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중소기업의 혁신 저해 요인이 기업의 혁신 활동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Hampering Factors of Innovation: Focusing on SME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115 - 126  

우지환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김영준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들이 기업의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우리나라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기존의 많은 문헌 연구들은 혁신 활동을 촉진하는 요인에 대해 초점을 맞추는데 머물고 있다. 한편, 기업이 혁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혁신을 촉진하는 연구 못지않게,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실시한 한국기업혁신조사 통계 자료를 사용하여 4075개의 대한민국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 혁신 저해 요인과 제조업의 기술 혁신 성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때, 정부의 지원 제도의 매개 효과 또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모형과 가설 검증은 3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사용된 변수의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둘째, 구조 방정식을 이용하여 제안된 가설을 모형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이용하여 구조 방정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혁신 필요성 부족은 기술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정부 지원제도는 이를 매개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혁신 저해 요인이 기술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국내 중소기업이 제한된 자원으로 기술혁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혁신전략을 수립할 경우와, 정부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효율적으로 촉진하게 만드는 지원정책을 수립하는 경우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 경영층은 구성원들 사이에 혁신의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게 기업 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정부는 중소기업이 혁신을 수행할 수 있는 내부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actors that hinder innovation of SMEs on innovation activities of Korean firms. Many existing literature studies remain focused on factors that promote innovation activities. However, in order for companies to promote innovation, it is im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나타난 혁신 저해 요인 개념에 대한 각 요인별 단일항목을 산출하여 구조방정식의 관측변수로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 조사 응답이 검증에 필요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를 분리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진행 하였다(Table 1.Table 2 참고).
  • 본 연구에서는 KIS 2014 데이터를 이용하여, 혁신의 저해 요인이 기술혁신의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는 공정 혁신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의 지원제도 활용이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한국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조 방정식을 이용하여, 기술 저해요인을 3가지 요소(기업역량부족, 자금부족, 필요부족)로 구분하였고, 이러한 기술 혁신의 저해요인이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KIS 2014의 ‘제품혁신 및 프로세스혁신으로 인해 나타난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기술혁신이 실제 어떻게 적용되는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토하기 위해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오류를 검토한 뒤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의 저해요인과 효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기업혁신조사는 통계청에서 승인 받은 데이터로, 지난 3년간(2011년~2013년) 한국의 제조업체들이 수행한 기술 혁신활동을 조사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혁신 저해 요인과, 혁신 성과 사이의 관계, 그리고, 정부의 지원제도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매개변수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지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 계수에 대한 분석은 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 또한, 혁신의 성공과 실패라는 이분법적인 결과가 아니라, 혁신의 효과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해 정밀한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국내 제조업에 대한 기업의 기술 혁신 저해 요인과 기술 혁신의 효과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슘페터가 정의한 기술 혁신 활동이란? 기업이 기술 혁신을 통해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듯이, 국가의 경쟁력 또한 혁신을 통해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1]. 경제학자 슘페터(Schumpeter) 는 기술 혁신 활동을 기술과 생산 자원을 창조적으로 결합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기술 혁신 활동이야 말로 국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하였다[1-5].
산업혁신체계가 등장한 배경은? 이에 따라 정부가 기술혁신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국가 혁신 체계 (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의 개념이 나타났고, 혁신의 효율성과 함께 국가의 균형발전의 중요성이 부각 되면서 지역혁신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 가 등장했다[12]. NIS와 RIS는 국가와 지역이라는 거시 적인 면에서 혁신을 설명하고 있지만, 각 산업 간의 특수성을 설명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산업혁신체계가 등장하였다[13].
중소기업의 생존을 좌우할 수 있는 부분은?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기술 혁신 활동에 투입할 수 있는 역량이 대기업보다 부족하며, 기술 혁신을 빠르게 도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효율적으로 혁신을 만들어내고, 또한 혁신 활동에 필요한 위험을 줄이는 것이 중소기업의 생존을 좌우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기술 혁신 촉진 요인과 기술 혁신 저해 요인에 대한 정량 적인 분석을 통해서, 중소기업은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함께, 혁신이 저해 받을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관리 할수 있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 J. Abernathy, K. B. Clark, "Innovation: Mapping the Winds of Creative Destruction", Research Policy, Vol.14, No.1 pp.3-22, 1985. DOI: https://dx.doi.org/10.1016/0048-7333(85)90021-6 

  2. W. J. Abernathy, J. M. Utterback, "Patterns of Industrial Innovation", Technology Review, Vol.80, No.7 pp.40-47, 1978. 

  3. N. Amara, R. Landry, "Sources of Information as Determinants of Novelty of Innovation in Manufacturing Firms: Evidence from the 1999 Statistics Canada Innovation Survey", Technovation, Vol.25, No.3 pp.245-259, 2005. DOI: https://dx.doi.org/10.1016/S0166-4972(03)00113-5 

  4. B. Becker, "Public R&D Policies and Private R&D Investment: A Survey of the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Economic Surveys, Vol.29, No.5 pp.917-942, 2015. DOI: https://dx.doi.org/10.1111/joes.12074 

  5. B. Cassiman, V. R. Veugelers, "R&D Cooperation and Spillovers: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Belgium", American Economic Review, Vol.92, No.4 pp.1169-1184, 2002. DOI: https://dx.doi.org/10.1257/00028280260344704 

  6. H. W. Chesbrough, "The Era of Open Innovation", MIT Sloan Management Review, pp.35-42, 2003. 

  7. S. J. Yoo, "The Determining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for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Korea", The e-Business Studies, Vol.11, No.1, pp.267-286, 2010. 

