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 균주의 기능성 분석 및 이를 활용한 고추 흰가루병 방제
Functional Analysis of Bacillus subtilis Isolates and Biological Control of Red Pepper Powdery Mildew Using Bacillus subtilis R2-1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8 no.3, 2012년, pp.201 - 209  

김용기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홍성준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심창기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민정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최은정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민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종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한은정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안난희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지형진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자체 농업기술센터와 농과원에서 수집한 18개의 Bacillus subtilis 균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비롯한 사이데로포아 생산, 질소고정능력, 인산가용화 능력 및 오옥신 생성능력을 조사하였다. B. subtilis 균주들은 대부분 입고병균(R. solani), 고추 탄저병균(C. acutatum), 채소류 시들음병균(F. oxysporum), 벼도열병균(M. oryzae), 고추 역병균(P. capsic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Siderophore와 오옥신 생성능력을 보였으며 질소고정능력도 함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가용화능은 조사한 Bacillus 속 균주 중 단 한 균주에서 활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B. subtilis 균주가 고추 흰가루병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균주 간에는 방제효과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 subtilis R2-1균주의 농업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도에 강원도 화천의 유기재배농가에서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농약으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큐펙트'와 '탑시드'를 대조로 하여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2009년도에 B. subtilis R2-1 처리시 방제효과는 37.7%로 '탑시드'(47.6%)보다는 낮았으나, '큐펙트'(25.7%)에 비해서는 높았다. 2010년도에는 B. subtilis R2-1의 고추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83.3%로 미생물 농약인 탑시드 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B. subtilis R2-1균주의 발병억제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B. subtilis R2-1균주와 미생물 농약(탑시드, 큐펙트)을 경엽 처리한 후 포자발아율을 계수한 결과, 미생물 농약인 큐펙트는 97.9%, 탑시드는 94.7% 억제하는데 비해서 B. subtilis R2-1균주는 84.2%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B. subtilis R2-1을 고농도로 배양할 수 있는 대량배양기술을 개발하고 항균활성 기능이 잘 발현되도록 제형화한다면 생물농약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lti-function of 18 Bacillus subtilis isolates collected from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s of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ir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five plant pathogens, such as Rhizoctonia solani, Colletotrichum acu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자체에서 생산보급하고 있는 미생물 중 Bacillus subtilis를 채집한 후 국립농업과학원(농과원)이 보유하고 있는 B. subtilis R2-1 균주를 대조로 기능성을 분석하고, 이들을 활용한 고추 흰가루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 흰가루병균은 다른 흰가루병균과는 다르게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고추 흰가루병은 주로 잎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맥을 따라 서릿발 모양의 포자가 발생하고 발병이 진전하여 심하게 발병되면 잎이 고사되면서 떨어진다(NAIST, 1977). 고추 흰가루병균은 다른 흰가루병균과는 달리 내부 기생균이므로 방제가 비교적 어렵다. 고추 흰가루병균은 주야간 기온 차가 큰 가을에 많이 발생하고 노지에 비해 시설 내에서 발병이 심하다.
고추에 흰가루병이 걸릴시 고추가 입는 피해는? 고추 흰가루병은 주로 잎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맥을 따라 서릿발 모양의 포자가 발생하고 발병이 진전하여 심하게 발병되면 잎이 고사되면서 떨어진다(NAIST, 1977). 고추 흰가루병균은 다른 흰가루병균과는 달리 내부 기생균이므로 방제가 비교적 어렵다.
고추의 탄저병을 줄이기 위한 반비가림시설 속에서 고추를 재배할때 흰가루병의 발생이 증가한 이유는? 반비가림시설 내에서 재배하면 고추 탄저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나, 노지에서는 경미하게 발생되는 흰가루병(Leveillula taurica (Lév) Arnaud) 피해가 높게 나타난다(Anonymous, 2011). 이는 노지와 달리 시설 내에는 환기가 불량하고 주야간 온도 차가 커 고추 흰 가루병 발생에 유리하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lawat, S., Mandham, R. P., Dhiman, S. S., Kumar, R. and Sharma, J. 2008. Potential application of alkaline pectinase from Bacillus subtilis SS in pulp and paper industry. Appl. Biochem. Biotechnol. 149: 287-293. 

