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hylphenidate is a widely used stimulant for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addition to core symptoms of attention and behavioral symptoms, methylphenidate is even effective for executive functions. However, abuse and misuse of stimulants, including methylpheni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다면 이는 메칠페니데이트와 같은 약물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며, 또한 그럴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보다는 학습 당사자의 내적인 동기부여와 흥미유발로도 얼마든지 학습증진 및 업무효율성을 직접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바로 이 부분을 진료시 부모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도움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대중적으로도 이러한 사실을 널리 알려서 메칠페니데이트 오남용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아울러 실제 비약물학적 방법으로 보상 및 동기를 강화시켰을 때 어느 정도로 유의하게 인지기능 수행능력이 개선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그 결과를 받아들이고 적용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뇌영상 및 도파민 농도 등을 측정하여 인지기능이 호전되는 기전을 동시에 규명하고자 한 것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종설에서는 일단 1970-1980년대에 시행된 연구들에 대해서는 포괄적으로 주요 결과 및 제한점을 다루고, 1990년대부터 이루어진 연구들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연구들이 지니는 임상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기로 하였다(Table 1).
  • 저자들은 본 종설을 통해서 위의 질문들에 대해 답을 구해 보고자 한다. 이는 의료 전문가로서의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 특히 정신자극제를 가장 많이 처방하고 있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들이 정상인에서 메칠페니데이트의 직접적인 이득과 잠재적인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여 적합한 진료를 할 뿐 아니라, 대중이나 언론이 이와 관련하여 올바른 인식이나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할 수 있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최근 실행기능 이외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영역으로 동기(motivation) 및 보상(reward)이 있다. 즉, ADHD의 핵심적인 증상들이 보상기전의 손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가설로, 중뇌의 ventral tegmental area에서 nucleus accumbens로 이어지는 dopamine 회로에 손상이 발생하여 동기와 보상기전에 장애가 발생하고, 그것이 ADHD 환자들에게 주의력결핍 및 과다행동과 같은 핵심 증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10,11) 이러한 동기 및 보상 가설은 아직까지 실행기능만큼 광범위하게 연구되지는 않고 있으나, ADHD의 인지기능 손상에서 실행 기능 자체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부분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인에서 메칠페니데이트가 주의집중력, 공간작업기억, 계획, 언어 유창성 등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위약과 메칠페니데이트를 복용하였을 때의 인지기능을 각각 별도로 측정하였으며, 메칠페니데이트를 복용할 때에는 각각 20mg와 40mg 복용군으로 분리하였다. 메칠페니데이트를 복용하였을 때 위약을 복용하였을 때보다 공간 작업기억 및 계획성이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주의집중력과 언어유창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메칠페니데이트의 용량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점은, 메칠페니데이트를 복용한 후 과제를 첫 번째로 수행할 때에는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두드러졌지만, 이미 완수했던 과제를 다시 두 번째로 수행할 때에는 반응 속도는 단축된 반면 정확도는 더 떨어졌다는 것이다. 이 결과에 대해 Elliott 등23)은 메칠페니데이트가 새로운 과제를 수행할 때에는 실질적인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이지만, 익숙한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충동성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메칠페니데이트란 무엇인가? 메칠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치료에서 대표적으로 널리 처방되고 있는 약물로서 학령기 아동뿐 아니라 청소년, 그리고 성인에 이르기까지 그 효능과 안정성이 입증되어 있다.1-3) 최근 한 언론에서는 ADHD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에서도 메칠페니데이트가 주의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학업이나 업무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인식이 퍼져 있고, 일부에서는 ‘집중력을 높여주는 약’이나 ‘공부 잘 하는 약’으로 오남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ADHD의 증상은? ADHD는 주의집중력, 그리고 충동조절 장애를 핵심 증상으로 나타내지만, 인지기능의 손상 역시 주된 병인론적 기전 및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ADHD에서 가장 주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인지기능은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으로,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될 수 있으나 간략히 요약하면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기 위한 고차원적인 수준의 신경인지기능으로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Ramos-Quiroga JA, Corominas M, Castells X, Bosch R, Casas M. OROS methylphenidate for the treatment of adul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pert Rev Neurother 2009;9:1121-1131. 