  8. R. Veugelers, B. Cassiman, "Make and Buy in Innovation Strategies: Evidence from Belgian Manufacturing Firms", Research Policy, Vol.28, No.1 pp.63-80, 1999. DOI: https://dx.doi.org/10.1016/S0048-7333(98)00106-1 

  9. G. G. Dess, G. T. Lumpkin, "The Rol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Stimulating Effectiv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Vol.19, No.1, pp. 147-156, 2005. DOI: https://dx.doi.org/10.5465/ame.2005.15841975 

  10. G. Dosi, "Sources , Procedures , and Microeconomic Effects of Innovation",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26, No.3 pp.1120-1171, 1988. 

  11. D. Evans, "Test of Alternative Theories of Firm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5, No.4, pp.657-674, 1987. DOI: https://dx.doi.org/10.1086/261480 

  12. C. Freeman, "Technical Innovation, Diffusion, and Long Cycle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Long-Wave Debate, Springer, pp.295-309, 1987. DOI: https://dx.doi.org/10.1007/978-3-662-10351-7_21 

  13. OECD, "Oslo Manual. OECD Glossary of Statistical Terms", 3rd Edition, 2007. 

  14. K. Pavitt, "Sectoral Patterns of Technical Change: Towards a Taxonomy and a Theory", Research Policy, Vol.13, No.6 pp.343-373, 1984. DOI: https://dx.doi.org/10.1016/0048-7333(84)90018-0 

  15. G. Symeonidis, "Innovation, Firm Size and Market Structur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No.161. OECD Publishing, 1996. DOI: https://doi.org/10.1787/603802238336 

  16. B. Crepon, E. D. Bruno, J. Mairessec, "Research, Innovation And Productivity: An Econometric Analysis At The Firm Level",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Vol.7, No.2, pp. 115-158, 1988. DOI: https://dx.doi.org/10.3386/w6696 

  17. H. Loof, A Heshmati, "Knowledge Capital and Performance Heterogeneity: A Firm-Level Innov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76, No.1 pp.61-85, 2002. DOI: https://doi.org/10.1016/S0925-5273(01)00147-5 

  18. K. N. Kang. Y. S. Le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mall firms of Korea Biotechnology Industry",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19, No.4 pp. 1723-1740, 2006. 

  19. S. H. Kwak, S. B. Choi, "Determinants of innovation in service industry: Resource based and industrial organization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Vol.10, No.2 pp.1-25, 2009. DOI: https://doi.org/10.15706/jksms.2009.10.2.001001 

  20. T. K. Sung, "The Determinants of Firm's Innovative Activity: A Comparison of High Technology Industries and Low Technological Industrie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 18, No.1 pp.339-360, 2005. 

  21. E. Y. Kim,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Korean Manufacturing Firms-Focusing on Technological Regim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4, No.3 pp.1451-1478, 2011. 

  22. R. Veugelers, B. Cassiman, "Make and Buy in Innovation Strategies: Evidence from Belgian Manufacturing Firms", Research Policy, Vol.28, No.1 pp.63-80, 1999. DOI: https://dx.doi.org/10.1016/S0048-7333(98)00106-1 

  23. P. Mohnen, J. Rosa, "Barriers to Innovation in Service Industries in Canada, Science and Technology Redesign Project ", Research Paper, 1999 . 

  24. J. Baldwin, Z. Lin, "Impediments to advanced technology adoption for Canadian manufacturers", Research Policy, Vol.31, No.1, pp.1-18, 2002. DOI: https://dx.doi.org/10.1016/S0048-7333(01)00110-X 

  25. F. Galia, D. Legros, "Complementarities between obstacles to innovation: evidence from France", Research Policy, Vol.33, No.8 1185-1199, 2004. DOI: https://dx.doi.org/10.1016/j.respol.2004.06.004 

  26. G. W. Seo, C. Y. Lee, "The Bottleneck Factors of Innovative Activities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2, No.1 pp.115-134, 2004. 

  27. J. H. Park, S. H. Kweon, S. K. Hong, "Analysis of failure cause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Proc. of conference on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pp.280-286, 2010. 

  28. F. Malerba, L. Orsenigo, "Schumpeterian Patterns of Innovation Are Technology-Specific", Research Policy, Vol.25, No.3 pp.451-478, 1996. DOI: https://dx.doi.org/10.1016/0048-7333(95)00840-3 

  29. B. H. Wixom, H. J. Wats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data warehousing success", MIS Quarterly, Vol.25, No.1 pp.17-41, 2001. DOI: https://dx.doi.org/10.2307/3250957 

  30. C. Fornell,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DOI: https://dx.doi.org/10.2307/3151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