  2. Anonymous. 2011.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in green house peppers (http://www.afg,gov.bc.ca) 

  3. Asaka, O. and Shoda, M. 1996. Bio-control of Rhizoctonia solani damping-off of tomato with Bacillus subtilis RB14. Appl. Environ. Microbiol. 62: 4081-4085. 

  4. Berger, F., Li, H., Qhite, D., Frazer, R. and Leifert, C. 1996. Effect of pathogen inoculum, antagonist density and plant species on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and Pythium damping-off by Bacillus subtilis cot1 in high-humidity fogging glasshouses. Phytopathology 86: 428-433. 

  5. Crisp, P., Wicks, T., Bruer, D. and Scott, E. 2006. An evaluation of biological controls for grapevine powdery mildew. Aust. J. Grape Wine Res. 12: 203-211. 

  6. Ding, Y., Wang, J., Liu, Y. and Chen, S. 200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itrogen- fixing bacilli from plant rhizosphere in Beijing region. J. Appl. Microbiol. 99: 1271-1281. 

  7. Feio, S. S., Barbosa, A., Cabrita, M., Nunes, L., Esteves, A., Roseiro, J. C. and Curto, M. J. M. 2004.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355 against wood-surface contaminant fungi. J. Ind. Microbiol. Biotechnol. 31: 199-203. 

  8. Grossman, T. H., Tuckman, M., Elletad, S. and Osburne, M. S. 199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genes involved in siderophore biosynthesis: Relationship between Bacillus subtilis and E. coli entD genes. J. Bacteriol. 175: 6203-6211. 

  9. Hegazi, M. A. and El-Kot, G. A. 2010. Biological control of powdery mildew on Zinnia using some bio-control agents and plant extract. J. Agric. Sci. 2: 221-228. 

  10. Hoitink, H. A. J. and Boehm, M. J. 1999. Bio-control within the context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A substrate-dependent phenomenon. Annu. Rev. Phytopathol. 37: 427-446. 

  11. Jadhav, G. G., Salunkhe, D. S., Nerkar, D. P. and Bhadekar, R. K. 201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lt-tolerant nitrogenfixing microorganisms from food. Eur. Asia J. BioSci 4: 33-40. 

  12. Janousek, C. N., Lorber, J. D. and Gubler, W. D. 2009. Combination and rotation of bacterial antagonists to control powdery mildew on Pumpkin. J. Plant Dis. Prot. 116: 260-262. (Short communication) 

  13. Jeon, J. S., Lee, S. S., Kim, H. Y., Ahn, T. S. and Song, H. G. 2003. Plant growth promotion in soil by some inoculated microorganisms. J. Microbiol. 41: 271-276. 

  14. Jeong, J. H., Jeon, Y. D., Lee, O. M., Kim, J. D., Lee, N. R., Park, G. T. and Son, H. J. 2010. Characterization of multi-functional feather-degrading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forest soil. Biodegradation 21: 1029-1040. 

  15. Kanimozhi, K. and Panneerselvam, A. 2010. Studies on isolation and nitrogen fixation ability of Azospirillium spp. isolated from Thanjavur district. Der Chemica Sinica 1: 138-145. 

  16. Khan, A. A., Jilani, G. M., Akhtar, S., Naqvi, S. M. S. and Rasheed, M. 2009. Phosphorus-solubilizing bacteria: occurrence, mechanisms and their role in crop production. J. Agric. Biol. Sci. 1: 48-58. 

  17. Melo-Pereira, G. V., Magalhaes, K. T., Lorenzetii, E. R., Souza, T. P. and Schwan, R. F. 2012. A multi-phasic approach for the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bacterial in strawberry fruit and their potential for plant growth promotion. Microbial Ecol. 63: 405-417. 

