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대기업의 개방형 혁신 저해요인에 대한 WFGM 관점 분석 사례
A Case Study of the Hindrance Factors of Open Innovation in Korean Large-Scale Companies Focused on WFGM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지, v.19 no.2, 2012년, pp.249 - 263  

조요한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류정호 (University of Florida 심리학과) ,  임규건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  이대철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open innova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or the survival strategy of a company in the industry. There have been several researches and practices on this topic. However, previous researches are mainly focused on the study of successful cases and some statistical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WFGM 각 단계에서 발생되는 저해요인을 밝힘으로서 향후 기술혁신 활동 및 개방형 혁신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방형 혁신을 진행하려는 기업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저해요인 및 해결방안을 바탕으로 개방형 혁신활동을 위한 기업 내외부적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고려한 개방형 혁신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 끝으로 MANAGE 단계에서는 공동개발, 라이선싱 등의 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제품을 출시하는데 까지의 과정을 관리하는 단계이다(<표 4> 참조).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 저해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사례연구로써 개방형 혁신 프로세스 단계에 따라 WFGM의 관점으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내 2개 대기업의 개방형 전담팀 프로세스를 Slowinski가 제시한 WFGM 모델의 Want, Find, Get, Manage의 4단계로 분류하여 각 단계에서 발생되는 개방형 혁신 저해요인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사례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WANT 단계에서의 저해요인은 기술 관점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한 불명확한 정의가 핵심 저해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와 같이 개방형 혁신 전담조직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대기업 2개 기관을 대상으로 WFGM 모델에 적용하여 개방형 혁신 저해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저해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실무자들로 부터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기업의 개방형 혁신 전담팀에서 실제 특정 기술을 중심으로 프로세스를 진행하면서 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의사 결정 사항 및 저해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대부분의 많은 연구원들이 실현 불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거나 내부전략과 연계되지 않는 기술을 제안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방형 혁신 전담팀이 제안된 사항을 조율해야만 한다. 이에 찾고자 하는 요구기술에 대해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제안템플릿을 배포하여 작성토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방형 혁신전담팀은 진행 중인 프로젝트 중간에서 내용들을 조율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전사의 전략방향과 개방형 혁신 필요 사항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수한 기술 확보가 가진 양면성은 무엇인가? 기술은 새로운 사업기회를 창출하고 공정프로세스를 개선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대체기술의 출현, 경쟁사의 우수한 기술 확보는 오히려 위협요소가 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Clark, 1989; Tushman and Anderson, 1986]. 다시 말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게는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거나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일 수 있는 기회가 되는 반면 이러한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에게는 치명적인 위협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써 기업 내의 기술개발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기술을 도입하는 등 개방적인 기술혁신과정을 통해 급변하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개방형 혁신이란 무엇인가? 개방형 혁신이란 아이디어창출에서 사업화까지의 전주기(Total Cycle)의 연구개발과정을 내부에서 독자적으로 수행했던 폐쇄적 혁신에서 벗어나, 외부의 지식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내부의 지식과 기술을 외부로 내보내 새로운 지식가치를 창출하는 흐름을 의미한다[Chesbrough, 2003]. Chesbrough[2003]는 개방형 혁신의 유형을 내향형(Outside-In) 및 외향형(Inside-Out)으로 나누었으며, Lichtenthaler[2008]은 외향적 개방형 혁신을 기술획득(technology acquisition), 내향형 혁신을 기술탐색(technology exploration)으로 정의하고 있다.
NIH(Not Invented Here)증후군이란 무엇인가? Katz and Allen[1985]는 기업의 연구조직이 자신들이 개발하지 않은 기술이나 연구 성과에 대해 배타적인 성향을 보이며 이를 NIH(Not Invented Here)증후군이라고 정의하였다. Chesbrough[2004]는 개방과 폐쇄에 대한 조직원의 태도는 서로 다르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라고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