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잡곡을 이용한 압출면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Extruded Noodles Mixed with Cerea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3, 2012년, pp.685 - 690  

황인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잡곡을 원료로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하여 압출면을 제조하고 삶음 후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잡곡 압출면의 삶음 후 중량, 수분흡수율, 부피는 각각 52.40~54.14 g, 161.74~170.16% 및 49.00~52.00 $m{\ell}$로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국물의 탁도는 0.60~0.87로 높게 나타났다. 삶음 전 잡곡 압출면의 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L,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삶음 후 L값은 증가하고, a와 b값은 감소하였다. 잡곡 압출면 EN-2과 EN-3의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대조구와 유사한 조직감 특성을 보였다. 잡곡 압출면 EN-1의 외관, 풍미, 씹는 동안의 조직감,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게 평가되었지만, N-2와 EN-3은 유사한 관능특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잡곡 압출면의 제조가 가능하며, 잡곡 압출면 제조시 녹두 첨가는 잡곡 압출면의 관능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noodles(EN) mixed with cereals. The EN were evaluated for cooking properties(weight, water absorption, volume, and turbidity), Hunter's color values,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cooked we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잡곡의 이용성 증대와 부가가치 향상을 위하여 잡곡을 주원료로 영양성이 강화된 면제품을 개발하고자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하여 압출면을 제조하고, 삶음 후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잡곡을 원료로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하여 압출면을 제조하고 삶음 후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잡곡 압출면의 삶음 후 중량, 수분흡수율, 부피는 각각 5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압출성형 기술은 어떤 공정변수에 따라 식품원료의 분자적 구조특성을 효율적으로 변화시켜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가? 압출성형은 열처리, 혼합, 분리, 압착, 팽화, 성형 등과 같은 단위조작이 단시간에 일어나는 효율적인 연속공정으로 플라스틱, 사료, 식품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식품산업에서는 팽화식품, 스낵과 시리얼 제조, ready-to-eat breakfast cereal, 국수, 파스타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Ha 등 2005; Lee 등 2006; Gu & Ryu 2011). 압출성형 기술은 원료 투입속도, 수분함량, 스크루 배열, 스크루 회전속도, 배럴온도 및 사출구 구조 등의 공정변수에 따라 식품원료의 분자적 구조특성을 효율적으로 변화시켜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Lee 등 2006; Han 등 2007).
잡곡은 무엇인가? 잡곡은 쌀 이외의 보리, 밀, 옥수수, 기장, 조, 수수, 콩, 팥 등의 모든 곡식을 말하며, 쌀에 비해 열등 작물로 여겨져 왔다. 잡곡에는 쌀에 부족한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여 영양학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im 등 2003; Lee 등 2010).
국수와 같은 면류는 성형 방식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국수는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분식형 음식으로 곡물을 분쇄하여 반죽한 것을 가늘고 길게 뽑은 식품을 총칭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주식 대신 간편하게 식사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Yun SS 1991). 면류는 성형방식에 따라 신연면, 선절면, 압출면으로 나뉘고, 제면 후처리 및 유통형태에 따라 생면, 건면, 증숙면, 냉동면, 즉석면 등으로 구분되며, 압출면은 서양의 마카로니나 스파게티가 대표적이다(Mok C 2000). 밀가루 면에는 필수아미노산인 lysine과 황함유 아미노산이 부족한 영양학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면의 영양성뿐 아니라 기능성과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대두분말(Han 등 2003), 발아현미(Kong & Lee 2010), 마늘 분말(Jeong 등 2008), 양파즙(Shin 등 2009), 청양고추즙(Hwang 등 2011a) 등 다양한 부원료를 첨가한 면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ykes L, Rooney LW.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236-251 

  2. Gu BJ, Ryu GH. 2011. Effect of die geometry on expansion of corn flour extrudate. Food Eng Prog 15:148-154 

  3. Ha DC, Lee JW, Kim NM, Ryu GH. 2005. Effect of barrel temperature and screw speed o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raw ginseng. J Ginseng Res 29:107-112 

  4. Han JY, Goo DH, Han MS, Ryu GH. 2007. Comparison of fermen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broth for white ginseng, red ginseng and extruded white ginseng. Food Eng Prog 11:119-126 

  5. Hong YM, Kim JS, Kim DW, Kim WJ. 2003. Effect of whole soy flour on the properties of wet noodle. Korean J Food Nutr 16:417-422 

  6.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Yoo SM. 2011a.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combined with Cheongyang hat pepper (Capsicum annuum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860-866 

  7. Hwang IG, Kim JS, Yoo SM, Kim JY, Yang JW. 2011b.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ccharified minor gruel prepared with different grain Koji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662-669 

  8.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369-1374 

  9.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369-1374 

  10. Kim JS,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pasta noodle added with red hot pepper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882-890 

  11. Kim YH. 2003. Biological activities of soyasaponins and their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8:49-57 

  12.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Seo MC, Oh BG, Kwak DY, Nam MH, Jeong HS, Woo K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128-113 

  13. Kong S, Lee 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GAB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prepar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274-280 

  14. Kwak CS,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921-929 

  15. Lee CH, Park SH. 1982. Studies on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of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4:21-29 

  16. Lee HK, Hwang IG, Kim HY, Woo KS, Lee SH, Woo SH, Lee J, Jeong H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399-1404 

  17. Lee JK, Im BS, Ryu GH. 2006. Changes in paste viscosity of extruded buckwheat by extrusion process variables. Food Eng Prog 10:92-99 

  18. Lee YS, Lim NY, Lee KH. 200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 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681-688 

  19. Lim S, Kang MS, Jwa MK, Song DJ, Oh YJ. 2003.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52-57 

  20. Mok C. 2000.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improvement extruded barly noodle. Food Eng Prog 4:39-44 

  21. Morad MM, EL-Magoli SB, Afifi SA. 1980. Macaroni supplemented with lupin and defatted soybean flours. J Food Sci 15:404-405 

  22. Park NK, Song JC, Kim KJ, Lee CK, Jeong HS, Chung MJ. 1999.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167-172 

  23. Park WP, Kim ZU. 1990. Making characteristics of extruded noodles mixed with soybean flour. J Korean Ahric Chem Soc 33:209-215 

  24. Quershi A, Burger WC, Prentice N, Bird HR, Sunde ML. 1980. Regulation of lipid metabolism in chick liver by dietary cereals. J Nutr 110:388-393 

  25. Shin WS, Shin ES, Lyu ES. 2009. Optimization of wet noodle with onion jui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5:31-38 

  26. Yun SS. 1991. History of noodle culture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6:85-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