  18. Milagres, A. M. F., Machuca, A. and Napoleao, D. Detection of siderophore production from several fungi and bacteria by a modification of chrome azurol S (CAS) agar plate assay. J. Microbiol. Met. 37: 1-6. 

  19.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77. Compendium of vegetable diseases with color plates. Sammi Press, Seoul, Korea. 447 pp. (In Korean) 

  20. Pandey, A., Bringel, F. and Meyer, J. M. 1994. Iron requirement and search for siderophores in lactic acid bacteria. Appl. Microbiol. Biotechnol. 40: 735-739. 

  21. Prashanth, S. and Mathivanan, N. 2010. Growth promotion of groundnut by IAA producing bacteria Bacillus licheniformus. MML2501. Arch. Phytopathol. Plant Prot. 43: 191-208. 

  22. Raj, J., Bagyaraj, D. J. and Manjunath, A. 1981. Influence of soil inoculation with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 and a phosphate-dissolving bacterium on plant growth and P-uptake. Soil Biol. Biochem. 13: 105-108. 

  23. Raudales, R. E. and Gardener, B. B. M. 2008. Microbial biopesticides for the control of plant diseases in organic farming.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Fact sheet). Ohio State University. 5 pp. 

  24. Romero, D., Vicente, A., Zeriouh, H., Cazorla, F. M., Fernandez-Orouno, D., Tores, J. A. and Perez-Garcia, A. 2007. Evaluation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managing cucurbit powdey mildew on greenhouse-grown melon. Plant Pathol. 56: 976-986. 

  25. Schwyn, B. and Neilands, J. B. 1997. Universal chemical assay for the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siderophores. Anal. Biochem. 160: 46-56. 

  26. Sgroy, V., Cassan, F., Masciarelli, O., Papa, M. F. D. and Lagares, A. 200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phytic plant growth-promoting (PGPB) or stress homeostasis- regulating (PSHB) bacteria associated to the halophyte Prosopis strombulifera. Appl. Microbiol. Cell Physiol. 85: 371-381. 

  27. Swain, M. R. and Ray, R. C. 2008a.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and their statistical interpretation for production of indole-3-acetic acid by Bacillus subtilis CM5 using cassava fibrous residue. J. Sci. Ind. Res. 67: 622-628. 

  28. Swain, M. R. and Ray, R. C. 2009. Bio-control and other beneficial activities of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cow dung microflora. Microbiol. Res. 164: 121-130. 

  29. Swain, M. R., Ray, R. C. and Nautiyal, C. S. 2008b. Bio-control efficacy of Bacillus subtilis strains isolated from cow dung against postharvest yam pathogens. Curr. Microbiol. 57: 407-411. 

  30. Todorova, S. and Kozhuharova, L. 2010.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strains isolated from soil.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6: 1207-1216. 

  31. Woo, S. M. and Kim, S. D. 2008.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siderophore from Bacillus subtilis AH18, a biocontrol agent of Phytophthora blight disease in red peppe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326-335. 

  32. Zaidi, S., Usmani, S., Singh, B. R. and Musarrat, J. 2006. Significance of Bacillus subtilis strain SJ-101 as a bioinoculant for concurrent plant growth promotion and nickel accumulation in Brassica juncea. Chemosphere 64: 991-997. 

  33. Zlotnikov, A. K., Shapovalova, Y. N. and Makarov, A. A. 2001. Association of Bacillus firmus E3 and Klebsiella terrigena E6 with increased ability for nitrogen fixation. Soil Biol. Biochem. 33: 1525-1530. 

  34. Zongzheng, Y., Xin, L., Zhong, L., Jinzhhao, P., Jin, Q. and Wenyan, Y. 2009. Effect of Bacillus subtilis SY1 on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Int'l J. Agric. Biol. Eng. 2: 33-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