  2. Godfrey J. Safety of therapeutic methylphenidate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J Psychopharmacol 2009;23:194-205. 

  3. McGough JJ, McBurnett K, Bukstein O, Wilens TE, Greenhill L, Lerner M, et al. Once-daily OROS methylphenidate is safe and well tolerated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6;16:351-356. 

  4. Choi EM. ?Smart drug?' Caution on abuse and misuse of ADHD mediaction. Money Today 2011 Nov 1. Available from http://news.mt.co.kr/mtview.php?no2011110110544791407&type1 

  5. Welsh MC, Pennington BF.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 Neuropsychol 1988;4:199-230. 

  6. Smith EE, Jonides J. Storage and executive processes in the frontal lobes. Science 1999;283:1657-1661. 

  7. Barkley RA.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 Bull 1997;121:65-94. 

  8. Castellanos FX, Tannock R. Neuroscienc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search for endophenotypes. Nat Rev Neurosci 2002;3:617-628. 

  9. Willcutt EG, Doyle AE, Nigg JT, Faraone SV, Pennington BF.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r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meta-analytic review. Biol Psychiatry 2005;57: 1336-1346. 

  10. Volkow ND, Wang GJ, Kollins SH, Wigal TL, Newcorn JH, Telang F, et al. Evaluating dopamine reward pathway in ADHD: clinical implications. JAMA 2009;302:1084-1091. 

  11. Johansen EB, Killeen PR, Russell VA, Tripp G, Wickens JR, Tannock R, et al. Origins of altered reinforcement effects in ADHD. Behav Brain Funct 2009;5:7. 

  12. Kobel M, Bechtel N, Weber P, Specht K, Klarhofer M, Scheffler K, et al.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working memory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ur J Paediatr Neurol 2009;13:516-523. 

  13. Kemner C, Jonkman LM, Kenemans JL, Bocker KB, Verbaten MN, Van Engeland H. Sources of auditory selective attention and the effects of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iol Psychiatry 2004;55:776-778. 

  14. Lufi D, Parish-Plass J, Gai E. The effect of methylphenidate on the cognitive and personality functioning of ADHD children. Isr J Psychiatry Relat Sci 1997;34:200-209. 

  15. Konrad K, Gunther T, Hanisch C, Herpertz-Dahlmann B. Differential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attentional function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191-198. 

  16. Kuhle HJ, Kinkelbur J, Andes K, Heidorn FM, Zeyer S, Rautzenberg P, et al. Self-regulation of visual attention and facial expression of emotions in ADHD children. J Atten Disord 2007;10:350-358. 

  17. Pietrzak RH, Mollica CM, Maruff P, Snyder PJ. Cognitive effects of immediate-release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Neurosci Biobehav Rev 2006;30: 1225-1245. 

  18. Koelega HS. Stimulant drugs and vigilance performance: a review. Psychopharmacology (Berl) 1993;111:1-16. 

  19. Hink RF, Fenton WH Jr, Tinklenberg JR, Pfefferbaum A, Kopell BS. Vigilance and human attention under conditions of methylphenidate and secobarbital intoxication: an assessment using brain potentials. Psychophysiology 1978;15:116-125. 

  20. Coons HW, Peloquin LJ, Klorman R, Bauer LO, Ryan RM, Perlmutter RA, et al. Effect of methylphenidate on young adult's vigilance and event-related potential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1;51:373-387. 

  21. Aman MG, Vamos M, Werry JS. Effects of methylphenidate in normal adults with reference to drug action in hyperactivity. Aust N Z J Psychiatry 1984;18:86-88. 

