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형주택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LEED for Home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Detached Houses - Focusing on Comparisons of LEED for Homes -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2 no.6, 2012년, pp.49 - 54  

김현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  오준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implications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GBCS) for detached houses, by comparing LEED for homes. Detached houses were added to the GBCS and took an effect this year. They are evaluated by the GBCS under special conditions, because they are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형주택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분석하여, 소형사무소에서 주로 진행되는 소형건축물을 위한 인증기준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소형주택을 위한 친환경건축물인증기준과 미국의 LEED for Homes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 위에서 분석된 친환경건축물 설계 방식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친환경인증기준과 미국의 LEED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제시한다. 우선 1)인증기준 항목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2)인증기준 항목들이 추구하는 지속가능성을 분석한다.
  • 미국의 LEED는 USGBC가 개발하여 친환경 건축물의 지표를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게 한 인증제도로 프로젝트의 종류, 용도, 범위에 따라 현재 9가지 평가체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점수에 따라서 친환경건축물은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의 4등급으로 인증된다. 이 논문에서는 LEED의 대표적인 평가체계인 LEED for New Construction(이하 LEED for NC)과 2009년부터 새롭게 시행된 LEED for Homes9)를 비교분석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새롭게 개정된 소형주택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기존의 공동주택의 인증기준 및 미국의 LEED for Homes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실질적인 소형주택의 인증기준에 대한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서의 친환경건축물의 정의는 무엇인가? 그 중에서도 이 논문에서 연구하고 있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친환경건축물이라 함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인 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설계되고 에너지와 자원 절약 등을 통하여 환경오염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실현한 건축물을 말한다.3) 그리고, USGBC에서 LEED를 목표를 “Totransform the way buildings and communities are designed, built and operated, enabling on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responsible, healthy and prosperous environment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라고 말하고 있으며, 녹색 디자인의 목표를 최소한의 환경 영향을 갖는 고효율의 건축물을 만드는 것에 두고 있다.
USGBC에서 녹색 디자인의 목표는 무엇인가? 친환경건축물이라 함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인 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설계되고 에너지와 자원 절약 등을 통하여 환경오염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실현한 건축물을 말한다.3) 그리고, USGBC에서 LEED를 목표를 “Totransform the way buildings and communities are designed, built and operated, enabling on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responsible, healthy and prosperous environment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라고 말하고 있으며, 녹색 디자인의 목표를 최소한의 환경 영향을 갖는 고효율의 건축물을 만드는 것에 두고 있다.4) 이처럼 친환경건축물인증에서 말하고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과 LEED의 목표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지속가능한 건축은 크게 3가지인 환경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 경제적인 측면을 생각할 수 있으며, 친환경건축은 이 지속가능한 건축에 포함된다.
개정된 소형주택을 위한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요약하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가? 첫째, 소형주택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항목들이 기존의 공동주택의 기준항목들과 비교해 볼 때 부분적으로 수정되었을 뿐 소형주택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항목들이 부족하며, 소형건축사사무소에서도 쉽게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에너지 시뮬레이션과 같은 항목이 선택가능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방식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또한 초기 설계 시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여 채택할 수 있도록 세분화된 항목들의 추가가 요구된다. 둘째, 소형주택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항목이 대부분 환경적 측면으로 치우쳐 있으며, 사회적 측면의 친환경성에 대한 항목이 공동주택의 기준항목보다도 현저하게 적은 수를 가지고 있다. 이에 균형 잡힌 친환경건축물 구현을 위해서는 사회적 측면의 친환경인증 항목에 대한 추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소형주택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환경조절 방식은 다른 인증기준에 비해 자연형 환경조절방식이 높은 비율로 도입이 되어 있으나, LEED의 환경조절 방식의 항목수와 비교할 때 LEED의 33%정도 밖에 되지 않는 적은 수를 가지고 있다. 이에 환경조절 방식의 다양한 항목들의 구성으로 실질적인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목선수, 조동우, 소형주택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발 방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8권 제2호(통권280호), 2012. 

  2. 윤종호,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방법,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07. 10 

  3. 임영환, 김광현, 지속가능한 건축의 계획적 연구 방향 탐침,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1호(통권265호), 2012. 11. 

  4. 윤정은, 임영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가이드라인의 관계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7권 제11호(통권277호), 2011. 11 

  5. 임영환, 지속가능건축의 계획 기준 연구, 서울대 박론, 2011 

  6. 정태용, 런던시청사의 지속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5호 통권88호, 2011,10 

  7. 이규인, 지속가능한 정주지 계획을 위한 평가지표 수립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권4호(통권162호) 

  8. 삼성물산 기술연구센터, 삼우설계 기술연구소, LEED Guidebook, 시공문화사, 2010 

  9.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851호, 환경부 고시 제2011-181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10. USGBC, LEED for Homes Reference Guide, 2009 

  11. USGBC, LEED Reference Guide for Gree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12. www.usgbc.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