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 활용 성향과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of Brain Dominance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6 no.1, 2012년, pp.14 - 21  

김미영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조선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뇌 활용 성향과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중학생 131명(남: 74, 여: 57)을 대상으로 뇌 활용 성향검사를 실시하고 수학 및 과학 과목의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학 성적과 과학 성적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였을 때 수학 성적 상위집단과 과학 성적 상위집단 모두 좌하뇌를 주로 활용하는 학생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수학: 33.8%, 과학: 35.0%). 반면에, 수학 성적 하위집단과 과학 성적 하위집단은 우하뇌를 주로 활용하는 학생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수학: 38.7%, 과학: 36.1%). 수학 및 과학 성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에 뇌 활용 성향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과학성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는 좌하뇌 점수(p<.05)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관도 분석결과 수학 성적과 과학 성적 모두 좌하뇌 점수(수학: r=.28, 과학: r=.26)에서 가장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며 좌상뇌 점수(수학: r=.18, 과학: r=.24)와 두 번째로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 및 과학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는 것이 좌하뇌 및 좌상뇌의 활용 성향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수학 및 과학 과목의 평가방법의 개발 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brain dominance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were 131 middle school students (male: 74, female: 57). It was found that the above average group in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had the highest frequency with left lower brain (LL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의 작동 원리에 기반을 둔 과학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 등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개인별 뇌 활용 성향을 고려한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수학 및 과학 성적 상위 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뇌 활용 성향에 차이가 나타난 결과는 뇌 활용 성향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수학 및 과학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수업 상황에서 개인별 뇌 활용 성향을 고려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생각하게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뇌 활용 성향과 수학 및 과학 성적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학 성적 상위집단과 과학 성적 상위집단 모두 좌하뇌를 주로 활용하는 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 활용 성향과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이 네 가지 뇌 활용 성향 중 주로 활용하는 성향이 있는가? 둘째,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 비해 뇌 활용 성향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는 뇌 활용 성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연관성이 있는가? 를 분석하였다.
  •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수학 및 과학 성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의 뇌 활용 성향에 차이가 나타난 결과는 수학 및 과학 수업 시 뇌 활용 성향에 차이가 있는 개인들로 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학습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네 가지 다른 뇌 활용 성향의 학생들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팀을 구성하였을 때 학생들 간의 상호교류 및 학습동기가 증가한 것으로 밝혀진 바가 있다(김순화, 송기상, 2011).

가설 설정

  • 셋째, 수학 및 과학 과목의 수업모형 개발 시 개인별 뇌 활용 성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뇌의 작동 원리에 기반을 둔 과학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 등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개인별 뇌 활용 성향을 고려한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는 어떠한 기관인가? 뇌는 학습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Gazzaniga, Ivry, & Mangun, 2002). 기억, 이해, 분석 등의 사고과정을 통해 학습내용에 대해 인식을 하고 이해하게 되며 한 단계 더 나아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게 된다.
수학과 과학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21C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지식 정보화의 시대로 수학 및 과학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수학과 과학교육의 목표는 수학 및 과학 지식의 함양, 수학 및 과학적 태도의 함양, 탐구능력의 함양 등에 있다(권재술 등, 2001). 수학 및 과학과 관련된 새로운 지식이 빠르게 생성됨에 따라 과거에 이룩해 놓은 수학 및 과학 지식에 대한 높은 이해력보다는 수학적 사고능력 및 과학적 사고능력과 같은 사고능력의 함양, 수학 및 과학 지식의 창의적 생성능력의 함양에 교육 목표의 중요성이 실리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