  22. Strauss J, Lewis JL, Klorman R, Peloquin LJ, Perlmutter RA, Salzman LF.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young adults' performance and event-related potentials in a vigilance and a paired-associates learning test. Psychophysiology 1984;21:609-621. 

  23. Elliott R, Sahakian BJ, Matthews K, Bannerjea A, Rimmer J, Robbins TW.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spatial working memory and planning in healthy young adults. Psychopharmacology (Berl) 1997;131:196-206. 

  24. Mehta MA, Owen AM, Sahakian BJ, Mavaddat N, Pickard JD, Robbins TW. Methylphenidate enhances working memory by modulating discrete frontal and parietal lobe regions in the human brain. J Neurosci 2000;20:RC65. 

  25. Volkow ND, Wang GJ, Fowler JS, Telang F, Maynard L, Logan J, et al. Evidence that methylphenidate enhances the saliency of a mathematical task by increasing dopamine in the human brain. Am J Psychiatry 2004;161:1173-1180. 

  26. Tomasi D, Volkow ND, Wang GJ, Wang R, Telang F, Caparelli EC, et al. Methylphenidate enhances brai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responses to visual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tasks in healthy controls. Neuroimage 2011;54:3101-3110. 

  27. Ozaki TJ. Frontal-to-parietal top-down causal streams along the dorsal attention network exclusively mediate voluntary orienting of attention. PLoS One 2011;6:e20079. 

  28. Tomasi D, Volkow ND. Aging and functional brain networks. Mol Psychiatry 2012;17:471, 549-558. 

  29. Arnsten AF. Stress signalling pathways that impair prefrontal cortex structure and function. Nat Rev Neurosci 2009;10:410-422. 

  30.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sychiatric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Drug Treatment of ADHD: Review of Postmarketing Safety Data. Marylan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2006. 

  31. Kollins SH. Comparing the abuse potential of methylphenidate versus other stimulants: a review of available evidence and relevance to the ADHD patient. J Clin Psychiatry 2003;64 Suppl 11:14-18. 

  32. Mannuzza S, Klein RG, Truong NL, Moulton JL 3rd, Roizen ER, Howell KH, et al. Age of methylphenidate treatment initia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later substance abuse: prospective follow-up into adulthood. Am J Psychiatry 2008;165:604-609. 

  33. Biederman J, Monuteaux MC, Spencer T, Wilens TE, Macpherson HA, Faraone SV. Stimulant therapy and risk for subsequent substance use disorders in male adults with ADHD: a naturalistic controlled 10-year follow-up study. Am J Psychiatry 2008;165:597-603. 

  34. Wilens TE, McBurnett K, Bukstein O, McGough J, Greenhill L, Lerner M, et al. Multisite controlled study of OROS methylphenidate in the treatment of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 Pediatr Adolesc Med 2006;160:82-90. 

  35. Friedman RA. The changing face of teenage drug abuse--the trend toward prescription drugs. N Engl J Med 2006;354:1448-1450. 

  36. McCabe SE, Knight JR, Teter CJ, Wechsler H. Non-medical use of prescription stimulants among US college students: prevalence and correlates from a national survey. Addiction 2005;100:96-106. 

  37. Farah MJ, Illes J, Cook-Deegan R, Gardner H, Kandel E, King P, et al. Neurocognitive enhancement: what can we do and what should we do? Nat Rev Neurosci 2004;5:421-425. 

  38. Greely H, Sahakian B, Harris J, Kessler RC, Gazzaniga M, Campbell P, et al. Towards responsible use of cognitive-enhancing drugs by the healthy. Nature 2008;456:702-705. 

  39. Sannerud C, Feussner G. Is Ritalin an abused drug? Does it meet the criteria of a Schedule II substance? In: Greenhill LL, Osman BB, editors. Ritalin, theory and practice. 2nd ed. New Rochelle, NY: Mary Ann Liebert;2000. p.2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