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버섯의 부위별 항산화능과 유비퀴논 함량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9, 2012년, pp.1235 - 1241  

홍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진유정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표영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중인 14종의 식용버섯을 전체(E), 갓(P), 대(S)의 부위별로 분류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따른 항산화활성과 이들 활성의 근거물질인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유비퀴논 함량을 측정하였다. 시판버섯의 갓 부위(P)에 함유된 총 페놀함량은 193.9~536.6 mg/100 g으로 대 부위(S)의 156.8~370.8 mg/100 g보다 23.4~44.7%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의 동량 값으로 표시했을 때 전체 부위(E)에서 14.8~31.2 mg/100 g으로 나타나 총 페놀함량에 비해 매우 낮은 함량으로 측정되었다. 유비퀴논 함량 역시 갓 부위(P)가 163.5~485.1 ${\mu}g$/100 g으로 나타나 대 부위(S)의 65.6~142.9 ${\mu}g$/100 g에 비해 2.5~3.4배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어 시판버섯에 함유된 유효활성 성분은 주로 자실체의 주름부위에 분포된 것을 알 수 있다. 시료(10mg/mL)의 80% 메탄올 추출물의 DPPH와 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에 따른 전체 부위(E)의 항산화활성은 각각 51.2~90.1%와 62.5~95.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특히 상황버섯의 라디칼 소거능은 평균 92.7%로 나타나 전체 부위(E)의 시판버섯 중 가장 높았으며 목이버섯은 평균 56.9%로 나타나 항산화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이 같은 결과는 각 부위별 자체 내 함유된 평균 총 페놀함량($R^2=0.080$) 및 유비퀴논 함량($R^2=0.55$)과 유의적인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어 이들 성분이 항산화활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oxidant compound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14 commercial mushrooms were evaluated. Methanolic extracts from the entire mushroom, the pileus and the stipe, separately, were screened for their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tal ubiquinones (Co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우리가 일상적으로 식용하고 있는 유통 중인 품종별 버섯류에 대한 정보는 충분하지 않으며, 특히 버섯 부위에 따른 항산화능의 연구결과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17,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14종의 국내산 버섯을 대상으로 식용버섯의 형태를 전체, 갓, 대의 세 부위로 나누어 항산화활성 및 유비퀴논,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등의 활성 성분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이란 어떤 식품인가? 버섯은 분류학상 진균류(Eumycetes)에 속하는 담자균류 (Basidiomycetes)의 일종으로 일반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신선 건강식품 중 하나이다(1). 또한 진핵 생물로서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는 isoprenoid quinone 물질이 존재하므로 미량의 특수 활성물질인 benzoquinone형 의 유비퀴논(ubiquinone)이 함유되어 있다(2,3).
유비퀴논의 기본역할은 무엇인가? 유비퀴논은 Coenzyme Qs(CoQs)로도 불리는 지용성의 퀴논핵을 갖는 비타민과 유사한 물질로서 유기체의 세포건강에 필수성분이다(4). 유비퀴논의 기본역할은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세포 에너지 전환(ATP 생성)에 필요한 전자와 프로톤 운반체로 작용하는 조효소 기능뿐 아니라 세포막을 안정화시켜 세포의 기능을 보호함으로써 DNA, 지질, 단백질, 기타 분자들의 산화적 손상을 막아주는 강력한 내인성 항산화제로 작용한다(4,5). 인체 내 존재하는 유비퀴논의 유형은 CoQ10으로서 함유량은 개인의 식사나 질병에 따라 달라지며(6), 인간 혈청과 생물조직에 있는 CoQ10의 90% 이상은 강력한 항산화 제인 환원형의 유비퀴놀(ubiquinol; CoQ10H2)로 알려져 있다 (Fig.
버섯 세포 내에는 어떤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가? 버섯은 분류학상 진균류(Eumycetes)에 속하는 담자균류 (Basidiomycetes)의 일종으로 일반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신선 건강식품 중 하나이다(1). 또한 진핵 생물로서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는 isoprenoid quinone 물질이 존재하므로 미량의 특수 활성물질인 benzoquinone형 의 유비퀴논(ubiquinone)이 함유되어 있다(2,3). 유비퀴논은 Coenzyme Qs(CoQs)로도 불리는 지용성의 퀴논핵을 갖는 비타민과 유사한 물질로서 유기체의 세포건강에 필수성분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ui YF, Den ES, Chi TH. 2002.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J Food Lipids 9: 35-46. 

  2. Chang ST, Buswell JA, Chiu SW. 1993. Mushroom biology and mushroom product.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Hong Kong. p 3-17. 

  3. Collins MD, Jones D. 1981. Distribution of isoprenoid quinone structural types in bacteria and their taxonomic implications. Microbiol Rev 45: 316-354. 

  4. Ernster L, Dallner G. 1995.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medical aspects of ubiquinone function. Biochim Biophys Acta 1271: 195-204. 

  5. Overvad K, Diamant B, Holm L, Holmer G, Mortensen SA, Stender S. 1999. Coenzyme Q10 in health and disease. Europ J Clin Nutr 53: 764-770. 

  6. Weber C, Bysted A, Holmer G. 1997. Coenzyme Q10 in the diet-daily intake and relative bioavailability. Mol Aspects Med 18: S251-S254. 

  7. Mattila P, Kumpulainen J. 2001. Coenzyme Q9 and Q10: contents in foods and dietary intake. J Food Comp Anal 14: 409-417. 

  8. Pyo YH, Oh HJ. 2011. Ubiquinone contents in Korean fermented foods and average daily intakes. J Food Comp Anal 24: 1123-1129. 

  9. Kim HJ, Lee IS. 2004.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Korean wild mushroom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62-668. 

  10. Choi SJ, Lee YS, Kim JK, Lim SS.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11. Yanga JH, Lina HC, Mau JL.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Food Chem 77: 229-235. 

  12. Maua JL, Lina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13. Choi YH, Kim MJ, Lee HS, Yun BS, Hu C, Kwak SS. 1998. Antioxidative compounds in aerial parts of Potentilla fragariodes. Korean J Pharmacogn 29: 79-85. 

  14. Xu XM, Jun JY, Jung IH.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hot 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51-1357. 

  15. Sandrina AH, Lillian B, Maria JS, Anabela M, Isabel CFR. 2010. Tocopherols composition of Portuguese wild mushrooms with antioxidant capacity. Food Chem 119: 1443-1450. 

  16. Barros L, Ferreira MJ, Ferreira ICFR, Baptista P. 2007. Total phenols, ascorbic acid, ${\beta}$ -carotene and lycopene in Portuguese wild edible mushroom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 103: 413-419. 

  17. Kim HJ, Ahn MS, Kim GH,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99-804. 

  18. Ferreira ICFR, Baptista P, Vilas-Boas M, Barros L. 2007. Free-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reducing power of wild edible mushrooms from northeast Portugal: Individual cap and stipe activity. Food Chem 100: 1511-1516. 

  19.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enic-phosphotungstic acid. Am J Enol Vitic 16: 144-158. 

  20.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1.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 Food Sci Technol 28: 25-30. 

  2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23. Ferreira ICFR, Barros L, Abreu RMV. 2009. Antioxidants in wild mushrooms. Current Med Chem 16: 1543-15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