J. Carr, R. Shepherd.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Oxford: Butterworth Heinemann, 1998. 

  9. S. J. Page, P. Levine, S. Sisto et al. "A randomized efficacy and feasibility study of imagery in acute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5(3), 233-240, 2001. 

  10. D. W. Oh, J. S. Kim, S. Y. Kim et al.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symmetrical use of knee extensors during sit-to-stand and stand-to-sit tasks in post-stroke hemiparesis", NeuroRehabilitation, 26(4), 307-315. 2010. 

  11. A. Dunsky, R. Dickstein, E. Marcovitz et al. "Home-based motor imagery training for gait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Archives Physical of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8), 1580-1588, 2008. 

  12. J. Decety, D. Perani, M. Jeannerod et al. "Mapping motor representations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Nature, 371(6498), 600-602, 1994. 

  13. H. C. Dijkerman, M. Ietswaart, M. Johnston et al,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8(5), 538-549, 2004. 

  14. S. de Vries, T. Mulder. "Motor imagery and stroke rehabilitation: a critical discuss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1), 5-13, 2007. 

  15. G. Buccino, F. Binkofski, G. R. Fink et al. "Action observation activates premotor and parietal areas in a somatotopic manner: an fMRI study", The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13(2), 400-404, 2001. 

  16. D. Ertelt, S. Small, A. Solodkin et al. Action obser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habilitation of motor deficits after stroke", NeuroImage, 36 Suppl 2, T164-173, 2007. 

  17. J. Liepert, H. Bauder, H. R. Wolfgang et al.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31(6), 1210-1216, 2000. 

  18. J. M. Kim, B. I. Yang, M. K. Lee.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on Manual Dexterity in Stroke Patients", PTK, 17(2), 17-24, 2010. 

  19. Y. P. Yang, J. H. Kim, M. R. Han et al.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affected side upper limb dexterity in stroke patient: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7(1), 111-118, 2012. 

  20. M. K. Lee, J. M. Kim.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arm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PKT, 18(2), 27-34, 2011. 

  21. A. R. Isaac, D. F. Marks. "Individual differences in mental imagery experience: developmental changes and specialization", Brithsh Journal of Psychology, 85(Pt4), 479-500, 1994. 

  22. J. Perry. "The mechanics of walking in hemiplegia", Clinical orthopedics related research, 63, 23-31, 1969. 

  23. C. J. van Uden, M. P. Besser. Test-retest reliability of temporal and spatial gait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an instrumented walkway system (GAITRite). BMC Musculoskelet Disorders, 5, 13, 2004. 

  24. D. Podsiadlo, S. Richardson.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2), 142-148, 1991. 

  25. S. S. Ng, C. W. Hui-Chan.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Physical of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8), 1641-1647, 2005. 

  26. S. Y. Le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on movement performance ability of serial reaction time task and brain cell reorganization", Unpublish doctoral's thesis, Dae gu University, 2010. 

  27. K. Stefan, J. Classen, P. Celnik et al. "Concurrent action observation modulates practice-induced motor memory form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27(3), 730-738, 2008. 

  28. J. Munzert, B. Lorey, K. Zentgraf. Cognitive motor processes: the role of motor imagery in the study of motor representations. Brain Research Reviews, 60(2), 306-326, 2009. 

  29. J. A. Stevens, M. E. Stoykov.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7), 1090-1092, 2003. 

  30. I. A. De Quervain, S. R. Simon, S. Leurgans et al. "Gait pattern in the early recovery period after stroke",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78(10), 1506-1514, 1996. 

  31. E. Pelosin, L. Avanzino, M. Bove et al. "Action observation improves freezing of gait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4(8), 746-752, 2010. 

  32. S. Sutbeyaz, G. Yavuzer, N. Sezer et al. "Mirror therapy enhances lower-extremity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ing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Physical of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5), 555-559, 2007. 

  33. S. J. Page, P. Levine, J. C. Khoury.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combined with mental practice: thinking through better motor outcomes", Stroke, 40(2), 551-55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